소헌왕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왕자: *공주*/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0명의 중간 판 4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왕족 정보
| 이름 = 소헌왕후<br><small>昭憲王后</small>
| 작위 = [[조선의 역대 왕세자빈|세자빈]]
| 재위 = 1418년 7월 20일 ~ 9월 18일 {{font color|gray|(양력)}}
|재위 = [[1418년]]
| 전임자 = (법적) [[원경왕후|정빈 민씨]](원경왕후) <br /> (실제) [[수성부부인|숙빈 김씨]] (수성부부인)
| 후임자 = (실제)[[휘빈 김씨|휘빈폐빈 김씨]](폐빈) <br /> (실제)[[순빈휘빈 봉씨]](폐빈김씨) <br /> (법적)[[현덕왕후|빈궁 권씨]](현덕왕후) <br />
| 작위2 = [[조선의 역대 왕비|조선 세종의 왕비]]
| 재위2 = [[1418년]] 9월 18일 ~ [[1446년]] 4월 28일 {{font color|gray|(양력)}}
| 휘호 = 선인제성(宣仁齊聖)
|성명 =
| 시호 = 소헌(昭憲)
|휘호 = 선인제성(宣仁齊聖)
| 배우자 = [[세종]]
|시호 = 소헌(昭憲)
| 자녀 = [[소헌왕후#가족 관계#자녀|8남 2녀]]
|배우자 = [[조선 세종|세종]]
| 아버지 = 청천부원군 [[심온]]
|자녀 = [[정소공주]]<br />[[조선 문종|왕세자 향]](문종)<br />[[정의공주]]<br />[[조선 세조|수양대군]](세조)<br />[[안평대군]]<br />[[임영대군]]<br />[[광평대군]]<br />[[금성대군]]<br />[[평원대군]]<br />[[영응대군]]
| 어머니 =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
|휘 =
| 출생일 = 1395년 10월 20일 {{font color|gray|(양력)}}
|종교 = [[불교]]
| 출생지 = [[조선]] [[경기도]] 양주 사저
|아버지 = 청천부원군 [[심온]]
| 사망일 = {{사망일|1446|4|28}} (50세) {{font color|gray|(양력)}}
|어머니 =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세조 (조선)|수양대군]] 사저
|출생일 = 태조 4년(1395) 9월 28일
| 능묘 = [[영릉 (조선 세종)|영릉]](英陵)
|출생지 = 양주(楊州) 사저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영릉로 269-50
|사망일 = 세종 28년(1446) 3월 24일(52세)
| 전임자2 = [[원경왕후]] 민씨
|사망지 = 수양대군(首陽大君) 사저
| 후임자2 = [[정순왕후 (조선 단종)|정순왕후]] 송씨
|능묘 = [[영녕릉|영릉]]
|전임자2 가문 = [[원경왕후청송 심씨]]
| 작호 = 공비(恭妃) · 경빈(敬嬪) · 경숙옹주(敬淑翁主)<br>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
|후임자2 = [[정순왕후 (조선 단종)|정순왕후]]
| 문장 = Seal of Queen Soheon.jpg
}}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 [[1395년]] [[10월 12일20일]] <small>(</small>[[음력 9월 28일]]<small>)</small> ~ [[1446년]] [[4월 19일28일]] <small>(</small>[[음력 3월 24일]]<small>)</small>)는 [[조선]] [[조선 세종|세종]]의 왕비이다. 본관은 [[별호청송 심씨|청송]]이며, 별칭은 '''공비'''(恭妃), '''경빈'''(敬嬪), [[시호]]는 '''선인제성소헌왕후'''(宣仁齊聖昭憲王后)이다.
 
== 생애 ==
청천부원군 안효공 [[심온]](靑川府院君 安孝公 沈溫)의 장녀이며, 본관은 [[청송 심씨|청송]](靑松)이다. 외척의 발호를 경계한 [[조선 태종|태종]]에 의해 집안이 멸문당한 시어머니 [[원경왕후]]와 마찬가지로, 소헌왕후 또한 시아버지 [[조선 태종|태종]]에 의해 아버지 [[심온]]을 잃는다.
 
=== 탄생과 세자빈 책봉 ===
특히 남편 [[세종대왕]]을 이해하고 내조를 했다. 소헌왕후는 조선역사상 [[내명부|내명부를]] 가장 안정적으로 다스렸고 이는 세종의 업적에 좋은 영향력을 끼쳤다고 평가받는 조선 최고의 국모이자 왕비이다.
[[1395년]](태조 4년), [[문하시중]] [[심덕부]]의 아들인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 [[심온]]과 삼한국대부인 안씨의 장녀로 출생하였다. [[1408년]](태종 8년), 당시 충녕군(忠寧君)이었던 [[세종]]과 혼례를 올리고 경숙옹주(敬淑翁主)에 봉해졌다.<ref>《[[태종실록]]》 15권, 태종 8년(1408년 명 영락(永樂) 6년) 2월 17일 (병신)
----'''심온의 어머니 민씨를 변한국대부인에, 딸을 경숙옹주에 봉하다'''</ref>
 
[[1417년]](태종 17년)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봉해졌다.
== 일생 ==
[[1395년]] [[문하시중]] [[심덕부]]의 아들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 [[심온]]과 그 부인인 순흥 안씨의 장녀로 출생하였다. [[조선 태종]] 8년인 [[1408년]] 당시 충녕군(忠寧君)이었던 [[조선 세종|세종]]과 혼례를 올리고 경숙옹주(敬淑翁主)에 봉해졌다. {{출처|날짜=2012-10-20|그녀가 충녕대군의 배필이 된 이유는 숙모가 [[조선 태종|태종]]의 누나인 [[경선공주]]인 까닭이 컸다.}}
 
=== 왕비 시절 ===
태종 17년인 [[1417년]]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봉해졌고, 태종 18년인 [[1418년]] 음력 6월, 남편 충녕대군이(1412년에 대군으로 진봉) 왕세자에 책봉되자 경빈(敬嬪)이 되었으며, 그해 음력 8월 충녕대군이 태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자 중궁(中宮)이 되어 공비(恭妃)라는 책봉명을 받았다<ref>이때 세종이 처음 골랐던 비의 미칭은 검비(儉妃)였으나, 태종이 이 글자는 뜻은 좋으나 음이 적당치 않다고 하여 공비로 고쳤다 한다.</ref>. 그 해, 아버지 [[심온]]과 숙부 심정이 태종에 대한 불경죄로 처형당하였고<ref>상세한 것은 [[심온]] 참조.</ref> 소헌왕후의 어머니와 친족들은 관비가 되었다. 한편, 소헌왕후에 대해서도 폐비(廢妃) 논의가 있었으나 내조의 공이 크고, 왕자를 2명이나 출산하였고 당시에도 [[안평대군]]을 임신중이었기에 폐비되지 않았다. 1426년, 어머니 안씨와 가족들은 천안에서 제명되고 직첩이 복원된다.
[[1418년]](태종 18년) 음력 6월, 충녕대군이 왕세자에 책봉되자 경빈(敬嬪)이 되었으며,<ref>《[[태종실록]]》 35권, 태종 18년(1418년 명 영락(永樂) 16년) 6월 3일 임오
----'''세자 이제를 폐하고 충녕대군을 왕세자로 삼다'''
----세자 [[양녕대군|이제]](李禔)를 폐하여 [[광주시 (경기도)|광주]](廣州)로 추방하고 충녕대군을 왕세자로 삼았다.</ref> 그해 음력 8월 충녕대군이 태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자 중궁(中宮)이 되어 공비(恭妃)<ref>이때 세종이 처음 골랐던 비의 미칭은 검비(儉妃)였으나, 태종이 이 글자는 뜻은 좋으나 음이 적당치 않다고 하여 공비로 고쳤다 한다.</ref>에 책봉되었다.<ref>《[[태종실록]]》 36권, 태종 18년(1418년 명 영락(永樂) 16년) 8월 10일 (정해)
----'''왕세자가 내선을 받고 근정전에서 즉위하다'''</ref>
 
같은 해, 아버지 [[심온]]과 숙부 [[심정 (1418년)|심정]]이 태종에 의해 역모죄로 처형당하였고 소헌왕후의 어머니와 친족들은 관비가 되었다. 소헌왕후에 대해서도 폐비(廢妃) 논의가 있었으나 내조의 공이 크고, 왕자를 2명이나 출산하였으며 당시에 [[안평대군]]을 임신중이었기에 폐비가 되지 않았다. 1426년, 어머니 안씨와 가족들은 천안에서 제명되고 직첩이 복원된다.
세종 16년 [[1432년]], 국초에 사용하던 왕비와 세자빈에게 미칭을 붙이던 제도를 폐지하면서 그도 공비에서 왕비(王妃)로 개봉되었다.
 
[[1432년]](세종 14년), 국초에 사용하던 왕비와 세자빈에게 미칭을 붙이던 제도를 폐지하면서 공비에서 왕비(王妃)로 개봉되었다.
소헌왕후는 세종과의 사이에서 총 8남 2녀를 출산했는데, 이 중 3명의 자녀는 소헌왕후보다 일찍 세상을 떠난다. 1녀 [[정소공주]]는 1424년 13세 나이로 사망한다. 1444년에는 어머니 안씨가 사망하고 몇달 뒤,1444년 12월 7일 5남 [[광평대군]]이 사망한다. 5남 광평대군이 사망하기가 무섭게 약 1달뒤, 1445년 1월 16일, 7남 [[평원대군]]이 사망한다. 이후 소헌왕후가 1446년 사망하는데, 잇달아 떠난 자식들과 어머니의 죽음이 간접적이든, 직접적이든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생애 후반의 세종과 소헌왕후는 [[불교]]에 귀의하여, 자주 불법(佛法)을 행하였다.
세종 28년인 [[1446년]] 52세로 수양대군의 저택에서 승하하였고, 아들 [[조선 문종|문종]] 대에 선인제성(宣仁齊聖)의 존호가 올려졌다. 능은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왕대리에 위치한 [[세종대왕릉|영릉]](英陵)이며, 남편 [[조선 세종|세종]]과 합장되었다.
 
[[1444년]](세종 26년)과 [[1445년]](세종 27년), 어머니인 삼한국대부인 안씨와 아들인 [[광평대군]]과 [[평원대군]]을 연이어 잃고 불교에 의지했으며 승려를 모아 기도를 하고 불법을 행하였다. 또한 법당을 방문하고 석탑을 조성하기도 하였는데, 당시의 집현전의 학자들이 반발하였다.
=== 남편 세종과의 관계 ===
세종의 세자 책봉 전, 소헌왕후가 들어오고 나갈 때 반드시 일어나서 맞이했다고 한다.
1422년, 소헌왕후가 병이 나자 세종은 신하들에게 여러 차례의 불공을 명하거나, 육선을 올리게 하고 병에 차도가 보이자 의원과 의녀들에게 상을 내리기도 한다.
1426년, 세종은 직첩이 복원된 어머니 안씨와 소헌왕후를 배려해, 소헌왕후가 어머니 안씨와 만나 연회를 베풀 수 있도록 한다.
1446년 3월, 소헌왕후가 병이 들자 세종이 수시로 찾아와 보았다고 한다.
세종은 소헌왕후가 죽자, 차기 왕이 부모의 합장릉을 명하는 것과는 달리 자신이 직접 합장릉을 명하였고 자신이 죽기 전까지 다른 왕비를 맞이하지 않았다.
 
=== 평가사망 ===
[[1446년]](세종 28년) 3월 10일, 병이 들자 [[세종]]은 죄수를 방면하고 산천초목에 기도를 드렸으며 승려들에게 불사를 주문하여 소헌왕후의 병에 감응하게 하였다. 병세가 악화되자 세자는 식사를 거두고 병간호를 하였으나 3월 24일, 소헌왕후는 [[세조 (조선)|수양대군]]의 저택에서 승하하였다.<ref>《[[세종실록]]》 111권, 세종 28년(1446년 명 정통(正統) 11년) 3월 24일 (신묘)
소헌왕후는 남편은 물론 아들들까지 상당히 잘 둔 어머니로 알려져 있다. 남편은 [[세종]]이고, 장남은 [[조선 문종|문종]], 차남은 [[조선 세조|세조]], 삼남은 [[안평대군]]이다. 또한 성격이 워낙 부드럽고 온화하지만 기강이 엄정하다고 하였다. 특히 세종을 깊게 이해하며 내조하고, 내명부를 잘 통솔하였다. 그 당시 소헌왕후의 내명부는 조선에서는 가장 안정적이었다. 그리고 세종이 조정에서 소헌왕후를 칭송하였다고 한다. 후일에 후덕한 성품의 심씨의 내조가 세종이 최고의 성군으로 되는 기반이 된 것은 과언이 아니라고 본다. 또한 소헌왕후는 남편 세종이 조선의 이상 군주의 본보기처럼 조선 왕비 이상의 롤모델이어서 조선 시대에 존경을 받았다. 심씨가 [[금성대군]]을 임신중일 때 세종이 외지로 나간 사이 궁궐에 불이 나 화재 진압을 직접 주도하였다고 한다.
----'''왕비가 수양대군의 제택에서 훙하다. 종친 등이 소복차림으로 곡하고 위문하다'''</ref> 시호는 '''소헌'''(昭憲)이며, [[조선 문종|문종]] 대에 선인제성(宣仁齊聖)의 존호가 올려졌다. 명나라가 세종의 시호를 장헌(莊憲)으로 내려주자 '헌' 자가 같으니 문종이 이를 고쳐야 할지 신하들에게 하문했지만 왕과 왕비의 시호가 같은 사례가 많아 굳이 그럴 필요가 없다고 답하여 고치지 않았다.
 
능은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왕대리에 위치한 [[영릉 (조선 세종)|영릉]](英陵)이며, [[세종]]과 합장되었다.{{인용문|<center>'''소헌왕후 영릉 지문'''</center>
=== 안정적인 내명부 ===
----
내명부에 대한 안정적인 지도력은 후궁의 문제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소헌왕후는 총애받는 후궁은 오히려 더 대접하였고 그들을 신뢰해 여러 자녀들을 후궁들에게 양육하도록 한다. 8남 2녀 중 막내인 영응대군의 양육은 신빈에게, 6남 금성대군의 양육은 태종 후궁 의빈에게, 문종의 자녀인 경혜공주와 단종의 양육은 혜빈에게 맡긴다.<ref>이 당시 왕의 자녀들은 궁에서 크지 않고 궁 밖의 신하들의 집에서 크기도 했다.</ref> 또한 본인의 속마음은 어떠했을지 잘 모르지만, 질투를 드러내지 않는 모습으로 일찍이 태종과 세종에게 칭찬을 받았다.
:왕후가 인자하고 어질고 성스럽고 착한 것이 천성에서 나왔는데,
:중궁에 정위한 뒤로는 더욱 스스로 겸손하고 조심하여 빈잉(嬪媵)을 예(禮)로 접대하고,
:아래로 궁인이 미치기까지 어루만지고 사랑하여 은혜를 가하지 않음이 없으며,
:후궁이 나아와서 뵙는 자가 있으면 반드시 위로하고 용납하는 것을 가하며,
:만일 상감께서 총애하신 자는 특별히 융성한 대우를 주어, 지극한 정[至情]이 사이가 없으며,
:낳으신 여러 아들을 모두 후궁으로 하여금 기르게 하시니,
:후궁이 또한 마음을 다하여 받들어 길러서 자기 소생보다 낫게 하였으며,
:또 일을 위임하여 의심하지 않고 맡기시니, 후궁이 또한 지성껏 받들어 순(順)히 하여 감히 게을리 함이 없었다.
 
:이 때문에 빈(嬪)·잉(媵)이하가 사랑하고 공경하기를 부모 대접하듯이 하였다.
{{인용문|왕후가 인자하고 어질고 성스럽고 착한 것이 천성(天性)에서 나왔는데, 중궁(中宮)에 정위(正位)한 뒤로는 더욱 스스로 겸손하고 조심하여 빈잉(嬪媵)을 예(禮)로 접대하고, 아래로 궁인(宮人)이 미치기까지 어루만지고 사랑하여 은혜를 가하지 않음이 없으며, 후궁(後宮)이 나아와서 뵙는 자가 있으면 반드시 위로하고 용납하는 것을 가하며, 만일 상감께서 총애하신 자는 특별히 융성한 대우를 주어, 지극한 정[至情]이 사이가 없으며, 낳으신 여러 아들을 모두 후궁으로 하여금 기르게 하시니, 후궁이 또한 마음을 다하여 받들어 길러서 자기 소생보다 낫게 하였으며, 또 일을 위임하여 의심하지 않고 맡기시니, 후궁이 또한 지성껏 받들어 순(順)히 하여 감히 게을리 함이 없었다. 이 때문에 빈(嬪)·잉(媵)이하가 사랑하고 공경하기를 부모 대접하듯이 하였다. 서출(庶出)의 자식 보기를 모두 소생 아들과 같이 하였으며, 어선(御膳)이 나오면 반드시 몸소 살펴보아 힘써 정성과 공경을 다하였으며, 국모(國母)로 있은 지 29년 동안에 경계(儆戒)의 도움이 있고, 연안(宴安)의 사사(私事)가 없었으며, 한 번도 친척을 위하여 은혜를 구하지 않았으며, 또 절대로 바깥 일에 참여하지 않고, 비록 궁중에서 날마다 쓰는 자디잔 일이라도 반드시 위로 들리어 감히 임의로 하는 일이 없었다.
:서출의 자식 보기를 모두 소생 아들과 같이 하였으며,
-세종 112권, 28년(1446 병인 / 명 정통(正統) 11년) 6월 6일(임인) 2번째기사}}
:어선(御膳)이 나오면 반드시 몸소 살펴보아 힘써 정성과 공경을 다하였으며,
 
:국모로 있은 지 29년 동안에 경계(儆戒)의 도움이 있고,
하지만 소헌왕후는 마냥 부드러운 모습이 아니라 강단있는 성품도 있었다. 세종 21년(1439)<ref>세종 85권, 21년(1439 기미 / 명 정통(正統) 4년) 5월 3일(경술) 3번째기사</ref> 임영대군이 궁녀들과 사통을 하여 세종이 그 관련자들을 벌 주고 임영대군의 직첩까지 빼앗는 일이 발생한다. 그런데 이 일을 임금이 알게 된 것은 소헌왕후를 통해서였다. 평소 후궁 뿐만 아니라 자녀들의 동태에 대해서도 귀를 기울였던 소헌왕후는 임영대군의 유모를 통해 이러한 일들을 전달받았고 이를 임금에게 전달한다. 이로 인해 임영대군은 세종에게 벌을 받는다. 소헌왕후는 그러한 비행이 친자식의 소행이라고 하여 눈감아주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문종의 폐세자빈, 폐 휘빈 김씨와 폐 순빈 봉씨의 만행들도 소헌왕후의 귀에 들어갔고, 그녀를 통해 밝혀졌다. 평소 소헌왕후의 내명부에 대한 통솔력에 인한 결과라고 여겨진다. 이렇게 강단있는 성품과 통솔력 있는 소헌왕후가 있었기에 조선 역사상 가장 안정했던 내명부라고 평가받을 수 있다 여겨진다.
:연안(宴安)의 사사(私事)가 없었으며, 한 번도 친척을 위하여 은혜를 구하지 않았으며,
:또 절대로 바깥 일에 참여하지 않고,
:비록 궁중에서 날마다 쓰는 자디잔 일이라도 반드시 위로 들리어 감히 임의로 하는 일이 없었다.
&nbsp;|align=center}}
 
== 가족 관계 ==
<center>
 
{|
=== '''본가 [[청송 심씨]](靑松 沈氏)''' ===
 
==== 조상 ====
{| class="wikitable sortable"
|+
!분류
!본관
!이름
!생몰년
!관직
!비고
|-
|고조부
|청송 심씨
|심연(沈淵)
|?~?
|합문지후(閤門祇侯)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 " |&nbsp;&nbsp;&nbsp;조선의 왕비&nbsp;&nbsp;&nbsp;
| rowspan="2" |&nbsp;&nbsp;&nbsp;'''소헌왕후 심씨'''&nbsp;&nbsp;&nbsp;<br>昭憲王后 沈氏
!출생
!사망
|-
|'''[[1395년]] [[10월 12일]]''' <small>('''[[음력 9월 28일]]''')</small>
|고조모
----{{국기|조선}} 경기도 양주 사제
| colspan="4" |미상
|'''[[1446년]] [[4월 19일]]''' <small>('''[[음력 3월 24일]]''')</small> (50세)
|
----{{국기|조선}} [[한성부]] 수양대군 제택
|-
|증조부
|청송 심씨
|심용(沈龍)
| rowspan="2" |?~?
|전리정랑 증 문하시중 청화부원군
(典理正郞 贈 門下侍中 淸華府院君)
|
|-
|증조모
|김씨
|미상
|
|
|-
|조부
|청송 심씨
|[[심덕부]](沈德符)
|[[1328년]] ~ [[1401년]]
|문하시중 염삼사사 문하부좌정승 청성백
(門下侍中 領三司事 門下府左政丞 靑城伯)
|
|-
|법조모
|청주 송씨
| rowspan="2" |미상
| rowspan="2" |?~?
|변한국대부인(卞韓國大夫人)
|청원군 송유충(淸原君 宋有忠)의 딸
|-
|생조모
|인천 문씨
|
|감문위 낭장 문필대(監門衛 郞將 門必大)의 딸
|-
|외조부
|순흥 안씨
|안천보(安天保)
|[[1339년]] ~ [[1425년]]
|좌의정 영돈녕부사(左議政 領敦寧府事)
|
|-
|외조모
|영주 김씨
|미상
|?~?
|
|
|}
 
==== 친인척부모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 colspan="2" |
|+
!분류
!본관
!이름
!생몰년
!부모
!관직
!비고
!생모
|-
!&nbsp;&nbsp;부&nbsp;&nbsp;
|백부
|청천부원군 靑川府院君<br>[[심온]] 沈溫
|청송 심씨
|[[청송 심씨|청송]]
|심인봉(沈仁鳳)
|1375년 - 1418년
| rowspan="2" |?~?
|[[심덕부]] 沈德符<br>인천 문씨 仁川 門氏
|좌군도총제(左軍都摠制)
|태종 18년(1418년) 처형됨
|
|변한국대부인 송씨
|-
!모
|백모
|삼한국대부인 三韓國大夫人<br>[[순흥 안씨|안씨]] 順興 安氏
|평산 신씨
|[[순흥 안씨|순흥]]
|미상
|  ?   - 1444년
|동양군부인(東陽郡夫人)
|안천보 安天保<br>영주 김씨 寧州 金氏
|동지밀직 신아(同知密直 申雅)의 딸
|
|-
|백부
|청송 심씨
|[[심징]](沈澄)
|?~[[1432년]]
|인수부윤(仁壽府尹)
|
|변한국대부인 송씨
|-
|백모
|여산 송씨
|미상
|?~?
|
|전서 송의번(典書 宋義蕃)의 딸
|
|-
|숙부
|청송 심씨
|[[심종]](沈悰)
|?~[[1418년]]
|청원군(靑原君)
|
|인천 문씨
|-
|숙모
|전주 이씨
|미상
|?~?
|[[경선공주]](慶善公主)
|[[조선 태조|태조]]와 [[신의왕후|신의왕후 한씨]]의 딸
|
|-
|숙부
|청송 심씨
|[[심정 (1471년)|심정]](沈泟)
|?~[[1418년]]
|중군동지총제(中軍同知摠制)
|
|인천 문씨
|-
|숙모
|개성 왕씨
|미상
|?~?
|
|영문하부사 정양부원군 [[정양군|왕우]]
(領門下府事 定陽府院君 王瑀)의 딸
|
|}
 
==== '''부모'''배우자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rowspan="2" |&nbsp;&nbsp;&nbsp;조선 제4대 국왕&nbsp;&nbsp;&nbsp;
|+
| rowspan="2" |&nbsp;&nbsp;&nbsp;'''[[세종]]''' 世宗&nbsp;&nbsp;&nbsp;
!분류
!출생
!본관
!사망
!이름
!생몰년
!관직
!비고
|-
|'''[[1397년]] [[5월 7일]]<ref name=":0">세종대왕의 탄생일인 [[1397년]] [[음력 4월 10일]]을 [[태양력|양력]]으로 환산할 때, 1397년 당시 서양에서 사용하던 [[율리우스력]]으로 환산하면 [[5월 7일]]이 되고, 현재 사용하는 [[그레고리력]]으로 환산하면 [[5월 15일]]이 된다.</ref>''' ('''[[음력 4월 10일|<small>음력 4월 10일</small>]]''')
|아버지
----{{국기|조선}} [[한성부]] 준수방 사저
|청송 심씨
|'''[[1450년]] [[3월 30일]]'''('''[[음력 2월 17일|<small>음력 2월 17일</small>]]''') (52세)
|[[심온]](沈溫)
----{{국기|조선}} 한성부 [[영응대군]] 사저
|[[1375년]] ~ [[1418년]]
|영의정부사 청천부원군(領議政府事 靑川府院君)
|[[1418년|세종1년]] 사사됨
|-
|어머니
|'''[[순흥 안씨]]'''
|미상
|?~[[1444년]]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
|[[1418년|세종1년]] [[관비]]로 축출되었다가
1426년에 자식들과 직첩 복원
|}
 
==== 형제자녀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olspan="2" |작호
|+
!분류
!본관
!이름
!생몰년
!배우자
!관직
!시호
!처
!비고
|-
|'''장녀'''
|남동생
|[[정소공주]] 貞昭公主
|청송
!
심씨
|1412년 - 1424년
|심준
|미혼
(沈濬)
!
|?~[[1448년]]
|영중추원사
(領中樞院事)
|
|
|
|-
|'''장남'''
|올케
! style="background:#FFE4E1" |[[조선 문종|문종대왕]] 文宗大王
|여흥
|향 珦
민씨
|1414년 - 1452년
|미상
|[[현덕왕후]] 권씨 顯德王后 權氏
|?~?
! style="background:#FFE4E1" |제5대 국왕
|
|
|
|여원군 [[민무휼]](驪原君 閔無恤)의 딸 - [[원경왕후]]의 조카
|-
|'''차녀'''
|남동생
|[[정의공주]] 貞懿公主
|청송
!
심씨
|1415년 - 1477년
|[[심회]]
|연창위 延昌尉 [[안맹담]] 安孟聃
(沈澮)
!
|[[1418년]] ~ [[1493년]]
|영의정 청송부원군
(領議政 靑松府院君)
|
|
|
|-
|'''차남'''
|올케
| style="background:#FFE4E1" |'''[[세조 (조선)|세조대왕]] 世祖大王'''<br><small>수양대군 首陽大君</small><ref>진평대군(晉平大君, 1428년) → 진양대군(晉陽大君, 1433년) → 수양대군(1445년)</ref>
|원주
|유 瑈
김씨
|1417년 - 1468년
|미상
|[[정희왕후]] 윤씨 貞熹王后 尹氏
|?~?
! style="background:#FFE4E1" |제7대 국왕
|
|
|
|판중추 대경공 김연지(判中樞 戴敬公 金連枝)의 딸
|-
|'''3남'''
|남동생
|[[안평대군]] 安平大君
|청송
|용 瑢
심씨
|1418년 - 1453년
|[[심결]]
|부부인 [[연일 정씨]] 府夫人 延日 鄭氏
(沈決)
|[[육종영]] 중 한사람<br />단종 1년(1453년) 사사됨<ref>《[[단종실록]]》 8권, 단종 1년(1453년 명 경태(景泰) 4년) 10월 18일 (신축)</ref>
|[[1419년]] ~ [[1470년]]
|영중추원사
(領中樞院事)
|정이공
(靖夷公)
|
|
|-
|'''4남'''
|올케
|[[임영대군]] 臨瀛大君
|거창
|구 璆
신씨
|1420년 - 1469년
|미상
|[[의령 남씨]] 宜寧 南氏<br>제안부부인 [[전주 최씨|최씨]] 齊安府夫人 崔氏
| rowspan="2" |?~?
|[[조선 연산군|연산군]]비 [[폐비 신씨]]의 외조부<br>[[조선 중종|중종]]비 [[단경왕후]]의 외증조부
|
|
|
|감사 신기(監司 愼幾)의 딸
|-
|'''5남'''
|여동생
|[[광평대군]] 廣平大君
|청송
|여 璵
심씨
|1425년 - 1444년
|미상
|영가부부인 [[평산 신씨|신씨]] 永嘉府夫人 申氏
|
|
|
|
|-
|'''6남'''
|매부
|[[금성대군]] 錦城大君
|진주
|유 瑜
강씨
|1426년 - 1457년
|강석덕
|완산부부인 [[전주 최씨|최씨]] 完山府夫人 崔氏
(姜碩德)
|[[육종영]] 중 한사람<br>세조 3년(1457년) 사사됨<ref>《[[세조실록]]》 9권, 세조 3년(1457년 명 천순(天順) 1년) 10월 21일 (신해)</ref>
|[[1395년]] ~ [[1459년]]
|지돈녕 진양부원군
(知敦寧 晋陽府院君)
|
|
|[[고려 공양왕|공양왕]]의 사위 진원군 강회계(晋原君 姜淮季)의 조카
|-
|'''7남'''
| rowspan="3" |조카
|[[평원대군]] 平原大君
| rowspan="3" |진주
|임 琳
강씨
|1427년 - 1445년
|[[강희안]]
|강녕군부인 [[남양 홍씨|홍씨]] 江寧府夫人 洪氏
(姜希顔)
|[[1417년]] ~ [[1464년]]
|
|
|
|집현전 직제학을 지냄
|-
|'''8남'''
|[[강희맹]]
|[[영응대군]] 永膺大君
(姜希孟)
|염 琰
|[[1424년]] ~ [[1483년]]
|1434년 - 1467년
|
|[[대방부부인 송씨|대방부부인]] [[여산 송씨|송씨]] 帶方府夫人 宋氏<ref>[[조선 단종|단종]]비 [[정순왕후 (조선 단종)|정순왕후]]의 고모</ref><br>춘성부부인 [[해주 정씨|정씨]] 春城府夫人 鄭氏<br>연성부부인 [[연안 김씨|김씨]] 延城府夫人 金氏
|
|영흥대군 永興大君<br>역양대군 歷陽大君
|
|남이를 죽인 공으로 익대공신이 되었으며
성종 시기에 [[좌찬성]]까지 지냄
|-
|미상
| rowspan="2" |?~?
|[[영빈 강씨|영빈]](令嬪)
|
|
|강석덕의 딸이 아니라는 설도 있음
|-
|여동생
|청송
심씨
|미상
|
|
|
|
|-
|매부
| rowspan="5" |교하
노씨
|노물재
(盧物栽)
|[[1396년]] ~ [[1446년]]
|동지돈녕부사
(同知敦寧府事)
|
|
|
|-
| rowspan="4" |조카
|노회신
(盧懷愼)
|?~?
|
|
|
|
|-
|[[노사신]]
(盧思愼)
|[[1427년]] ~ [[1498년]]
|영의정
(領議政)
|
|청주
경씨
|
|-
|노유신
(盧由愼)
| rowspan="6" |?~?
|
|
|
|
|-
|노호신
(盧好愼)
|
|
|
|
|-
|여동생
|청송
심씨
|미상
|
|
|
|
|-
|매부
|진주
유씨
|유자해
(柳子偕)
|부지돈령부사
(副知敦寧府使)
|
|
|
|-
|조카
|
|유양
(柳壤)
|청천부원군
(菁川府院君)
|
|안동
권씨
|중종반정 공신에 책록된
[[류순정|유순정]](柳順汀, [[1459년]] ~ [[1512년]])의 아버지
|-
|여동생
|청송
심씨
|미상
|
|
|
|
|-
|매부
|전의
이씨
|이숭지
(李崇之)
|?~[[1462년]]
|전주부윤
(全州府尹)
|
|
|
|-
|여동생
|청송
심씨
|미상
| rowspan="2" |?~?
|
|
|
|
|-
|매부
| rowspan="2" |순천
박씨
|박거소
(朴去疎)
|부지돈녕부사
(副知敦寧府事)
|
|
|
|-
|조카
|[[박중선]]
(朴仲善)
|[[1435년]] ~ [[1481년]]
|판서(判書)
|
|양천
허씨
|월산대군의 처 [[승평부부인]], 중종반정의 공신 [[박원종]],
폐출된 [[제안대군]]의 전처 박씨의 아버지
 
인종의 외조부 [[윤여필]]의 장인
|-
| rowspan="2" |서제
(庶弟)
| rowspan="2" |청송
심씨
|심장수
(沈長壽)
|
|
|
|
|
|-
|심장기
(沈長己)
|
|
|
|
|
|}
|}</center>
 
== 소헌왕후가 등장하는 작품 ==
=== '''시가 [[전주 이씨]](全州 李氏)''' ===
=== 드라마 ===
* 1983년~1984년 [[MBC]]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 (1983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 [[김영애]]
* 1996년~1998년 [[KBS 1TV]] 드라마 《[[용의 눈물]]》 - [[임서연]]
* 2008년 [[KBS]] 드라마 《[[대왕 세종]]》 - [[남지현 (배우)|남지현]], [[이윤지]]
* 2011년 [[SBS]]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 [[장지은 (배우)|장지은]]
* 2015년~2016년 [[문화방송|MBC]] 드라마 《[[퐁당퐁당 Love]]》 - [[진기주]]
* 2018년 [[TV조선]] 드라마 《[[대군 - 사랑을 그리다|대군-사랑을 그리다]]》 - [[양미경]]
* 2021년~2022년 KBS 1TV 드라마 《[[태종 이방원]]》 - [[김비주 (배우)|김비주]]
 
==== 조상영화 ====
* 1978년 《세종대왕》 - [[선우용여]]
{| class="wikitable"
* 2019년 《[[나랏말싸미]]》 - [[전미선]]
|+
!분류
!본관
!이름
!생몰년
!시호
!비고
|-
|시고조부
|전주
이씨
|이춘
(李椿)
|?~[[1342년]]
|[[조선 도조|도조대왕]]
(度祖大王)
|추존왕
|-
|시고조모
|문주
박씨
|미상
|?~?
|[[경순왕후]]
(敬順王后)
|추존왕비
|-
|시증조부
|전주
이씨
|이자춘
(李子春)
|[[1315년]]~[[1361년]]
|[[조선 환조|환조대왕]]
(桓祖大王)
|추존왕
|-
|시증조모
|영흥
최씨
|미상
|?~?
|[[의혜왕후]]
(懿惠王后)
|추존왕비
|-
|시조부
|전주
이씨
|이단
(李旦)
이성계
(李成桂)
|[[1335년]] ~ [[1408년]]
재위 [[1392년]] ~ [[1398년]]
|[[조선 태조|'''태조대왕''']]
'''(太祖大王)'''
|'''조선 제1대왕'''
|-
|생시조모
|안변
한씨
|미상
|[[1333년]] ~ [[1391년]]
|[[신의왕후|'''신의왕후''']]
'''(神懿王后)'''
|태조가 조선 건국 전 사망
|-
|시조모
|곡산
강씨
|미상
|[[1356년]] ~ [[1396년]]
|[[신덕왕후|'''신덕왕후''']]
'''(神德王后)'''
|태조 사후 후궁으로 격하되었다가
[[1669년|현종10년]] 정비가 아닌 계비로 복원됨
|}
 
==== 시부모각주 ====
{{각주}}
{| class="wikitable"
|+
!분류
!본관
!이름
!생몰년
!시호
!비고
|-
|시아버지
|전주
이씨
|이방원
(李芳遠)
|[[1367년]] ~ [[1422년]]
재위 [[1400년]] ~ [[1418년]]
|[[조선 태종|'''태종대왕''']]
'''(太宗大王)'''
|'''조선 제3대왕'''
|-
|시어머니
|여흥
민씨
|미상
|[[1365년]] ~ [[1420년]]
|[[원경왕후|'''원경왕후''']]
'''(元敬王后)'''
|
|}
 
==== 친인척 ====
{| class="wikitable"
|+
!분류
!본관
!이름
!생몰년
!시호
!비고
|-
|시백부
|전주
이씨
|이경
(李曔)
 
이방과
 
(李芳果)
|1357년 ~ 1419년
재위 1398년 ~ 1400년
|공정대왕
(恭靖大王)
 
[[조선 정종|'''정종대왕''']]
 
'''(定宗大王)'''
|'''조선 제2대왕'''
|-
|시백모
|경주
김씨
|미상
|1355년 ~ 1412년
|[[정안왕후|'''정안왕후''']]
'''(定安王后)'''
|안정왕후(安定王后)라고도 함
|-
| rowspan="3" |시누이
| rowspan="4" |전주
이씨
| rowspan="3" |미상
|1385년 ~ 1460년
|[[정순공주]]
(貞順公主)
|이거이의 차남 청평위 이백강에게 하가
|-
|?~1455년
|[[경정공주]]
(慶貞公主)
|평양부원군 [[조대림]]에게 하가
|-
|1393년 ~ 1415년
|[[경안공주]]
(慶安公主)
|길창군 권규에게 하가
|-
|시아주버니
|이제
(李褆)
|1394년 ~ 1462년
|[[양녕대군]]
(讓寧大君)
|1418년 5월 폐세자됨
|-
|동서
|광주
김씨
|미상
|?~?
|[[수성부부인]]
(隨城府夫人)
|광산군 [[김한로]]의 딸
|-
|시아주버니
|전주
이씨
|이보
(李補)
|1396년 ~ 1486년
|[[효령대군]]
(孝寧大君)
|
|-
|동서
|해주
정씨
|미상
|예성부부인(藝城府夫人)
|[[조선 문종|문종]]의 부마 영양위 [[정종]]의 고모
|-
|시누이
|전주
이씨
|미상
|1404년 ~ 1424년
|[[정선공주]]
(貞善公主)
|의산군 [[남휘]]에게 하가
|-
|시동생
|전주
이씨
|이종
(李褈)
|1405년 ~ 1418년
|[[성녕대군]]
(誠寧大君)
|1418년 요절
|-
|동서
|창녕
성씨
|미상
|?~1456년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
|세종의 적3남 [[안평대군]] 용을 양자로 입적하였으나 단종복위사건으로 사사되어 태종의 적2남 효령대군 보의 6남 원천군 의를 양자로 입적함
|}
 
==== 왕자 ====
 
* 장남 : '''[[조선 문종|문종대왕 향]]'''(文宗大王 珦, 1414년 ~ 1452년 재위 1450년 ~ 1452년) - '''조선 제 5대왕'''
* 자부 : [[현덕왕후|현덕왕후 안동 권씨]](顯德王后 安東 權氏, 1418년 ~ 1441년)
** 손녀 : [[경혜공주]](敬惠公主)
** 손녀사위 : [[정종|영양위 정종]](寧陽尉鄭悰)에게 하가
*** 외증손 : 해평부원군 소평공 [[정미수]](海平府院君 昭平公 鄭眉壽, 1456년 ~ 1512년)
*** 외증손자부 : 정경부인 [[전의 이씨]](貞敬夫人 全義 李氏) - 호조판서 이덕량(戶曹判書 李德良, 1435~1487)의 딸
** 장손 : '''[[조선 단종|단종 홍위]]'''(端宗 弘暐, 1441년 ~ 1457년 재위 1452년 ~ 1455년) - '''조선 제 6대왕'''
** 손자부 : [[정순왕후 (조선 단종)|정순왕후 여산 송씨]](定順王后 礪山 宋氏, 1440년 ~ 1521년)
* 자부(후궁) : [[사칙 양씨]](司則 楊氏)
** 손녀 : [[경숙옹주 (문종)|경숙옹주]](敬淑翁主, 1439년 ~ 1482년)
** 손녀사위 : 반성위 강자순(班城尉 姜子順)
* 차남 : '''[[조선 세조|세조대왕 유]]'''(世祖大王 瑈, 1417년 ~ 1468년 재위 1455년 ~ 1468년) - '''조선 제 7대왕'''
* 자부 : [[정희왕후|정희왕후 파평 윤씨]](貞熹王后 坡平 尹氏, 1418년 ~ 1483년)
** 손자 : '''덕종대왕 장'''(德宗大王 暲, 1438년 ~ 1457년)
** 손자부 : [[소혜왕후|소혜왕후 한씨]](昭惠王后 淸州 韓氏, 1437년 ~ 1504년)
*** 증손 : [[월산대군|'''월산대군 정''']](月山大君 婷, 1454년 ~ 1488년)
*** 증손자부 : [[승평부부인|승평부대부인]] [[순천 박씨]](昇平府大夫人 順天 朴氏, [[1455년]] - [[1506년]] [[7월 20일]])<ref>[[박중선]]의 딸이자, [[박원종]]의 누이</ref>
*** 증손자부(측실) : 부부인 [[원주 김씨]](府夫人 原州 金氏)
*** 증손녀 : [[명숙공주]](明淑公主 1455년 ~ 1482년)
*** 증손녀사위 : 당양군 소이공 홍상(唐陽君 昭夷公 洪常, 1457년 ~ 1513년)
*** 증손 : [[조선 성종|'''성종대왕 혈''']](成宗大王 娎, 1457년 ~ 1494년, 재위 1469년 ~ 1495년) - '''조선 제 9대왕'''
*** 증손자부 : [[공혜왕후|공혜왕후 청주 한씨]](恭惠王后 淸州 韓氏, 1456년 ~ 1474년)<ref>[[한명회]]의 딸로, [[장순왕후]]가 언니이자 숙모이다.</ref>
*** 증손자부 : [[폐비 윤씨|폐비 함안 윤씨]](廢妃 咸安 尹氏, 1455년 ~ 1482년)<ref>조선 제 10대왕 [[조선 연산군|연산군]]의 모후</ref>
*** 증손자부 : [[정현왕후|정현왕후 파평 윤씨]](貞顯王后 坡平 尹氏, 1462년 ~ 1530년)<ref>조선 제 11대왕 [[조선 중종|중종]]의 모후</ref>
** 손자 : [[조선 예종|'''예종대왕 황''']](睿宗大王 晄, 1450년 ~ 1469년, 재위 1468년 ~ 1469년) - '''조선 제 8대왕'''
** 손자부 : [[장순왕후|장순왕후 청주 한씨]](章順王后 淸州 韓氏, 1445년 ~ 1461년)
** 손자부 : [[안순왕후|안순왕후 청주 한씨]](安順王后 淸州 韓氏, 1445(?)년 ~ 1498년)<ref>[[한백륜]]의 딸로 동서지간인 [[소혜왕후]]와는 8촌, [[안순왕후]]와 [[공혜왕후]]와는 11촌 사이가 된다.</ref>
*** 증손녀 : [[현숙공주]](顯肅公主, 1464년 ~ 1502년)
*** 증손녀사위 : 풍천위 임광재(豊川尉 任光載, ? ~1495)
*** 증손 : [[제안대군|제안대군 현]](齊安大君 琄, 1466년 ~ 1525년)
*** 증손자부 : 상산부부인 [[상산 김씨]](象山府夫人 尙山 金氏)
*** 증손자부 : 승평부부인 [[순천 박씨]](昇平府夫人 順天朴氏)<ref>월산대군의 처 [[승평부부인|승평부대부인]]과 [[박원종]]의 누이</ref> - 이혼당함
*** 증손녀 : [[혜순공주]](惠順公主, 1468년 ~ 1469년) - 요절
** 손자부(후궁) : 근빈 선산 박씨(謹嬪 善山 朴氏, 1425년 ~ ?)
*** 서증손 : [[덕원군 (왕족)|덕원군 서]](德源君 曙, [[1449년]]-[[1498년]])
*** 서증손부 : 임천군부인 [[경주 김씨]](林川郡夫人 慶州 金氏, 1447년 ~ 1481년)
*** 서증손부 : 봉산군부인 [[함안 윤씨]](繼配鳳山郡夫人 咸安 尹氏, ? ~ 1450년 8월 12일)
*** 서증손부 : 안성군부인 [[청주 양씨]](配安城君夫人 淸州 楊氏, 1451년 ~ 1504년)
*** 서증손부 : 창녕군부인 [[창녕 성씨]](配昌寧郡夫人 昌寧 成氏, 1453년 ~ 1515년)
*** 서증손 : [[창원군 (왕족)|창원군 성]](昌原君 晟, [[1458년]] ~ [[1484년]])
*** 서증손부 : 덕양군부인 [[교하 노씨]](德陽郡夫人 交河 盧氏)<ref>조카인 노호신의 딸</ref>
*** 서증손부 : 광성군부인 [[광주 정씨]](光城郡夫人 光州 鄭氏)
*** 서증손부 : 군부인 [[청주 한씨]](郡夫人 淸州 韓氏)
** 손녀 : [[의숙공주]](懿淑公主, ? ~ 1477년)
** 손녀 사위 : 하성군 정현조(河城君 鄭顯祖)
* 삼남 : [[안평대군|'''안평대군 용''']](安平大君 瑢, 1418년 ~ 1453년)<ref>[[성녕대군]](誠寧大君)에게 출계</ref>
* 자부 : 부부인 [[영일 정씨]](迎日 鄭氏, ? ~ [[1453년]] [[5월 31일]]/[[음력 4월 23일]])
** 손자 : '''의춘군 우직'''(宜春君 友直, [[1439년]] ~ [[1454년]])
** 손자부 : 오대(五臺)
*** 증손녀 : 무심(無心)
*** 증손 : '''남양부정 의(南陽副正 義)'''<ref>[[효령대군]]의 증손(효령대군 보 - 서원군 친 - 예천군 천 - 남양부정 의)</ref>
** 손자 : 덕양군 우량(德陽君 友諒, ? ~ [[1453년]] [[1월 28일]]/[[1452년]] [[음력 12월 19일]])
** 손자부 : 미상
*** 양증손 : 선곡부정 윤원(善谷副正 潤源)<ref>[[효령대군]]의 증손(효령대군 보 - 보성군 합 - 평성도정 위(평성군으로 추증) - 선곡부정 윤원)</ref>
* 사남 : [[임영대군|'''임영대군 구''']](臨瀛大君 璆, 1420년 ~ 1469년)
* 자부 : 군부인 [[의령 남씨]](君夫人 宜靈 南氏)<ref>[[남지]]의 딸로, 정신질환을 앓고 있어 혼인 후 얼마 안 가 이혼당함</ref>
* 자부 : 제안부부인 [[전주 최씨]](濟安府夫人 全州 崔氏)
** 손자 : '''오산군 주'''(烏山君 澍, 1437년 ~ 1490년)
** 손자부 : 풍기군부인 창녕 성씨(豊基郡夫人 昌寧 成氏)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노윤광(盧允光)과 혼인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안만복(安萬福)과 혼인
** 손자부 : 풍기군부인 연안 김씨(豊基郡夫人 延安 金氏)
*** 증손 : '''창평정 근'''(昌平正 瑾)
*** 증손 : 희제정 호(稀蹄正 瑚)
*** 증손 : 적천수 련(赤川守 璉)
*** 증손 : 홍양수 완(洪陽守 玩)
*** 증손 : 덕안도정 진(德安都正 珍)
*** 증손 : 엄천수 거(嚴川守 琚)
*** 증손 : 온천수 진(溫川守 璡)
** 손자 : [[귀성군]] 준(龜城君 浚, 1440년 ~ 1479년)
*** 양증손 : 회원군 쟁(會原君 崢)<ref>[[무안대군]] 방번(撫安大君 芳蕃)의 현손</ref>
** 손자 : 정양군 순(定陽君 淳, 1442년 ~ 1492년)
** 손자부 : 풍천군부인 진주 강씨(豊川郡夫人 晉州 姜氏)
*** 증손 : 봉산군 돈(鳳山君 敦)
*** 증손 : 유산도정 민(幽山都正 敏)
*** 증손 : 황원정 부(黃原正 敷)<ref>팔계군 정(八溪君 淨)에게 출계</ref>
*** 증손 : 덕림군 자(德林君 孜)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변성(邊成)과 혼인
** 손자부(첩) : 미상
*** 서증손 : 의산수 창(宜山守 敞)
*** 서증손 : 영성수 경(寧城守 敬)
** 손자 : 팔계군 정(八溪君 淨)<ref>[[함녕군]] 인(諴寧君 裀, [[조선 태종|태종]]의 서2남)의 적1남 덕성군 민(德城君 敏)에게 출계</ref>
** 손자 : 환성군 징(歡城君 澄)
** 손자부 : 현부인 동래 정씨(縣夫人 東萊 鄭氏)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한숙창(韓叔昌)과 혼인
** 손녀 : [[중모현주]](中牟縣主)<ref>[[조선 연산군|연산군]]의 장모</ref>
** 손녀사위 : 영의정 거창부원군 장성공 [[신승선]](領議政 居昌府院君 章成公 愼承善, 1436년 ~ 1502년)
*** 외증손 : 영의정 익창부원군 신도공 [[신수근]](領議政 益昌府院君 信度公 愼守勤, 1450년 ~1506년)<ref>[[단경왕후|단경왕후 신씨]]의 아버지</ref>
*** 외증손 : 형조판서 신수겸(刑曹判書 愼守謙, ? ∼ 1506년)
*** 외증손녀 : 폐비 [[거창군부인]] 신씨(廢妃 居昌郡夫人 愼氏, 1476년 ~ 1537년)<ref>[[조선 연산군|연산군]]의 정비</ref>
** 손녀 : 청하현주(淸河縣主) - 형조참판 안우건(刑曹參判 安友騫)
* 자부(계실) : 부부인 안동 안씨(府夫人 安東 安氏)
** 손자 : 영양군 함(英陽君 涵, 1458년 ~ 1526년)
** 손자부 : 현부인 평산 신씨(縣夫人 平山 申氏)
*** 증손 : 하빈수 인손(河濵守 仁孫)
*** 증손 : 동산수 의손(洞山守 義孫)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임해(林畡)와 혼인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이계홍(李繼洪)과 혼인
** 손자부(첩) : 미상
*** 서증손 : 오성정 신손(烏城正 神孫)
*** 서증손 : 해구군 현손(海口君 賢孫)
*** 서증손 : 청화군 준손(淸化君 俊孫)
** 손자부(첩) : 미상
*** 서증손 : 장연부수 종손(長連副守 終孫)
** 손자부(첩) : 미상
*** 서증손 : 능성령 말손(綾城令 李末孫)
** 손자 : 단계부정 인(丹溪副正 潾)
** 손자부 : 혜인 영월 엄씨(惠人 寧越 嚴氏)<ref>성종의 후궁 [[귀인 엄씨]]의 언니</ref>
*** 증손 : 일선수 엽(一善守 曄)
*** 증손 : 하양수 오(河陽守 晤)
*** 증손 : 신성수 희(信城守 曦)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김태암(金泰巖)과 혼인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권변과 혼인
** 손자 : 윤산군 탁(輪山君 濯)
** 손자부 : 현부인 평산 신씨(縣夫人 平山 申氏)
*** 증손 : 팔거군 근(八莒君 根)
*** 증손 : 원성수 춘(原城守 春)
** 손자부(첩) : 미상
*** 서증손 : 가덕부수 식(加德副守 植)
*** 서증손 : 설산부수 계(雪山副守 桂)
** 손자부(첩) : 미상
*** 서증손 : 청계령 림(淸溪令 林)
*** 서증손 : 익천군 지(益川君 枝)
*** 서증손 : 신성군 매(新城君 梅)
** 손자 : 옥천부정 옥(玉泉副正 沃)
** 손자부 : 신인 남양 홍씨(慎人 南陽 洪氏)
*** 증손 : 봉림수 수인(鳳林守 守仁)
*** 증손 : 청성수 수화(淸城守 守和)
*** 증손 : 흥인수 수예(興仁守 守禮)
*** 증손 : 운림수 수지(雲林守 守智)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안세직(安世直)과 혼인
** 손자부(첩) : 미상
*** 증손 : 청운령 수신(靑雲令 守信)
* 자부(첩) : 미상
** 서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김풍공(金豊公)과 혼인
** 서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전윤식(田允植)과 혼인
** 서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권형(權衡)과 혼인
 
* 오남 : [[광평대군|'''광평대군 여''']](廣平大君 璵, 1425년 ~ 1444년)
* 자부 : 영가부부인 평산 신씨(永嘉府夫人 平山 申氏)
** 손자 : '''[[영순군]] 부'''(永順君 溥, 1444년 ~ 1470년)
** 손자부 : 김제군부인 전주 최씨(金堤郡夫人 全州 崔氏)
*** 증손 : '''남천군 쟁'''(南川君 崝)
*** 증손 : 청안군 영(淸安君 嶸)
*** 증손 : 회원군 쟁(會原君 崢)
* 육남 : '''[[금성대군]]'''(錦城大君 瑜, 1426년 ~ 1457년)
* 자부 : 완산부부인 전주 최씨(完山府夫人 全州 崔氏)
** 손자 : [[화원군|'''화원군 맹한''']](花原君 孟漢, 또는 함종군, 1455년 ~ 1529년)<ref>[[세조찬위|단종복위운동]] 실패로 인하여 [[금성대군]]이 사사 후 아들과 함께 관노가 되었으나 중종 14년에 복작되었음</ref>
** 손자부 : 충주 지씨(忠州 池氏)
*** 증손 : '''동평군 연장'''(東平君 連長)<ref>화원군과 함께 관노가 되었고, 중종 14년 동평군에 추증되었음</ref>
** 손자부(첩) : 파평 윤씨로 추정
*** 서증손 : 이동(李銅)<ref>충주의 관노가 되었기 때문에 관작이 없음</ref>
* 칠남 : '''[[평원대군]]'''(平原大君 琳, 1427년 ~ 1445년)
* 자부 : 강녕부부인 남양 홍씨(江寧府夫人 南陽 洪氏)
** 양손자 : [[제안대군|'''제안대군 현''']](齊安大君 琄, 1466년 ~ 1525년)
** 양손자부 : 상산부부인 [[상산 김씨]](象山府夫人 尙山 金氏)
*** 양증손 : [[이파|'''낙풍군 파''']](洛豐君 葩, ? - ?)<ref>고종 시기에 추증되었음</ref>
** 양손자부 : 승평부부인 [[순천 박씨]](昇平府夫人 順天 朴氏)
* 팔남 : [[영응대군|'''영응대군 염''']](永膺大君 琰, 1434년 ~ 1467년)
* 자부 : 춘성부부인 해주 정씨(春城府夫人 海州 鄭氏)<ref>[[조선 문종|문종]]의 부마인 [[정종|영양위 정종]]의 누이</ref>
* 자부 : 대방부부인 여산 송씨(帶方府夫人 礪山 宋氏)<ref>단종비 [[정순왕후 (조선 단종)|정순왕후 송씨]]의 고모</ref>
** 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행주 기씨와 혼인
** 손녀 : [[길안현주|길안현주 억천]](吉安縣主 億千)
** 손녀 사위 : [[구수영|능천부원군 구수영]](綾川府院君 具壽永)
*** 외증손 : 폐 능양위 구문경(廢 綾陽尉 具文璟)<ref>[[조선 연산군|연산군]]의 사위</ref>
*** 외증손자부 : [[휘신공주]](徽愼公主, [[1491년]] [[10월 24일]] ([[음력 9월 22일]]) ~ ?)<ref>[[조선 연산군|연산군]]의 적녀</ref>
*** 외증손녀 : 구순복(具順福)
*** 외증손녀사위 : [[임희재 (1472년)|임희재]](任熙載, 1472~1504)<ref>[[임사홍]]의 아들</ref>
* 자부 : 연성부부인 연안 김씨(延城府夫人 延言 金氏)
** 손자 : '''청풍군 원'''(淸風君 源, 1460년 ∼ 1504년)
** 손자부 : 현부인 백천 조씨(縣夫人 白川 趙氏)
*** 증손 : 화림정 단(花林正 檀)
*** 증손 : 수성수 순(隋城守 洵)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유방(柳房)과 혼인
*** 증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유광동(柳光同)과 혼인
** 손자부(첩) : 미상
*** 서증손 : 청연령 수충(淸淵令 守忠)
** 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배사종(裵嗣宗)와 혼인
** 손녀 : 전주 이씨(全州 李氏) - 조온(趙穩)과 혼인
 
==== 공주 ====
 
* 장녀 : '''[[정소공주]]'''(貞昭公主, 1412년 ~ 1424년) - 요절
* 차녀 : '''[[정의공주]]'''(貞懿公主, 1415년 ~ 1477년)
* 사위 : 연창군 안맹담(延昌君 安孟聃)
** 외손 : '''안여달'''(安如獺)
*** 외증손 : '''안원경'''(安元卿)
** 외손 : 안온천(安溫泉)
*** 외증손 : 안언경(安彥卿)
*** 외증손녀 : 죽산 안씨(竹山安氏) - 정상조(鄭尙祖)와 혼인<ref>[[정인지]]의 5남</ref>
** 외손 : 안상계(安桑鷄)
*** 외증손 : 안몽경(安夢卿)
** 외손 : 지중추부사 안빈세(知中樞府事 安貧世, 1445∼1478)
*** 외증손 : 안처성
** 외손녀 : 죽산 안씨(竹山安氏) - 정광조(鄭光祖)와 혼인<ref>[[정인지]]의 장남</ref>
** 외손녀 : 죽산 안씨(竹山安氏) - 한치례(韓致禮, 1441년 ~ 1499년)와 혼인<ref>[[한확]]의 3남([[소혜왕후]]의 남동생)</ref>
 
{{삭제}}
 
== 소헌왕후가 등장한 작품 ==
=== 드라마 ===
* [[1983년]]~[[1984년]] [[MBC]]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 (1983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 [[김영애]]
* [[1996년]]~[[1998년]] [[KBS]] 드라마 《[[용의 눈물]]》 - [[임서연]]
* [[2008년]] [[KBS]] 드라마 《[[대왕 세종]]》 - [[남지현 (배우)|남지현]], [[이윤지]]
* [[2011년]] [[SBS]]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 [[장지은]]
* [[2015년]]~[[2016년]] [[MBC]] 드라마 《[[퐁당퐁당 Love]]》 - [[진기주]]
 
=== 영화 ===
* [[1978년]] 《세종대왕》 - [[선우용여]]
* [[2019년]] 《[[나랏말싸미]]》 - [[전미선]]
{{전임후임|
전임자=[[원경왕후]]|
후임자=[[정순왕후 (조선 단종)|정순왕후]]([[현덕왕후 권씨|현덕왕후]])|
직책='''[[조선의 역대 왕비|조선조선의 역대 왕후왕비]]'''|
임기=[[1418년]] [[음력 8월 14일]] ~ [[1446년]] [[음력 3월 24일]]
}}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조선의 왕후와 대한제국의 황후}}
 
[[분류:1395년 태어남출생]]
[[분류:1446년 죽음사망]]
[[분류:조선의 왕세자빈]]
[[분류:조선의 왕비]]
줄 993 ⟶ 243:
[[분류:조선 문종]]
[[분류:조선의 불교 신자]]
[[분류:14세기 한국 사람]]
[[분류:15세기 한국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