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매끄러운 다양체
M
{\displaystyle M}
그 위에 미분 형식 의 공간
Ω
∙
(
M
)
{\displaystyle \Omega ^{\bullet }(M)}
을 정의할 수 있다.
짝수 차수 미분 형식의 공간
Ω
2
Z
(
M
)
=
⨁
i
=
0
∞
Ω
2
i
(
M
)
{\displaystyle \textstyle \Omega ^{2\mathbb {Z} }(M)=\bigoplus _{i=0}^{\infty }\Omega ^{2i}(M)}
과 홀수 차수 미분 형식의 공간
Ω
1
+
2
Z
(
M
)
=
⨁
i
=
0
∞
Ω
2
i
+
1
(
M
)
{\displaystyle \textstyle \Omega ^{1+2\mathbb {Z} }(M)=\bigoplus _{i=0}^{\infty }\Omega ^{2i+1}(M)}
을 정의할 수 있다.
매끄러운 벡터 다발
E
↠
M
{\displaystyle E\twoheadrightarrow M}
이에 따라 벡터 값 미분 형식 의 공간
Ω
∙
(
M
;
E
)
{\displaystyle \Omega ^{\bullet }(M;E)}
을 정의할 수 있다.
평탄 벡터 다발 접속
∇
:
Γ
(
E
)
→
Γ
(
E
⊗
T
∗
M
)
{\displaystyle \nabla \colon \Gamma (E)\to \Gamma (E\otimes \mathrm {T} ^{*}M)}
이에 따라 벡터 값 미분 형식 의 외미분
d
∇
:
Ω
∙
(
M
;
E
)
→
Ω
∙
+
1
(
M
;
E
)
{\displaystyle \mathrm {d} _{\nabla }\colon \Omega ^{\bullet }(M;E)\to \Omega ^{\bullet +1}(M;E)}
을 정의할 수 있으며,
d
∇
∘
d
∇
=
0
{\displaystyle \mathrm {d} _{\nabla }\circ \mathrm {d} _{\nabla }=0}
이다.
홀수 차수 닫힌 미분 형식
H
∈
Ω
1
+
2
Z
(
M
)
{\displaystyle H\in \Omega ^{1+2\mathbb {Z} }(M)}
그렇다면,
d
∇
H
=
d
∇
+
H
∧
:
Ω
∙
+
2
Z
(
M
;
E
)
→
Ω
∙
+
1
+
2
Z
(
M
;
E
)
{\displaystyle \mathrm {d} _{\nabla }^{H}=\mathrm {d} _{\nabla }+H\wedge \colon \Omega ^{\bullet +2\mathbb {Z} }(M;E)\to \Omega ^{\bullet +1+2\mathbb {Z} }(M;E)}
을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d
∇
H
∘
d
∇
H
=
0
{\displaystyle \mathrm {d} _{\nabla }^{H}\circ \mathrm {d} _{\nabla }^{H}=0}
이므로, 완전열
⋯
→
Ω
2
Z
(
M
;
E
)
→
d
∇
H
Ω
1
+
2
Z
(
M
;
E
)
→
d
∇
H
Ω
2
Z
(
M
;
E
)
→
d
∇
H
Ω
1
+
2
Z
(
M
;
E
)
→
⋯
{\displaystyle \dotsb \to \Omega ^{2\mathbb {Z} }(M;E)\,{\overset {\mathrm {d} _{\nabla }^{H}}{\to }}\,\Omega ^{1+2\mathbb {Z} }(M;E)\,{\overset {\mathrm {d} _{\nabla }^{H}}{\to }}\,\Omega ^{2\mathbb {Z} }(M;E)\,{\overset {\mathrm {d} _{\nabla }^{H}}{\to }}\,\Omega ^{1+2\mathbb {Z} }(M;E)\to \dotsb }
을 정의할 수 있다. 그 코호몰로지
H
H
i
+
2
Z
(
M
;
E
)
(
i
∈
{
0
,
1
}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_{H}^{i+2\mathbb {Z} }(M;E)\qquad (i\in \{0,1\})}
를 뒤틀린 드람 코호몰로지 라고 한다.
뒤틀린 드람 코호몰로지는 사실 드람 코호몰로지류에만 의존한다. 즉, 임의의
H
∈
Ω
1
+
2
Z
(
M
)
{\displaystyle H\in \Omega ^{1+2\mathbb {Z} }(M)}
B
∈
Ω
2
Z
(
M
)
{\displaystyle B\in \Omega ^{2\mathbb {Z} }(M)}
에 대하여, 항상 표준적으로
H
H
∙
+
2
Z
(
M
;
E
)
≅
H
H
+
d
B
∙
+
2
Z
(
M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_{H}^{\bullet +2\mathbb {Z} }(M;E)\cong \operatorname {H} _{H+\mathrm {d} B}^{\bullet +2\mathbb {Z} }(M;E)}
이다.
증명:
d
∇
H
+
d
B
=
exp
(
−
B
∧
)
d
∇
H
exp
(
B
∧
)
{\displaystyle \mathrm {d} _{\nabla }^{H+\mathrm {d} B}=\exp(-B\wedge )\mathrm {d} _{\nabla }^{H}\exp(B\wedge )}
이다.
홀수 차수 미분 형식
H
=
∑
i
=
0
∞
H
2
i
+
1
{\displaystyle H=\sum _{i=0}^{\infty }H_{2i+1}}
H
2
i
+
1
∈
Ω
2
i
+
1
(
M
)
{\displaystyle H_{2i+1}\in \Omega ^{2i+1}(M)}
으로 정의된 뒤틀린 드람 코호몰로지에서,
H
1
∈
Ω
1
(
M
)
{\displaystyle H_{1}\in \Omega ^{1}(M)}
은 매끄러운 벡터 다발
E
{\displaystyle E}
의 접속으로 흡수할 수 있다. 즉,
E
{\displaystyle E}
의 벡터 다발 접속
∇
{\displaystyle \nabla }
를
d
∇
′
=
d
∇
+
H
1
∧
{\displaystyle \mathrm {d} _{\nabla '}=\mathrm {d} _{\nabla }+H_{1}\wedge }
H
′
=
H
−
H
1
{\displaystyle H'=H-H_{1}}
로 재정의하면,
d
∇
′
H
′
=
d
∇
H
{\displaystyle \mathrm {d} _{\nabla '}^{H'}=\mathrm {d} _{\nabla }^{H}}
이다. 즉, 일반성을 잃지 않고
H
1
=
0
{\displaystyle H_{1}=0}
로 놓을 수 있다.
홀수 차수 미분 형식
구문 분석 실패 (SVG (브라우저 플러그인을 통해 MathML 활성화 가능): "http://localhost:6011/ko.wikipedia.org/v1/" 서버에서 잘못된 응답 ('Math extension cannot connect to Restbase.'):): {\displaystyle H = \sum_{i=0}^\infty H_{2i+1}}
H
2
i
+
1
∈
Ω
2
i
+
1
(
M
)
{\displaystyle H_{2i+1}\in \Omega ^{2i+1}(M)}
으로 정의된 뒤틀린 드람 코호몰로지가 주어졌다고 하자. 다음을 정의하자.
H
(
t
)
=
∑
i
=
1
∞
t
i
H
2
i
+
1
(
t
∈
R
×
)
{\displaystyle H(t)=\sum _{i=1}^{\infty }t^{i}H_{2i+1}\qquad (t\in \mathbb {R} ^{\times })}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2] :Proposition 1.1
H
H
i
+
2
Z
(
M
;
E
)
≅
H
H
i
+
2
Z
(
M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_{H}^{i+2\mathbb {Z} }(M;E)\cong \operatorname {H} _{H}^{i+2\mathbb {Z} }(M;E)}
구체적으로,
c
(
t
)
:
Ω
∙
(
M
)
→
Ω
∙
(
M
)
{\displaystyle c(t)\colon \Omega ^{\bullet }(M)\to \Omega ^{\bullet }(M)}
c
(
t
)
↾
Ω
i
(
M
)
=
t
⌊
i
/
2
⌋
{\displaystyle c(t)\upharpoonright \Omega ^{i}(M)=t^{\lfloor i/2\rfloor }}
를 정의하면,
c
(
t
)
∘
d
∇
H
↾
Ω
i
+
2
Z
(
M
;
E
)
=
λ
i
d
∇
H
(
t
)
∘
c
(
t
)
{\displaystyle c(t)\circ \mathrm {d} _{\nabla }^{H}\upharpoonright \Omega ^{i+2\mathbb {Z} }(M;E)=\lambda ^{i}\mathrm {d} _{\nabla }^{H(t)}\circ c(t)}
이다.
이 변환에서, 1차 성분
H
1
{\displaystyle H_{1}}
은
t
{\displaystyle t}
에 의하여 변하지 않는다. 만약 1차 성분을 재정의할 경우 코호몰로지 차원이 바뀔 수 있다.
H
{\displaystyle H}
가 3차 미분 형식 이며,
E
=
M
×
R
{\displaystyle E=M\times \mathbb {R} }
가 자명한 접속을 갖는 자명한 벡터 다발 인 경우를 생각하자. 이 경우, 만약
M
{\displaystyle M}
이 형식적 공간 이라면, 뒤틀린 드람 코호몰로지는 (뒤틀리지 않은) 드람 코호몰로지 와 동형이다.[ 1] :Theorem 1.6
H
H
∙
(
M
;
R
)
≅
H
∙
(
M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_{H}^{\bullet }(M;\mathbb {R} )\cong \operatorname {H} ^{\bullet }(M;\mathbb {R} )}
끈 이론 에서, 뒤틀린 드람 코호몰로지는 라몽-라몽 장 의 장세기를 나타낸다. 특히, 위상 T-이중성 은 서로 T-이중성 으로 관련된 두 공간 사이의 뒤틀린 드람 코호몰로지의 동형을 정의한다.[ 3] :§3.2 이 경우, 0 또는 1인 등급이 서로 뒤바뀌게 되는데, 이 두 등급은 각각 ⅡA 및 ⅡB형 초끈 이론 에 해당한다.
↑ 가 나 Cavalcanti, Gil (2004). 《New aspects of the ddc lemma》 (영어). 박사 학위 논문. 옥스퍼드 대학교 . arXiv :math/0501406 .
↑ Mathai, Varghese; Wu, Siye (2011). “Analytic torsion for de Rham complexes”. 《Journal of Differential Geometry》 (영어) 88 : 297–332. arXiv :0810.4204 .
↑ Bouwknegt, Peter; Evslin, Jarah; Mathai, Varghese (2004). “T-duality: topology change from H -flux”.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249 (2): 383–415. arXiv :hep-th/0306062 . doi :10.1007/s00220-004-111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