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량카이
우량카이(몽골어: ᠤᠷᠢᠶᠠᠩᠬᠠᠶ, 한국 한자: 兀良哈 올량합, 페르시아어: اوريانكقت Ūriyānkqat)는 중세 몽골에서 몽골 고원의 유목민들이 알타이 우량카이, 투바인, 야쿠트인 등의 "삼림민"들을 가리키던 말이다. 10세기부터 중국 문헌에 언급이 나타나는데, 시대에 따라 그 의미가 확장되어 단순히 자신들보다 미개하다고 생각되는 집단을 일컫는 말처럼 사용되는 모습을 보인다. 몽골인들은 자신들보다 북쪽에 사는 수렵민족을 우량카이라고 불렀고, 명나라와[1] 조선에서는[2] 여진도 우량카이라고 불렀다. 나중에는 건주여진이 야인여진을 우량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3]
일 칸국의 라시드알딘 하마다니가 쓴 『집사(集史)』에서는 우량카이를 시베리아와 접하는 북방의 숲에 사는 "수렵민 우량카이"와 몽골 초원지역에 진출한 "유목민 우량카이"로 양분해 설명하고 있다. 수렵민 우량카이는 양도 소도 말도 모르고 방목지의 게르도 모르고 자작나무 껍질로 만든 막집에 살며 생활했는데, 우연히 자신들의 거주지에 들어온 양을 발견하고 곧 그 양과 소의 생육장소를 찾다가 숲에서 나와 초원에 진출했다는 것이 유목민 우량카이의 기원설화이다. 수렵민 우량카이는 소위 삼림민(اوريانكقت بيشه Ūriyānkqat-i bīsha)들이라고 불리었고, 그들의 영역은 코리 튀메드 및 오늘날의 키르기스스탄 등지와 접했다. 몽골 제국 시대에 활약한 우량카이 출신 사람으로는 사준사구의 일원인 젤메, 수부타이 등이 있다.
14세기 중반 우량카이는 둥베이 요양에 살았다. 우량카이의 지도자 나하추는 거의 반독립 상태의 군벌이었는데, 1375년 북원과 협력하여 요동반도를 공격했다. 이후 나하추는 만주 남부에서 할거했으나 명나라의 공격으로 1388년 항복한다.[4] 한편 몽골 북부 우량카이는 난을 일으켰다가 1538년 다얀 칸에게 토벌되고 대부분이 할하에게 흡수되었다. 바트무크 다얀 칸은 우량카이의 투먼을 해산시켰다.
몽골 중앙에 살던 우량카이는 헹티 산맥 부근에 살다가 16세기 초에 알타이산맥 방향으로 이동했다.[5] 일부는 북원 아래에서 오늘날의 후브스굴 주로 이동하기도 했다.[1] 몽골 헹티 산맥 부근에 우량카이의 후예들이 아직도 살고 있으며, 그 인구는 2010년 기준 26,654 명이다.[6]
1575년 청나라는 북부 국경에 우량카이 팔기를 설치했는데, 이 우량카이는 물론 야인여진 우량카이가 아닌 몽골 우량카이를 이름이다. 팔기군으로 편성된 우량카이는 후브스굴 우량카이, 탄누 우량카이, 켐치크, 살차크, 토주(이상 모두 투바계), 알타이인이 있다.
17세기 초가 되면 우량카이라는 말은 북서부 지방에 드문드문 흩어져 사는 부족들을 그들이 사모예드계인지 튀르크계인지 몽골계인지 상관하지 않고 퉁쳐서 일컫는 말이 되었다.[7] 1757년 청나라는 최북방 국경에 우량카이 기를 설치했다. 몽골인들은 투반인들을 우량카이라고 불렀다. 또 오늘날의 바잉울기 주, 허브드 주에 살던 부족들을 알타이 우량카이라고 불렀는데, 이들은 오이라트와 관련되었음이 확실해 보인다. 또 동부 몽골의 다얀 칸 밑에도 6개 투먼으로 된 우량카이 부족이 있었다. 이 우량카이는 젤메와 수부타이의 출신 부족이었다고 전해진다. 알타이 우량카이나 홉스굴 우량카이는 튀르크계나 사모에드계가 없었다.
여진 우량카이
편집명나라 때는 여진이 중국인들 보기에 만주의 숲속에 사는 "삼림민"들이었고, 그래서 이들도 우량카이와 같은 말인 "올량합"이라고 불렀다.[1] 한국어에서도 여진의 일파를 "올량합"이라고 일컫다가[2] 이 말이 변해 "오랑캐"가 되었는데, 주로 14세기 ~ 15세기에 중화문명에 포함된 세계를 공격하는 외부의 야만인이라는 맥락에서 사용되었다.[1]
조선에서 일컬은 우량카이 또는 올량합(兀良哈)은 두만강 유역에 살던 야인여진 부족인 왈카부(瓦爾喀部)를 가리키던 이름인데, 나중에는 건주여진의 후신인 청나라에서도 야인여진을 일컬어 우량카이라고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3] 임진왜란 때 일본의 가토 기요마사가 두만강을 넘어가 이 여진 우량카이와 교전했다가 패퇴한 바 있다.
다른 뜻
편집한편 야쿠트인의 옛 이름 중에도 "우랑하이(Uraŋxai)"가 있다.[8] 하지만 야쿠트는 우량카이가 아니며, 이는 단순히 야쿠트인의 다른 이름에 불과하다. 러시아의 파벨 네볼신은 1850년대 볼가 칼미크인 중 "우란쿠(Urankhu)" 씨족이 있다고 기록한 바 있다.[9]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Crossley, Pamela Kyle (December 1985). “An Introduction to the Qing Foundation Myth”. Late Imperial China 6 (2): 13–24. doi:10.1353/late.1985.0016.
- ↑ 가 나 태조실록 1권, 총서 126번째기사 / 올량합과 알타리가 조회와서 다투다가 화해하다. 태조가 집에서 이들을 대접하다.
(알타리는 누르하치의 조상 동맹가의 부족인 오돌리 아이만을 말한다) - ↑ 가 나 인조실록 34권, 인조 15년 1월 28일 무진 4번째기사 / 용골대가 한의 칙서를 가지고 오다.
“그대 나라에 있는 올량합(兀良哈) 사람들은 모두 쇄환(刷還)해야 마땅하다. ” - ↑ Willard J. Peterson, John King Fairbank, Denis Twitchett-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7, p.158
- ↑ A.Ochir, Ts.Baasandorj "Custom of the Oirat wedding". 2005
- ↑ National Census 2010
- ↑ C.P.Atwood-Encyclopedia of Mongolia, p.9
- ↑ POPPE, Nicholas (1969). “Review of Menges "The Turkic Languages and Peoples"”. Central Asiatic Journal 12 (4): 330.
- ↑ Mänchen-Helfen, Otto (1992) [1931]. Journey to Tuva. Los Angeles: Ethnographic Pres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180쪽. ISBN 1-878986-04-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