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비평
역사비평(Historical criticism, historical-critical method , higher criticism) 혹은 고등비평이란 기독교의 전통적 성서해석 방법인 역사적 성경해석에 포함되는 근대의 성경 해석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는 16세기 종교개혁 시기에 활용하였던 역사 문법적 성경해석에서 발전한 형태로 "텍스트 뒤에 있는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고대 텍스트의 기원을 조사하는 비평학이다.[1]
역사비평의 일차적 목표는 텍스트가 본래 가지고 있었을 의미를 역사적 맥락과 문헌속에서 발견하는 것이다. 이차적 목표는 텍스트의 저자와 수신자의 역사적 상황에 대한 재구성을 추구하며, 텍스트가 묘사하는 사건의 본질을 재구성함으로써 이를 성취하고자 한다. 고대의 텍스트는 과거를 재구성하기 위한 문서, 기록 또는 출처의 역할을 할 수도 있기에 역사비평가의 주요 관심사이기도 하다. 셈족의 성서 해석과 관련하여, 역사비평가는 이스라엘의 역사뿐 아니라 이스라엘의 문학 역시 해석을 시도하기도 한다.[2] 18세기 성서비평학에서는 "하위비평"(텍스트비평)과 대조적으로 "상위비평"이라는 용어가 주류 학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3]
고대부터 유대교와 기독교의 작품들에서 자주 논의되었지만 역사비평은 주로 세계 여러 지역과 역사 시대로부터 다른 종교 저술에도 적용되어왔다. 특별히 본문의 역사적 기원을 살피면서[4] 자료, 사건, 날짜, 인물, 장소, 사물, 관습 등을 함께 고찰한다. 예를 들어 역사비평 방법으로 구약성경을 해석할 경우에 이스라엘의 다양한 문학 양식뿐만 아니라 그 양식과 관련된 이스라엘의 역사 배경까지도 해석 범주에 넣는다.[5] 역사비평은 이후 성경해석 방법론인 다양한 비평 방법의 기초가 되었다.
역사비평은 17세기에 시작되어 19세기와 20세기에 폭팔적인 관심을 얻었다. 초기 역사비평가들은 전통적인 해석을 거부하는 종교개혁의 기조에 영향을 받았다. 시간이 지나며 오늘날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론, 즉 자료비평, 양식비평, 편집비평, 전승비평, 정경비평 등의 방법론들로 체계화되었다.[6]
개신교의 일부 극보수 개신교 신학계에서는 16세기 성경해석 방법론인 역사적 문법적 방법을 강조하나, 보수나 온건, 진보를 아우르는 대부분의 개신교 신학계에서는 이를 건설적인 관점에서 성경 연구와 설교에도 사용하여 거의 모든 신학교에서도 주요 과목으로 가르친다. 현재는 정교회와 천주교 신학교에서도 성서학에서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B. S. 차일즈는 역사비평에서 진일보한 정경비평 방법론 제시하여 편집 비평 방법론의 길을 열었다.
방법
[편집]역사비평 방법은 텍스트 안에서 언급된 시간, 텍스트가 기록된 장소, 출처, 사건, 날짜, 사람, 장소, 사물 및 언급 된 관습과 같이 텍스트의 역사적 기원[4]을 조사하는데 사용되는 특수 방법이다.
방법론
[편집]역사비평을 포함한 여러 분야:
자료비평
[편집]자료 비평이란 주어진 성경본문 뒤에 있는 원래의 자료를 탐구하는 것이다. 17세기 율리우스 벨하우젠이 시초이다."[7]
편집비평
[편집]편집비평이란 자료들의 수집, 정리, 편집을 연구하는 것이며 저자의 목적과 공동을 재구축한다.[8]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Soulen, Richard N.; Soulen, R. Kendall (2001). 《Handbook of biblical criticism》 3, rev. a expa판. Louisville, 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78쪽. ISBN 0-664-22314-1.
- ↑ Soulen, Richard N. (2001). 《Handbook of Biblical Criticism》. John Knox. 79쪽.
- ↑ Soulen, Richard N. (2001). 《Handbook of Biblical Criticism》. John Knox. 108, 190쪽.
- ↑ 가 나 《보시니 참 좋았다》 개정판. 성서와함께. 2008. 33쪽. ISBN 9788976352132.
- ↑ Soulen, Richard N. (2001). 《Handbook of Biblical Criticism》. John Knox. 79쪽.
- ↑ Law, David R. (2012).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a guide for the perplexed》. Continuum guides for the perplexed. London New York: Continuum. viii–ix쪽. ISBN 978-0-567-11130-2.
- ↑ Antony F. Campbell, SJ, "Preparatory Issues in Approaching Biblical Texts," in The Hebrew Bible in Modern Study, p.6. Campbell renames source criticism as "origin criticism".
- ↑ “Religious Studies Department, Santa Clara University.”. 2006년 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럿거스대학교:공관복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