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낭염
보이기
(심막염에서 넘어옴)
심낭염 | |
---|---|
심낭염을 보여주고 있는 ECG. | |
진료과 | 심장학 |
심낭염(心膜炎, 영어: pericarditis)은 심막(심장막, 심낭)의 염증이다.[1] 심장막염(心臟膜炎), 심막염(心膜炎)이라고도 한다.
심낭염의 병인은 대개가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인한 것으로 간주된다.[2]
대부분의 경우 치료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를 사용하며, 콜히친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앞서 언급된 약물이 적절하지 않다면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3]
병인
[편집]감염
[편집]심낭염은 바이러스, 세균, 균을 통한 감염으로 발생할 수 있다.
선진국에서 바이러스는 병인 전체 케이스 중 약 85%에 해당하는 것으로 짐작된다.[3] 개발도상국에서는 결핵이 흔한 병인이지만, 선진국에서도 드물게 나타난다.[3] 그 중 바이러스성 병인에는 쿡사키 바이러스, 단순포진바이러스과, 귀밑샘염 비루스,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등이 있다.[2]
폐렴 연쇄상구균이나 결핵성 심낭염은 가장 흔한 형태의 균을 통한 감염 형태이다. 혐기성 생물 또한 희귀한 병인으로 간주할 수 있다.[4]
기타
[편집]- 자가면역질환: 전신 홍반성 루푸스, 류마티스성 열,[2] IgG4 관련 질환[5][6]
- 심근 경색 (드레슬러 증후군)[2]
- 심장 외상[2]
- 요독증 (요독심낭염)[2]
- 암[2]
- 방사선 유도[2]
- 대동맥 박리[2]
치료
[편집]바이러스성, 특발성 심낭염의 치료는 아스피린[7] 또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이부프로펜 등의 NSAID)를 사용한다.[2] 추가적인 심낭염 발전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콜히친을 투여할 수 있다.[2][8]
심각한 경우 다음 중 하나 이상이 요구될 수 있다:
- 심장막천자: 심낭삼출액/심장눌림을 해결하기 위해
- 항생물질: 폐결핵, 기타 세균성 병인을 치료하기 위해
- 스테로이드: 급성심막염에 사용되지만 재발 가능성이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는다.
- 드문 경우 수술
- 수축성심막염의 경우 심장막절제술
각주
[편집]- ↑ “What Is Pericarditis?”. 《NHLBI》. 2012년 9월 26일.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Tingle, LE; Molina, D; Calvert, CW (2007년 11월 15일). “Acute pericarditis.”. 《American family physician》 76 (10): 1509–14. PMID 18052017.
- ↑ 가 나 다 Imazio, M; Gaita, F; LeWinter, M (2015년 10월 13일). “Evaluation and Treatment of Pericarditis: A Systematic Review.”. 《JAMA》 314 (14): 1498–506. doi:10.1001/jama.2015.12763. PMID 26461998.
- ↑ Brook I (2009). “Pericarditis caused by anaerobic bacteria”. 《Int J Antimicrob Agents》: 297–300.
- ↑ Ibe, Tatsuro; Nakamura, Tomohiro; Taniguchi, Yousuke; Momomura, Shin-ichi (2016년 6월 1일). “IgG4-related effusive constrictive pericarditis”. 《European Heart Journal - Cardiovascular Imaging》 17 (6): 707–707. doi:10.1093/ehjci/jew056. PMID 27044912.
- ↑ Atallah, Pierre Charbel; Kassier, Adnan; Powers, Stephanie (2014년 9월 20일). “IgG4-related disease with effusive–constrictive pericarditis, tamponade, and hepatopathy: A novel triad”.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176 (2): 516–518. doi:10.1016/j.ijcard.2014.07.046. PMID 25062559.
- ↑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CP). 〈Pericardial disease〉. 《Medical Knowledge Self-Assessment Program (MKSAP-15): Cardiovascular Medicine》. 64쪽. ISBN 9781934465288. 2010년 8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Alabed, S; Cabello, JB; Irving, GJ; Qintar, M; Burls, A (2014년 8월 28일). “Colchicine for pericarditi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8: CD010652. doi:10.1002/14651858.CD010652.pub2. PMID 25164988.
외부 링크
[편집]- Troughton RW, Asher CR, Klein AL (February 2004). “Pericarditis”. 《Lancet》 363 (9410): 717–27. doi:10.1016/S0140-6736(04)15648-1. PMID 15001332.
- Maisch B, Seferović PM, Ristić AD, 외. (April 2004). “Guidelines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ericardial diseases executive summary; The Task force o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ericardial diseases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ur. Heart J.》 25 (7): 587–610. doi:10.1016/j.ehj.2004.02.002. PMID 15120056.
이 글은 질병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