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역학 에서 페르미-디랙 통계 (Fermi–Dirac statistics )는 열적 평형 상태에서 페르미 입자 들이 보이는 통계적 분포다.
페르미 입자들은 구별 불가능한 입자이며 파울리 배타 원리 를 따른다. 즉, 두개 이상의 입자가 같은 양자 상태에 동시에 존재하지 않는다. 양자역학적으로, 이러한 배타 원리는 입자의 교환 연산자 아래 계의 파동 함수 가 −1의 고윳값 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서로 상호작용하지 않는 페르미 입자로 이루어진 계를 페르미 기체 라고 한다.
파울리 배타 원리 에 의하여, 페르미 기체의 통계적 분포는 맥스웰-볼츠만 분포 를 따르는 고전적 이상 기체 에 대하여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페르미 기체의 통계를 페르미-디랙 통계 라 한다.
페르미-디랙 통계는 1926년에 엔리코 페르미 와 폴 디랙 에 의해 소개되었고, 1926년에 랄프 파울러 에 의해 백색왜성으로의 별의 붕괴에 적용되었으며, 1926년에는 아르놀트 조머펠트 에 의해 금속의 전자에도 적용되었다. 파스쿠알 요르단 은 1925년에 "파울리 통계"라 불렀던 같은 통계를 만들었다. 문제는 심사위원인 막스 보른 이 그의 논문을 다시 찾기 전까지 여섯 달이나 잊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 사이에 엔리코 페르미와 폴 디랙이 자체적으로 만들어냈다.
페르미 기체의 큰 분배 함수 는 다음과 같다.
Z
G
F
D
=
∏
k
=
1
∞
(
1
+
z
e
−
β
ϵ
k
)
{\displaystyle Z_{G}^{FD}=\prod _{k=1}^{\infty }(1+ze^{-\beta \epsilon _{k}})}
(
z
=
exp
(
β
μ
)
{\displaystyle z=\exp(\beta \mu )}
.
이는 다음과 같이 유도할 수 있다.
Z
G
F
D
=
∑
n
1
,
n
2
,
⋯
=
0
1
e
−
β
(
ϵ
1
−
μ
)
n
1
e
−
β
(
ϵ
2
−
μ
)
n
2
⋯
{\displaystyle Z_{G}^{FD}=\sum _{n_{1},n_{2},\cdots =0}^{1}e^{-\beta (\epsilon _{1}-\mu )^{n_{1}}}e^{-\beta (\epsilon _{2}-\mu )^{n_{2}}}\cdots }
=
∏
k
=
1
∞
∑
n
k
=
0
1
e
−
β
(
ϵ
k
−
μ
)
n
k
{\displaystyle =\prod _{k=1}^{\infty }\sum _{n_{k}=0}^{1}e^{-\beta (\epsilon _{k}-\mu )^{n_{k}}}}
=
∏
k
=
1
∞
∑
n
k
=
0
1
(
z
e
−
β
ϵ
k
)
n
k
{\displaystyle =\prod _{k=1}^{\infty }\sum _{n_{k}=0}^{1}(ze^{-\beta \epsilon _{k}})^{n_{k}}}
=
∏
k
=
1
∞
(
1
+
z
e
−
β
ϵ
k
)
{\displaystyle =\prod _{k=1}^{\infty }(1+ze^{-\beta \epsilon _{k}})}
이에 따라, 상태
i
{\displaystyle i}
에 놓여 있는 입자의 점유수는 다음과 같다.
n
i
=
g
i
e
ϵ
i
−
μ
k
T
+
1
{\displaystyle n_{i}={\frac {g_{i}}{e^{\epsilon _{i}-\mu \over kT}+1}}}
n
i
{\displaystyle n_{i}}
: 상태
i
{\displaystyle i}
에 놓인 입자의 점유수
g
i
{\displaystyle g_{i}}
: 상태
i
{\displaystyle i}
에서의 겹침
ϵ
i
{\displaystyle \scriptstyle \epsilon _{i}}
: 상태
i
{\displaystyle i}
에서의 에너지
μ
{\displaystyle \scriptstyle \mu }
: 화학 퍼텐셜 (때때로 페르미 에너지 라 불리며,
E
F
{\displaystyle E_{F}}
로 표시한다)
k
{\displaystyle k}
: 볼츠만 상수
T
{\displaystyle T}
: 절대온도
이 경우에
μ
{\displaystyle \scriptstyle \mu }
가 페르미 에너지
E
F
{\displaystyle E_{F}}
이고
g
i
=
1
{\displaystyle \scriptstyle g_{i}=1}
이면,
F
(
E
)
=
1
1
+
e
E
−
E
F
k
T
=
(
1
+
e
E
−
E
F
k
T
)
−
1
{\displaystyle F(E)={\frac {1}{1+e^{{E-E_{F}} \over kT}}}=\left(1+e^{{E-E_{F}} \over kT}\right)^{-1}}
가 된다.
위의 수식을 페르미 함수 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