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벼과 | ||
---|---|---|
왕포아풀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 외떡잎식물군 | |
(미분류): | 닭의장풀군 | |
목: | 벼목 | |
과: | 벼과 Poaceae Barnhart, 1895 | |
모식종 | ||
포아풀속(Poa L.) | ||
[출처 필요] | ||
학명이명 | ||
이명 목록
| ||
아과 | ||
|
벼과(-科, 학명: Poaceae 포아케아이[*])는 벼목의 과이다.[1] 화본(禾本, 영어: grass 그래스[*])으로도 알려져 있다. 고등 식물 중 가장 큰 과의 하나이다.
세계 각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700여 속의 12,000여 종 가량이 알려져 있다. 벼나 밀, 옥수수를 비롯하여 식량이나 사료로 이용되는 매우 중요한 종류가 많다.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 초본이 대부분이지만 대나무류와 같이 목질화되는 것도 있다. 줄기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 잎의 밑부분은 잎집이 되어 줄기를 둘러싸고 있는데 그 위 끝에는잎혀라고 부르는 돌기가 있다. 꽃차례는 1개 또는 몇 개의 꽃과 몇 종류의 포엽이 모여서 작은이삭이라는 특별한 단위를 이루고 있다. 작은이삭의 밑부분에는 2개의 포영이 있고, 그것에 이어 1개 또는 몇 개의 호영이 2열로 어긋나는데, 그 겨드랑이에 꽃이 달린다. 호영은 까락이 생기는 일도 있다.
한편, 호영의 안쪽에는 2개의 주맥을 가진 내영이 있는데, 이것은 2개의 바깥 꽃덮이조각이 합쳐진 것이다. 또, 그 안쪽에 2개의 작은 비늘껍질이 있다. 이것은 내꽃덮이조각에 해당되는데, 꽃이 필 때는 팽윤하여 영류(穎類)를 밀고 벌어지게 된다. 수술은 3-6개가 있고, 씨방은 원래 3개의 심피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되었으나, 실제로는 격벽이 없어져 1개의 방으로 되어 있으며, 그 속에 1개의 밑씨가 생길 뿐이다. 암술머리는 2-3개인데 깃볼로 털이 나 있다. 대부분 풍매화이며 씨는 성숙하면 과피의 안쪽과 합쳐져 영과라고 불리는 폐과가 된다. 꽃차례는 다수의 작은이삭으로 이루어지는데, 작은이삭에 복자루가 있을 경우에는 원추꽃차례가 되는 데 비해, 꽃자루가 없을 경우에는 이삭꽃차례가 된다.
하위 분류
|
계통 분류
벼목 |
| ||||||||||||||||||||||||||||||||||||||||||||||||||||||||||||||||||||||||||||||||||||||||||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의 숫자는 추정되는 종의 수이다.[4]
벼과 |
| ||||||||||||||||||||||||||||||||||||||||||||||||||||||||||||||||||
같이 보기
각주
- ↑ Barnhart, John Hendley. Bulletin of the Torrey Botanical Club 22: 7. 1895.
- ↑ Bouchenak-Khelladi, Yanis; Muasya, A. Muthama; Linder, H. Peter (2014). “A revised evolutionary history of Poales: origins and diversification”.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75 (1): 4–16. doi:10.1111/boj.12160. ISSN 0024-4074.
- ↑ Briggs, Barbara G.; Marchant, Adam D.; Perkins, Andrew J. (2014). “Phylogeny of the restiid clade (Poales) and implications for the classification of Anarthriaceae, Centrolepidaceae and Australian Restionaceae”. 《Taxon》 63 (1): 24–46. doi:10.12705/631.1. ISSN 0040-0262.
- ↑ Grass Phylogeny Working Group II (2012).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New Phytologist》 193 (2): 304–312. doi:10.1111/j.1469-8137.2011.03972.x. PMID 22115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