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 공간
일반위상수학에서 베르 공간(Baire空間, 영어: Baire space)은 가산 개의 조밀 열린집합들의 교집합이 조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수의’ 점들을 갖는 위상 공간이다.
정의
[편집]쇼케 게임
[편집]공집합이 아닌 위상 공간 가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2인(人) 게임을 생각하자.
- 두 선수 갑(甲)과 을(乙)이 있다.
- 갑과 을은 수(手)를 두는 것을 반복하며, 갑이 먼저 수를 둔다. 여기서, 수를 둔다는 것은 공집합이 아닌 열린집합 를 고르는 것이다. 수들을 라고 하자. (즉, 갑은 를 두고, 을은 를 둔다.) 각 선수는 이전에 놓인 모든 수(手)들을 알고 있으며, 또한 이어야 한다.
- 만약 라면 갑이 이기며, 아니라면 을이 이긴다.
이를 쇼케 게임(영어: Choquet game) 이라고 한다.[1]:43, Definition 8.10[2]:39–40, §1[3]:234, §4
공집합이 아닌 위상 공간 가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2인(人) 게임을 생각하자.
- 두 선수 갑(甲)과 을(乙)이 있다.
- 갑과 을은 수(手)를 두는 것을 반복하며, 갑이 먼저 수를 둔다. 여기서, 수를 둔다는 것은 열린집합과 그 속의 점의 순서쌍 를 고르는 것이다. 수들을 라고 하자. (즉, 갑은 를 두고, 을은 를 둔다.) 각 선수는 이전에 놓인 모든 수(手)들을 알고 있으며, 또한 이며 이어야 한다.
- 만약 라면 갑이 이기며, 아니라면 을이 이긴다.
이를 강한 쇼케 게임(영어: strong Choquet game) 이라고 한다.
베르 공간과 쇼케 공간
[편집]위상 공간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은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위상 공간을 베르 공간이라고 한다.
- ㈀ 내부가 공집합인, 임의의 가산 개의 닫힌집합들의 합집합의 내부는 항상 공집합이다.
- ㈁ 임의의 가산 개의 조밀 열린집합들의 교집합은 조밀 집합이다.[1]:41, Proposition 8.1(iii)
- ㈂ 제1 범주 열린집합은 공집합 밖에 없다.[1]:41, Proposition 8.1(i)
- ㈃ 모든 제1 범주 집합의 여집합이 조밀 집합이다.[1]:41, Proposition 8.1(ii)
- ㈄ 공집합이거나, 또는 쇼케 게임 에서, 갑이 필승 전략을 갖지 않는다.[1]:43, Theorem 8.11[2]:41, Theorem 1
증명:
조건 ㈀ ⇒ 조건 ㈂: 가 조건 ㈀을 만족시키며, 가 제1 범주 열린집합이라고 하자. 이며, 가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다.
조건 ㈂ ⇒ 조건 ㈃: 가 조건 ㈀을 만족시키며, 가 제1 범주 집합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는 제1 범주 열린집합이다. 따라서, 이다. 따라서 는 조밀 집합이다.
조건 ㈃ ⇒ 조건 ㈁: 가 조건 ㈃을 만족시키며, 가 조밀 열린집합들의 열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는 제1 범주 집합이다. 따라서, 는 조밀 집합이다.
조건 ㈁ ⇒ 조건 ㈄: 쇼케 게임 의 합법적인 수들로 구성된 나무를 로 쓰자. 에서 갑의 필승 전략 가 주어졌다고 하자. 즉, 는 함수이며,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
그렇다면, 에서 조건 ㈁이 거짓임을 보이면 족하다.
라고 쓰자. 초른 보조정리에 따라, 임의의 에 대하여,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극대 집합족이라고 하자.
- 임의의 에 대하여,
- 는 서로소 집합들의 집합이다.
그렇다면, 은 의 조밀 집합이다. (만약 가 의 공집합이 아닌 열린집합이며, 와 서로소라면, 가 위 두 조건을 만족시키므로, 모순이다.) 이제,
라고 하자. 그렇다면, 각 는 의 조밀 집합이다. 따라서, 각 는 의 조밀 열린집합이다. 따라서, 을 보이면 족하다. 귀류법을 사용하여, 라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나무 에서, 각 에 대하여 인 극대 사슬 을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며, 이는 가 갑의 필승 전략인 것과 모순이다.
조건 ㈄ ⇒ 조건 ㈀: 가 내부가 공집합인, 의 닫힌집합들의 열이지만, 의 내부가 공집합이 아니라고 하자. 그렇다면, 쇼케 게임 에서 갑의 필승 전략을 찾으면 족하다. 지금까지 둔 수가 일 때, 갑이 를 두는 갑의 전략을 생각하자. (의 내부가 공집합이므로, 반드시 이다.) 그렇다면, 이므로, 이다. 즉, 이는 갑의 필승 전략이다.
위상 공간 가 공집합이거나, 또는 그 쇼케 게임에서 을이 필승 전략을 갖는다면, 를 쇼케 공간(Choquet空間, 영어: Choquet space)이라고 한다.[1]:Definition 8.12 위상 공간 가 공집합이거나, 또는 그 강한 쇼케 게임에서 을이 필승 전략을 갖는다면, 를 강한 쇼케 공간(Choquet空間, 영어: strong Choquet space)이라고 한다. 따라서, 모든 쇼케 공간은 베르 공간이며, 모든 강한 쇼케 공간은 쇼케 공간이나,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공집합이 아닌 위상 공간들은 그 쇼케 게임의 성질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세 종류로 분류된다.
쇼케 게임의 성질 | 갑이 필승 전략을 가짐 | 갑·을 아무도 필승 전략을 갖지 못함 | 을이 필승 전략을 가짐 |
---|---|---|---|
위상 공간의 성질 | 베르 공간이 아닌 공간 | 쇼케 공간이 아닌 베르 공간 | 쇼케 공간 |
성질
[편집]베르 공간의 공집합이 아닌 열린집합은 제1 범주 집합이 아니다. 특히, 공집합이 아닌 베르 공간의 제1 범주 집합의 여집합은 공집합이 아니다.
함의 관계
[편집]베르 범주 정리(Baire範疇定理, 영어: Baire category theorem)는 어떤 위상 공간이 베르 공간이 될 충분조건을 제시하는 두 개의 정리를 일컫는다.[4]:415–417
- (제1 베르 범주 정리) 완비 거리화 가능 공간은 베르 공간이다.[5]:296[6]:97[7]:345[1]:41, Theorem 8.4[8]:57, Theorem I.17.1
- (제2 베르 범주 정리)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은 베르 공간이다.[9]:234[1]:41, Theorem 8.4[8]:57, Theorem I.17.1
제1 베르 범주 정리의 증명:
제2 베르 범주 정리의 증명:
제1 베르 범주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의존적 선택 공리가 필요하다.[10]
사실, 모든 완비 거리화 가능 공간과 모든 국소 콤팩트 차분한 공간[11]:12, Proposition 9.1은 강한 쇼케 공간이다. (“국소 콤팩트 차분한 공간”에서, “국소 콤팩트”는 모든 점이 콤팩트 국소 기저를 갖는 조건을 일컫는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완비 거리화 가능 공간 | ||||||||
⇘ | ||||||||
강한 쇼케 공간 | ⇒ | 쇼케 공간 | ⇒ | 베르 공간 | ||||
⇗ | ||||||||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 ⇒ | 국소 콤팩트 차분한 공간 |
증명 (국소 콤팩트 차분한 공간은 강한 쇼케 공간):
연산에 대한 닫힘
[편집]베르 공간의 임의의 열린집합은 베르 공간이다.[5]:297[1]:41, Proposition 8.3 마찬가지로, 쇼케 공간의 열린집합은 쇼케 공간이다.[1]:44, Exercise 8.13 그러나 베르 공간의 닫힌집합은 베르 공간이 아닐 수 있다.
증명 (베르 공간의 열린집합은 베르 공간):
베르 공간 조건은 국소적이다. 즉, 위상 공간 X의 모든 점들이 베르 근방을 가질 때 X도 베르 공간이 된다.[5]:299
베르 공간들의 곱공간은 베르 공간이 아닐 수 있다. 그러나 쇼케 공간들의 곱공간은 항상 쇼케 공간이다.[1]:44, Exercise 8.13
가 베르 공간, 가 거리화 가능 공간이라 하자. 이때 연속 함수들의 열 ()이 어떤 함수 로 점별 수렴한다면, 가 연속 함수인 점들의 집합은 의 조밀 집합이다.[5]:297
예
[편집]공집합은 (자명하게) 베르 공간이다.
모든 하우스도르프 국소 유클리드 공간은 (국소 콤팩트 공간이므로) 베르 공간이다.
모든 폴란드 공간은 (완비 거리화 가능 공간이므로) 베르 공간이다.
연속 함수 공간
[편집]연속 함수의 집합 위에 거리 함수 를 주면, 이는 완비 거리 공간이며, 따라서 베르 공간이다.
적어도 한 점에서 미분 가능한 연속 함수의 집합은 안에서 제1 범주 집합임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그 여집합은 공집합이 아니다. 이는 어떤 점에서도 미분 가능하지 않은 함수의 예이다.[9]:238–240
유리수에서만 연속인 함수의 부재
[편집]실수선 는 완비 거리 공간이자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며, 따라서 베르 공간이다.
가 조밀 집합이며, 함수 가 에서 연속 함수라고 하자. 이 경우, 가 연속이 아닌 실수들의 집합은 제1 범주 집합이다. 무리수의 집합은 제1 범주 집합이 아니므로, 유리수에서만 연속인 함수는 존재하지 않는다.[9]:237–238
극대 원소 집합
[편집]연속 dcpo 위에 스콧 위상을 부여하였을 때, 그 극대 원소의 집합 는 강한 쇼케 공간이며, 특히 베르 공간이다.[12]:182, Theorem 5.1
역사
[편집]실수선 위의 베르 범주 정리는 미국의 수학자 윌리엄 포그 오스굿(영어: William Fogg Osgood, 1864~1943)이 1896년 8월에 최초로 발표하였다.[13][14]
이후 이와 독자적으로 프랑스의 수학자 르네루이 베르가 1899년 박사 학위 논문에서 유클리드 공간에서의 베르 범주 정리와 제1 범주 집합의 개념을 도입하였다.[15][16]
쇼케 게임은 귀스타브 쇼케(프랑스어: Gustave Choquet, 1915~2006)가 1958년에 도입하였다.[17][18]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Kechris, Alexander Sotirios (1995). 《Classical descriptive set theo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56.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612-4190-4. ISBN 978-1-4612-8692-9. ISSN 0072-5285. MR 1321597. Zbl 0819.04002.
- ↑ 가 나 Cao, Jiling; Moors, Warren B. (2006). “A survey on topological games and their applications in analysis” (PDF). 《Revista de la Real Academia de Ciencias Exactas, Físicas y Naturales Serie A Matemáticas》 (영어) 100 (1–2): 39–49. ISSN 1578-7303. Zbl 1114.91024. 2015년 9월 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3일에 확인함.
- ↑ Telgársky, Rastislav (1987). “Topological games: on the 50th anniversary of the Banach–Mazur game”. 《Rocky Mountain Journal of Mathematics》 (영어) 17 (2). doi:10.1216/RMJ-1987-17-2-227. ISSN 0035-7596. MR 892457.
- ↑ 박대희; 안승호 (2009). 《위상수학》. 경문사.
- ↑ 가 나 다 라 마 Munkres, James R. (2000). 《Topology》 (영어) 2판. Prentice Hall. ISBN 978-0-13-181629-9. MR 0464128. Zbl 0951.54001.
- ↑ Rudin, Walter (1987). 《Real and Complex Analysis》 (영어) 3판. McGraw-Hill. ISBN 978-0-07-054234-1. MR 0924157. Zbl 0925.00005.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6일에 확인함.
- ↑ 유정옥 (2006). 《알기쉬운 위상수학》. 교우사.
- ↑ 가 나 Bredon, Glen E. (1993). 《Topology and geomet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139. Springer-Verlag. doi:10.1007/978-1-4757-6848-0. ISBN 978-0-387-97926-7. ISSN 0072-5285.
- ↑ 가 나 다 김승욱 (2004). 《위상수학: 집합론을 중심으로》 2판. 경문사. ISBN 89-7282-587-5. 2014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 Blair, Charles E. (1977). “The Baire category theorem implies the principle of dependent choices”. 《Bulletin de l’Académie Polonaise des Sciences. Série des Sciences Mathématiques, Astronomiques et Physiques》 (영어) 25 (10): 933–934. ISSN 0001-4117. Zbl 0377.04011.
- ↑ de Brecht, Matthew; Goubault-Larrecq, Jean; Jia, Xiaodong; Lyu, Zhenchao (2019). “Domain-complete and LCS-complete spaces”. 《Electronic Notes in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영어) 345: 3–35. arXiv:1902.11142. doi:10.1016/j.entcs.2019.07.014. ISSN 1571-0661. MR 4025962.
- ↑ Martin, Keye (2003). “Topological games in domain theory”. 《Topology and its Applications》 (영어) 129 (2): 177–186. doi:10.1016/S0166-8641(02)00147-5. ISSN 0166-8641. MR 1961398. Zbl 1026.06012.
- ↑ Osgood, William Fogg (1897년 4월). “Non-uniform convergence and the integration of series term by term”. 《American Journal of Mathematics》 (영어) 19 (2): 155–190. doi:10.2307/2369589. ISSN 0002-9327. JFM 28.0221.01. JSTOR 2369589.
- ↑ Osgood, William Fogg (1901). “Note on the functions defined by infinite series whose terms are analytic functions of a complex variable; with corresponding theorems for definite integrals”.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3 (1–4): 25–34. doi:10.2307/1967630. ISSN 0003-486X. JFM 32.0399.01. JSTOR 1967630. MR 1502274.
- ↑ Baire, R. (1899). “Sur les fonctions de variables réelles”. 《Annali di Matematica Pura ed Applicata》 (프랑스어) 3: 1–123. doi:10.1007/BF02419243. ISSN 0373-3114. JFM 30.0359.01.
- ↑ Jones, Sara Hawtrey (1999). “Applications of the Baire category theorem”. 《Real Analysis Exchange》 (영어) 23 (2): 363–394. ISSN 0147-1937. MR 1640007. Zbl 0943.26013.
- ↑ Choquet, Gustave (1958년 1월 13일). “Une classe régulière d’espaces de Baire”.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프랑스어) 246: 218-220.
- ↑ Choquet, Gustave (1969). 《Lectures on analysis. Volume I: integration and topological vector spaces》 (영어). W. A. Benjamin. MR 0250011.
외부 링크
[편집]- “Baire spac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Baire theorem”.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Banach-Mazur game”.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Weisstein, Eric Wolfgang. “Baire space”.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Weisstein, Eric Wolfgang. “Baire category theorem”. 《Wolfram MathWorld》 (영어). Wolfram Research.
- “Baire space”. 《nLab》 (영어).
- “Baire space”. 《Topospaces》 (영어). 2016년 7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Baire property is open subspace-closed”. 《Topospaces》 (영어). 2016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Completely metrizable implies Baire”. 《Topospaces》 (영어). 2016년 5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Locally compact Hausdorff implies Baire”. 《Topospaces》 (영어). 2016년 5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Definition: Baire space (topology)”. 《ProofWiki》 (영어). 2014년 9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Equivalence of definitions of Baire space”. 《ProofWiki》 (영어). 2017년 7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Baire space iff open sets are non-meager”. 《ProofWiki》 (영어). 2015년 6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Baire category theorem”. 《ProofWiki》 (영어). 2014년 9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Baire-Osgood theorem”. 《ProofWiki》 (영어). 2014년 9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Tao, Terry (2009년 2월 1일). “The Baire category theorem and its Banach space consequences”. 《What’s new》 (영어).
- Ma, Dan (2012년 8월 12일). “Baire category theorem and the finite intersection property”. 《Dan Ma’s Topology Blog》 (영어). 2016년 4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Ma, Dan (2012년 6월 2일). “A question about the rational numbers”. 《Dan Ma’s Topology Blog》 (영어). 2016년 4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11일에 확인함.
- Ma, Dan (2012년 6월 8일). “The Banach-Mazur game”. 《Dan Ma’s Topology Blog》 (영어). 2016년 9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3일에 확인함.
- Salvatore, James (2012년 1월 5일). “Baire category theorem”. 《Dyinglovegrape》 (영어). 2016년 10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3일에 확인함.
- “Classic applications of Baire category theorem” (영어). Math Overf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