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이탈리아의 국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탈리아인들의 노래》의 악보

이탈리아인들의 노래》(이탈리아어: Il Canto degli Italiani 일 깐또 델리 이딸랴니[*])[1][2]이탈리아 공화국국가이다. 이탈리아의 형제들(Fratelli d'Italia 프라텔리 디탈리아[*]), 마멜리의 찬가(Inno di Mameli 인노 디 마멜리[*]), 국가(國歌, Canto nazionale 칸토 나치오날레[*]), 이탈리아 찬가(Inno d'Italia 인노 디탈리아[*])로도 불린다. 1847년 고프레도 마멜리(Goffredo Mameli)와 미켈레 노바로(Michele Novaro)가 각각 작사, 작곡하였다.

비록 1861년 이탈리아 왕국 공포 후에 사보이아가의 공식 노래였던 '왕의 행진곡'이 이탈리아 왕국의 국가로 채택됐지만, 본 노래는 이탈리아 통일 시기를 비롯하여 노래 공개 후 약 10년 동안 매우 유명해졌다.

마멜리는 가리발디 장군 휘하의 장병으로 통일 전쟁에 참전했는데 1849년, 로마의 지나코로 언덕에서 전사했다. 마멜리가 지었던 시는 제노바 출신 작곡가인 노바로가 찾아냈고, 그는 곧 작곡을 하게 된다. 이탈리아인들의 노래는 그 당시의 정치 상황 속에서는 매우 보수적이지 않다고 간주되었는데, 이는 이 노래가 명백하게 공화주의자코뱅주의를 표현했기 때문에, 이탈리아 통일의 결과물인 군주제와는 맞지 않은게 자명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이탈리아는 공화국이 되었고, 이탈리아인의 노래는 1946년 10월 12일에 임시 국가로 채택됐고, 이로서 실질적인 이탈리아 공화국의 국가로 지금까지 남게되는 역할을 했다. 수 십년 동안 위 곡을 공식 국가로 명명하기 위한 토론을 국회에서 이어나갔고, 2017년 12월 4일 181호 법을 통해 이탈리아인의 노래는 국가의 법적 지위를 받게 됐다.

가사

[편집]
로마자 국제 음성 기호 독음

𝄆 Fratelli d'Italia,
l'Italia s'è desta,
dell'elmo di Scipio
s'è cinta la testa.
Dov'è la Vittoria?
Le porga la chioma,
ché schiava di Roma
Iddio la creò. 𝄇

Coro:
𝄆 Stringiamoci a coorte,
siam pronti alla morte.
Siam pronti alla morte,
l'Italia chiamò! 𝄇
Sì!

𝄆 Noi fummo da secoli
calpesti, derisi,
perché non siam popolo,
perché siam divisi.
Raccolgaci un'unica
bandiera, una speme:
di fonderci insieme
già l'ora suonò. 𝄇

Coro

𝄆 Uniamoci, amiamoci,
l'unione e l'amore
rivelano ai popoli
le vie del Signore.
Giuriamo far libero
il suolo natio:
uniti, per Dio,
chi vincer ci può? 𝄇

Coro

𝄆 Dall'Alpi a Sicilia
dovunque è Legnano,
ogn'uom di Ferruccio
ha il core, ha la mano,
i bimbi d'Italia
si chiaman Balilla,
il suon d'ogni squilla
i Vespri suonò. 𝄇

Coro

𝄆 Son giunchi che piegano
le spade vendute:
già l'Aquila d'Austria
le penne ha perdute.
Il sangue d'Italia,
il sangue Polacco,
bevé, col cosacco,
ma il cor le bruciò. 𝄇

Coro

𝄆 Evviva l'Italia,
dal sonno s'è desta,
dell'elmo di Scipio
s'è cinta la testa.
Dov'è la vittoria?!
Le porga la chioma,
ché schiava di Roma
Iddio la creò. 𝄇

Coro[3][4]

𝄆 [fra.ˈtɛl.li di.ˈtaː.lja ǀ]
[li.ˈtaː.lja ˌsɛ‿d.ˈde.sta ǀ]
[del.ˈlel.mo di‿ʃ.ˈʃiː.pjo]
[ˌsɛ‿t.ˈt͡ʃin.ta la ˈtɛ.sta ǁ]
[do.ˈvɛ‿l.la vit.ˈtɔː.rja ǀ]
[le ˈpɔr.ɡa la ˈkjɔː.ma ǀ]
[ke ˈskjaː.va di ˈroː.ma]
[id.ˈdiː.o la kre.ˈɔ ǁ] 𝄇

[ˈkɔː.ro]
𝄆 [strin.ˈd͡ʒam(o).t͡ʃ‿a‿k.ko.ˈor.te ǀ]
[ˌsjam‿ˈpron.tj‿al.la ˈmɔr.te ǁ]
[ˌsjam‿ˈpron.tj‿al.la ˈmɔr.te ǀ]
[li.ˈtaː.lja kja.ˈmɔ ǁ] 𝄇
[ˈsi]

𝄆 [ˌnoi̯‿ˈfum.mo da (s.)ˈsɛː.ko.li]
[kal.ˈpe.sti ǀ de.ˈriː.zi ǀ]
[per.ˈke‿n.non ˌsjam‿ˈpɔː.po.lo ǀ]
[per.ˈke‿s.ˌsjam di.ˈviː.zi ǁ]
[rak.ˈkɔl.ɡa.t͡ʃi(‿)u.ˈnuː.ni.ka]
[ban.ˈdjɛː.ra(‿)u.na ˈspɛː.me ǀ]
[di ˈfon.der.t͡ʃ‿in.ˈsjɛː.me]
[ˌd͡ʒa‿l.ˈloː.ra swo.ˈnɔ ǁ] 𝄇

[ˈkɔː.ro]

𝄆 [u.ˈnjaː.mo.t͡ʃi(‿)a.ˈmjaː.mo.t͡ʃi ǀ]
[lu.ˈnjoː.n(e)‿e‿l.la.ˈmoː.re]
[ri.ˈveː.la.no(‿)ai̯ ˈpɔː.po.li]
[le ˈviː.e del siɲ.ˈɲoː.re ǁ]
[d͡ʒu.ˈrjaː.mo ˌfar‿ˈliː.be.ro]
[il ˈswɔː.lo na.ˈtiː.o ǀ]
[u.ˈniː.ti ǀ per ˈdiː.o ǀ]
[ˌki‿v.ˈvin.t͡ʃer t͡ʃi ˈpwɔ ǁ] 𝄇

[ˈkɔː.ro]

𝄆 [dal.ˈlal.pj‿a‿s.si.ˈt͡ʃiː.lja]
[do.ˈvuŋ.kw(e)‿ˌɛ‿l.leɲ.ˈɲaː.no ǀ]
[oɲ.ˈɲwɔm di fer.ˈrut.t͡ʃo]
[ˌa‿i̯l ˈkɔː.re(‿)ˌa‿l.la ˈmaː.no ǀ]
[i ˈbim.bi di.ˈtaː.lja]
[si ˈkjaː.man ba.ˈlil.la ǀ]
[il ˈswɔn ˌdoɲ.ɲi‿ˈskwil.la]
[i ˈvɛ.spri swo.ˈnɔ ǁ] 𝄇

[ˈkɔː.ro]

𝄆 [ˌson‿ˈd͡ʒuŋ.ki ke‿p.ˈpjɛː.ɡa.no]
[le ˈspaː.de ven.ˈduː.te ǀ]
[ˌd͡ʒa‿l.ˈlaː.kwi.la ˈdau̯.strja]
[le ˈpen.ne(‿)ˌa‿p.per.ˈduː.te ǁ]
[il ˈsaŋ.ɡwe di.ˈtaː.lja ǀ]
[il ˈsaŋ.ɡwe po.ˈlak.ko ǀ]
[be.ˈve ǀ kol ko.ˈzak.ko ǀ]
[ma‿i̯l ˈkɔr le bru.ˈt͡ʃɔ ǁ] 𝄇

[ˈkɔː.ro]

𝄆 [ev.ˈviː.va li.ˈtaː.lja ǀ]
[dal ˈsɔn.no ˌsɛ‿d.ˈde.sta ǀ]
[del.ˈlel.mo di‿ʃ.ˈʃiː.pjo]
[ˌsɛ‿t.ˈt͡ʃin.ta la ˈtɛ.sta ǁ]
[do.ˈvɛ‿l.la vit.ˈtɔː.rja ǀ]
[le ˈpɔr.ɡa la ˈkjɔː.ma ǀ]
[ke ˈskjaː.va di ˈroː.ma]
[id.ˈdiː.o la kre.ˈɔ ǁ] 𝄇

[ˈkɔː.ro]

𝄆 프라뗄리 디딸랴,
리딸랴 세 데스따,
델렐모 디 시뾰
세 찐따 라 떼스따.
도웨 라 윗또랴?
레 뽀르가 라 꾜마,
께 스꺄와 디 로마
잇디오 라 끄레오. 𝄇

꼬로:
𝄆 스뜨린잠찌 아 꼬오르떼,
스얌 쁘론띠 알라 모르떼,
스얌 쁘론띠 알라 모르떼,
리딸랴 꺄모. 𝄇
스이!

𝄆 노이 품모 다 쎄꼴리
깔뻬스띠, 데리쓰이
뻬르께 논 스얌 뽀뽈로,
뻬르께 스얌 디위쓰이:
락꼴가찌 운우니까
반뎨라, 운아 스뻬메:
디 폰데르찌 인쓰예메
쟈 로라 숴노. 𝄇

꼬로

𝄆 우냐모찌, 아먀모찌,
루뇨네 에 라모레
리웰라노 아이 뽀뽈리
레 위에 델 스인뇨레;
주랴모 파르 리베로
일 숼로 나띠오:
우니띠, 뻬르 디오,
끼 윈쩨르 찌 뿨!? 𝄇

꼬로

𝄆 달랄삐 아 스이찔랴
도운꿰 에 렌냐노,
온뉴웜 디 페르룻쬬
아 일 꼬레, 아 라 마노,
이 빔비 디딸랴
스이 꺄만 발릴라,
일 숸 돈니이 스뀔라
이 웨스쁘리 숴노. 𝄇

꼬로

𝄆 손 쥰끼 께 뼤가노
레 스빠데 웬두떼:
앟 라뀔라 다우스뜨랴
레 뻰네 아 뻬르두떼;
일 산궤 디딸랴
일 산궤 뽈락꼬
베웨, 꼴 꼬싹꼬,
마 일 꿔르 레 브루쬬. 𝄇

꼬로

𝄆 에우위와 리딸랴,
달 손노 세 데스따,
델렐모 디 시뾰
세 찐따 라 떼스따.
도웨 라 윗또랴?
레 뽀르가 라 꾜마,
께 스꺄와 디 로마
잇디오 라 끄레오. 𝄇

꼬로

1절

이탈리아의 형제들이여,
이탈리아가 깨어났도다.
스키피오의 투구가
그녀의 머리에 씌워졌도다.
승리의 여신은 어디에 있는가?
그대의 머리를 숙이라!
께서 그녀를
로마의 종으로 삼으셨으니!
후렴
모두 단결하라!
죽을 준비가 되었으니,
죽을 준비가 되었으니,
이탈리아가 불렀도다!
모두 단결하라!
죽을 준비가 되었으니,
죽을 준비가 되었으니,
이탈리아가 불렀도다!

2절

우리는 수세기 동안,
억압받고, 조소당했으니,
이는 우리가 하나되지 않고,
분열해 있었기 때문이라네.
하나의 깃발과 하나의 희망이
우리를 하나로 만드는도다.
우리가 단합할 때가,
이미 찾아왔도다!

3절

단결하고, 서로 사랑하자,
그 단결과, 그 사랑은,
그 민중들에게
하느님의 길을 보여주리라.
우리의 고향을,
자유케 하리라 맹세하자:
신을 위해 단결하면,
누가 우리를 이길 수 있겠는가?

4절

알프스에서 시칠리아까지
레냐노는 어디에나 있고,
모든 이들은 페루초의 손과
심장을 가지고 있다네.
이탈리아의 어린이는
모두가 발릴라라고 불리니,
모든 종들이 울려,
만종을 알리네.

5절

저 용병들의 칼은
연약한 갈대와 같도다,
오스트리아독수리
이미 그 깃털을 잃었도다.
이탈리아의 피와
폴란드의 피는
카자크에게 삼켜졌으나,
그 피는 심장을 불태웠도다.

각주

[편집]
  1. “MAMELI, Goffredo in "Dizionario Biografico" (이탈리아어). 이탈리아 백과사전 기구. n.d. 2021년 2월 28일에 확인함. 
  2. “I simboli della Repubblica - L'inno nazionale” (이탈리아어). 2014년 4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8월 7일에 확인함. 
  3. Italy – NationalAnthems.me
  4. Simboli – Inno. Quirinale.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