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화 질소: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봇: 위키미디어 공용 틀 정리 |
||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
|||
{{Chembox |
{{Chembox |
||
| Verifiedfields = changed |
| Verifiedfields = changed |
||
| Watchedfields = changed |
| Watchedfields = changed |
||
| verifiedrevid = 477001381 |
| verifiedrevid = 477001381 |
||
| Name = |
| Name = 일산화 질소 |
||
| ImageFile = Nitric-oxide-2D.svg |
| ImageFile = Nitric-oxide-2D.svg |
||
| ImageFile_Ref = {{chemboximage|correct|??}} |
| ImageFile_Ref = {{chemboximage|correct|??}} |
||
14번째 줄: | 15번째 줄: | ||
| ImageNameR1 = Space-filling model of nitric oxide |
| ImageNameR1 = Space-filling model of nitric oxide |
||
| IUPACName = Nitrogen monoxide |
| IUPACName = Nitrogen monoxide |
||
| SystematicName = Oxidonitrogen(•)<ref>{{ |
| SystematicName = Oxidonitrogen(•)<ref>{{웹 인용|title = Nitric Oxide (CHEBI:16480)|url = https://www.ebi.ac.uk/chebi/searchId.do?chebiId=16480|work = Chemical Entities of Biological Interest (ChEBI)|location = UK|publisher = European Bioinformatics Institute}}</ref> (additive) |
||
| OtherNames = Nitric oxide<br/>Nitrogen(II) oxide |
| OtherNames = Nitric oxide<br/>Nitrogen(II) oxide |
||
| Section1 = {{Chembox Identifiers |
| Section1 = {{Chembox Identifiers |
||
49번째 줄: | 50번째 줄: | ||
| Section2 = {{Chembox Properties |
| Section2 = {{Chembox Properties |
||
| N=1 | O=1 |
| N=1 | O=1 |
||
| Appearance = |
| Appearance = 무색 기체 |
||
| Density = 1.3402 g/L |
| Density = 1.3402 g/L |
||
| MeltingPtC = −164 |
| MeltingPtC = −164 |
||
75번째 줄: | 76번째 줄: | ||
| Section7 = {{Chembox Hazards |
| Section7 = {{Chembox Hazards |
||
| ExternalSDS = [https://web.archive.org/web/20201102102334/https://www.boconline.co.uk/en/images/sg-088-nitric-oxide-v1.2_tcm410-39637.pdf External SDS] |
| ExternalSDS = [https://web.archive.org/web/20201102102334/https://www.boconline.co.uk/en/images/sg-088-nitric-oxide-v1.2_tcm410-39637.pdf External SDS] |
||
| MainHazards = {{ |
| MainHazards = {{기호없는 목록 |
||
| Fatal if inhaled |
| Fatal if inhaled |
||
| Causes severe burns |
| Causes severe burns |
||
| Causes eye damage |
| Causes eye damage |
||
| Corrosive to the respiratory tract}}<ref name="SDS">{{ |
| Corrosive to the respiratory tract}}<ref name="SDS">{{웹 인용| url=https://www.boconline.co.uk/en/images/sg-088-nitric-oxide-v1.2_tcm410-39637.pdf| title=Safety Data Sheet - Nitric Oxide, compressed - Registration Dossier| accessdate=2020-11-02}}</ref> |
||
| GHSPictograms = {{GHS04}}{{GHS03}}{{GHS05}}{{GHS06}}<ref name="ECHA">{{ |
| GHSPictograms = {{GHS04}}{{GHS03}}{{GHS05}}{{GHS06}}<ref name="ECHA">{{웹 인용| url=https://echa.europa.eu/registration-dossier/-/registered-dossier/24163/1| title=Nitrogen monoxide - Registration Dossier - ECHA| accessdate=2020-11-02}}</ref><ref name=SDS/> |
||
| GHSSignalWord = Danger |
| GHSSignalWord = Danger |
||
| HPhrases = {{H-phrases|270|280|330|314}}<ref name=ECHA/><ref name=SDS/> |
| HPhrases = {{H-phrases|270|280|330|314}}<ref name=ECHA/><ref name=SDS/> |
||
88번째 줄: | 89번째 줄: | ||
| NFPA-R = 3 |
| NFPA-R = 3 |
||
| NFPA-S = OX |
| NFPA-S = OX |
||
| LC50 = 315 ppm (rabbit, 15 [[ |
| LC50 = 315 ppm (rabbit, 15 [[분 (시간)|min]])<br/>854 ppm (rat, 4 [[시 (단위)|h]])<br/>2500 ppm (mouse, 12 min)<ref name=IDLH>{{IDLH|10102439|Nitric oxide}}</ref> |
||
| LCLo = 320 ppm (mouse)<ref name=IDLH/> |
| LCLo = 320 ppm (mouse)<ref name=IDLH/> |
||
}} |
}} |
||
| Section8 = {{Chembox Related |
| Section8 = {{Chembox Related |
||
| OtherFunction_label = [[ |
| OtherFunction_label = [[질소 산화물]] |
||
| OtherFunction = [[ |
| OtherFunction = [[오산화 이질소]]<br /> |
||
[[ |
[[사산화 이질소]]<br /> |
||
[[ |
[[삼산화 이질소]]<br /> |
||
[[ |
[[이산화 질소]]<br /> |
||
[[ |
[[아산화 질소]]<br/> |
||
[[ |
[[나이트록실]] (reduced form)<br/> |
||
[[Hydroxylamine]] (hydrogenated form) |
[[Hydroxylamine]] (hydrogenated form) |
||
}} |
}} |
||
}} |
}} |
||
''' |
'''일산화 질소'''(一酸化窒素, {{llang|en|nitric oxide}}) 또는 '''산화 질소'''(酸化窒素)는 [[질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분자식은 NO이다. |
||
== 성질 == |
== 성질 == |
||
112번째 줄: | 113번째 줄: | ||
화학적으로 매우 반응성이 큰 물질로, [[산화]]되어 [[이산화 질소|이산화질소]]로 되기 쉽다. 산소가 존재할 경우 이들과 반응하여 이산화 질소가 된다. 700 °C로 가열하면 다음과 같이 분해가 시작되어 1200 °C까지 가열될 경우 60%가 분해된다.<ref name="sajun"/> |
화학적으로 매우 반응성이 큰 물질로, [[산화]]되어 [[이산화 질소|이산화질소]]로 되기 쉽다. 산소가 존재할 경우 이들과 반응하여 이산화 질소가 된다. 700 °C로 가열하면 다음과 같이 분해가 시작되어 1200 °C까지 가열될 경우 60%가 분해된다.<ref name="sajun"/> |
||
⚫ | |||
:4NO → 2 N<sub>2</sub>O + O<sub>2</sub> |
|||
⚫ | |||
일산화 질소가 관련된 반응 중 대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ref name="sajun"/> |
일산화 질소가 관련된 반응 중 대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ref name="sajun"/> |
||
132번째 줄: | 132번째 줄: | ||
== 생체 내에서의 작용 == |
== 생체 내에서의 작용 == |
||
* 일산화질소는 체내에서 국부적인 조절인자 및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 혈중 산소 농도가 떨어지면 [[혈관]] 벽의 내피세포는 [[산화질소 합성효소]]를 통해 일산화 질소를 생산한다. |
* 일산화질소는 체내에서 국부적인 조절인자 및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 혈중 산소 농도가 떨어지면 [[혈관]] 벽의 내피세포는 [[산화질소 합성효소]]를 통해 일산화 질소를 생산한다. |
||
143번째 줄: | 142번째 줄: | ||
== 각주 == |
== 각주 == |
||
⚫ | |||
<references/> |
<references/> |
||
== 외부 링크 == |
|||
⚫ | |||
== 참고 문헌 == |
== 참고 문헌 == |
||
152번째 줄: | 153번째 줄: | ||
* https://web.archive.org/web/20061020030521/http://www.vngas.com/pdf/g60.pdf |
* https://web.archive.org/web/20061020030521/http://www.vngas.com/pdf/g60.pdf |
||
{{염증}} |
|||
{{산화물}} |
|||
{{신경전달물질}} |
|||
{{전거 통제}} |
{{전거 통제}} |
||
160번째 줄: | 164번째 줄: | ||
[[분류:GABAA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자]] |
[[분류:GABAA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자]] |
||
[[분류:NMDA 수용체 대항제]] |
[[분류:NMDA 수용체 대항제]] |
||
[[분류:질소 산화물]] |
2024년 5월 18일 (토) 09:21 기준 최신판
| |||
이름 | |||
---|---|---|---|
IUPAC 이름
Nitrogen monoxide
| |||
체계명
Oxidonitrogen(•)[1] (additive) | |||
별칭
Nitric oxide
Nitrogen(II) oxide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3DMet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DrugBank | |||
ECHA InfoCard | 100.030.233 | ||
EC 번호 |
| ||
451 | |||
KEGG | |||
PubChem CID
|
|||
RTECS 번호 |
| ||
UNII | |||
UN 번호 | 1660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NO | |||
몰 질량 | 30.006 g·mol−1 | ||
겉보기 | 무색 기체 | ||
밀도 | 1.3402 g/L | ||
녹는점 | −164 °C (−263 °F; 109 K) | ||
끓는점 | −152 °C (−242 °F; 121 K) | ||
0.0098 g / 100 ml (0 °C) 0.0056 g / 100 ml (20 °C) | |||
굴절률 (nD)
|
1.0002697 | ||
구조 | |||
linear (point group C∞v) | |||
열화학 | |||
표준 몰 엔트로피 (S
|
210.76 J/(K·mol) | ||
표준 생성 엔탈피 (ΔfH⦵298)
|
91.29 kJ/mol | ||
약리학 | |||
R07AX01 (WHO) | |||
라이선스 데이터 | |||
Inhalation | |||
약물동태학: | |||
good | |||
via pulmonary capillary bed | |||
2–6 seconds | |||
위험 | |||
주요 위험 |
| ||
물질 안전 보건 자료 | External SDS | ||
GHS 그림문자 | [2][3] | ||
신호어 | 위험 | ||
H270, H280, H330, H314[2][3] | |||
P244, P260, P220, P280, P304+340+315, P303+361+353+315, P305+351+338+315, P370+376, P403, P405[2][3]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LC50 (median concentration)
|
315 ppm (rabbit, 15 min) 854 ppm (rat, 4 h) 2500 ppm (mouse, 12 min)[4] | ||
LCLo (lowest published)
|
320 ppm (mouse)[4] | ||
관련 화합물 | |||
관련 질소 산화물
|
오산화 이질소 사산화 이질소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일산화 질소(一酸化窒素, 영어: nitric oxide) 또는 산화 질소(酸化窒素)는 질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분자식은 NO이다.
성질
[편집]상온에서 무색의 기체로 존재한다. 녹는점은 -161 °C, 끓는점은 -151 °C이다. 임계 온도는 -92.9 °C, 임계 압력은 64.6atm이다. 분자의 구조는 선형인데, 질소 원자와 산소 원자 사이의 결합길이는 1.151Å으로 이중 결합일 때의 기대값과 삼중 결합일 때의 기대값의 중간이다.[5]
분자에 전자가 홀수개로 존재하는 몇 안 되는 화합물 중 하나이다. 액체 상태에서는 이합체의 형성이 일어나며, 고체 상태에서는 대부분이 이합체의 형태로 존재하나 기체 상태에서는 분자는 단독으로 존재한다. 전자의 개수가 홀수이기 때문에 전자를 얻거나 잃는 경향이 강하여 NO+, NO-과 같은 이온을 형성하기 쉽다.[6]
화학적으로 매우 반응성이 큰 물질로, 산화되어 이산화질소로 되기 쉽다. 산소가 존재할 경우 이들과 반응하여 이산화 질소가 된다. 700 °C로 가열하면 다음과 같이 분해가 시작되어 1200 °C까지 가열될 경우 60%가 분해된다.[5]
- 2NO → N2 + O2
- 4NO → 2 N2O + O2
일산화 질소가 관련된 반응 중 대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5]
- 크롬산, 과망간산, 차아염소산 등에 의해서 산화된다.
- 이산화 황과 반응하여 삼산화 황과 질소를 생성한다.
- 중성 염화크로뮴 용액에 의해 암모니아로, 산성 염화크로뮴, 염화주석 용액에 의해서 하이드라진으로 환원된다.
- 금속 염과 반응하여 니트로실 화합물을 만든다.
- 황산철과 반응하여 갈색의 황산철 니트로실(Fe(NO)SO4)을 생성한다. 이 반응은 질산염과 아질산염의 검출에 사용된다.
- 진한 황산과 반응하여 황산 수소 니트로실((NO)HSO4)를 생성한다.
제법
[편집]일산화질소는 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한다.[5]
생체 내에서의 작용
[편집]- 일산화 질소는 주변의 근육세포에 작용하여 근육을 이완시키는 효소를 활성화시켜 혈관을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혈관이 확장된 결과 조직에 산소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 후 일산화질소는 작용한 지 몇 초 지나지 않아 분해된다.[7]
안전성
[편집]증기는 기도를 강하게 자극한다. 눈과 목에 자극, 가슴의 긴장, 두통, 구역질, 점차적인 무력함이 일어날 수 있다. 심각한 증상은 몇시간 후에도 일어날 수 있으며 청색증, 호흡 곤란, 불규칙한 호흡, 나른함이 있을 수 있다. 치료받지 않는 경우 폐수종으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사망할 수 있다.[8]
피부 조직과 눈을 심하게 자극한다.[8]
각주
[편집]- ↑ “Nitric Oxide (CHEBI:16480)”. 《Chemical Entities of Biological Interest (ChEBI)》. UK: European Bioinformatics Institute.
- ↑ 가 나 다 “Nitrogen monoxide - Registration Dossier - ECHA”. 2020년 11월 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Safety Data Sheet - Nitric Oxide, compressed - Registration Dossier” (PDF). 2020년 11월 2일에 확인함.
- ↑ 가 나 “Nitric oxide”. 《Immediately Dangerous to Life and Health Concentrations (IDL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 ↑ 가 나 다 라 化學大辭典編集委員會 편, 성용길, 김창홍 역, 〈일산화질소〉, 《화학대사전》(Vol. 7), 서울: 世和, 2001, 575쪽.
- ↑ Parker, S. P. et al., "Nitrogen oxides", McGraw-Hill encyclopedia of chemistry, New York: McGraw-Hill, 1993, pp. 701~703.
- ↑ Campbell, N. A. et al., Biology, 8th edition, San Francisco: Pearson Benjamin Cummings, 2007, p. 981.
- ↑ 가 나 “일산화 질소 MSDS” (PDF). 2006년 10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6월 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일산화 질소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참고 문헌
[편집]- Campbell, N. A. et al., Biology, 8th edition, San Francisco: Pearson Benjamin Cummings, 2007.
- Parker, S. P. et al., McGraw-Hill encyclopedia of chemistry, New York: McGraw-Hill, 1993.
- 化學大辭典編集委員會 편, 성용길, 김창홍 역, 《화학대사전》, 서울: 世和, 2001.
- https://web.archive.org/web/20061020030521/http://www.vngas.com/pdf/g60.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