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군의 행정 구역
보이기
강화군의 행정구역은 1읍 12면 185개 리로 되어 있다. 강화군의 면적은 인천광역시 전체 면적의 약 40%에 해당하는 411.3km2이다. 법정리는 96개이며, 강화읍으로 인구가 집중되어 행정리와 반을 추가하였다. 인구는 2012년 7월 2일을 기준으로 66,860명이다.[1]
행정 구역
[편집]행정구역 | 한자 | 면적 | 세대 | 인구 | 행정 구역 |
---|---|---|---|---|---|
강화읍 | 江華邑 | 24.96 | 9,374 | 22,600 | |
선원면 | 仙源面 | 21.39 | 2,938 | 7,316 | |
불은면 | 佛恩面 | 31.44 | 1,999 | 4,420 | |
길상면 | 吉祥面 | 35.05 | 2,739 | 6,349 | |
화도면 | 華道面 | 42.33 | 1,992 | 4,374 | |
양도면 | 良道面 | 35.35 | 1,644 | 3,619 | |
내가면 | 內可面 | 29.76 | 1,513 | 3,109 | |
하점면 | 河岾面 | 36.20 | 1,872 | 4,019 | |
양사면 | 兩寺面 | 26.43 | 872 | 1,881 | |
송해면 | 松海面 | 22.37 | 1,386 | 3,135 | |
교동면 | 喬桐面 | 47.14 | 1,402 | 3,081 | |
삼산면 | 三山面 | 45.64 | 1,159 | 2,313 | |
서도면 | 西島面 | 13.21 | 193 | 388 | |
서도면 볼음출장소 |
159 | 256 | |||
강화군 | 411.27 | 29,242 | 66,860 |
법정리
[편집]읍·면 | 법정리 | 섬 |
---|---|---|
강화읍 | 신문리, 관청리, 국화리, 남산리, 갑곳리, 용정리, 옥림리, 월곳리, 대산리 | 강화도 |
선원면 | 금월리, 연리, 지산리, 신정리, 창리, 선행리, 냉정리 | |
불은면 | 두운리, 삼성리, 삼동암리, 고릉리, 오두리, 신현리, 덕성리, 잉성리 | |
길상면 | 온수리, 선두리, 동검리, 초지리, 장흥리, 길직리 | |
화도면 | 내리, 상방리, 문산리, 덕포리, 사기리, 동막리, 흥왕리, 여차리, 장화리 | |
양도면 | 하일리, 능내리, 건평리, 인산리, 삼흥리, 길정리, 도장리, 조산리 | |
내가면 | 고천리, 구하리, 오상리, 외포리, 황청리 | |
하점면 | 망월리, 삼거리, 신봉리, 부근리, 창후리, 이강리, 장정리, 신삼리 | |
양사면 | 철산리, 덕하리, 북성리, 교산리, 인화리 | |
송해면 | 솔정리, 신당리, 하도리, 양오리, 상도리, 숭뢰리, 당산리 | |
교동면 | 대룡리, 읍내리, 상룡리, 봉소리, 고구리, 동산리, 삼선리, 인사리, 지석리, 무학리, 난정리, 서한리, 양갑리 | 교동도 |
삼산면 | 석모리, 상리, 하리, 석포리, 매음리 | 석모도 |
서검리 | 서검도 | |
미법리 | 미법도 | |
서도면 | 볼음도리 | 볼음도 |
주문도리 | 주문도 | |
아차도리 | 아차도 | |
말도리 | 말도 |
역사
[편집]1995년 3월 1일 경기도에서 인천광역시로 통합된 강화도는 선사시대로부터 근대에 이르는 한반도의 역사를 가장 소중하게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선사시대의 유물·유적으로 하점면 장정리와 화도면 사기리·동막리 등지에서 구석기시대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신석기시대 유물도 섬 내의 여러 곳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거석 유적인 지석묘(고인돌)가 하점면 부근리를 비롯한 도처에서 다수(약 80기 이상으로 추정) 발견되고 있어, 이 지역에서 일찍부터 사람이 살았음을 보여준다. 특히, 단군이 하늘에 제사를 올렸다는 마니산 참성단과 그의 세 아들로 하여금 쌓게 하였다는 정족산 삼랑성(일명 정족산성)에 관한 전설, 그리고 하음봉씨 시조의 천강 설화와 관련한 봉천대 및 봉가지·봉은사·석조여래입상(일명 하음노구석상) 등의 유적은 강화도가 성지로서의 위치를 점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2]
- 상고시대 : 갑비고차
고구려
[편집]신라
[편집]고려
[편집]조선
[편집]강화부
[편집]강화군
[편집]조선총독부령 제111호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강화군 부내면(府內面) 부내면 관청리, 국화리, 남산리, 신문리 장령면(長嶺面) 갑곶리, 대산리, 용정리, 옥림리, 월곶리 서사면(西寺面) 교항동/증산동, 송산동/인화동 양사면 교산리, 인화리 북사면(北寺面) 덕현동/군하동, 북정동/삼성동, 군하동/포촌동/철곶동 덕하리, 북성리, 철산리 송정면(松亭面) 포촌동/숭뢰동 일부/(삼해면) 당산동 일부, 숭뢰동 일부/갑성동 일부/(부내면) 당주동 일부/(장령면) 대묘동 일부 송해면 숭뢰리, 신당리 삼해면(三海面) 상도동 일부/당산동 일부/(송정면) 숭뢰동 일부, 솔정동, 하도동/상도동 일부 상도리, 솔정리, 하도리 불은면(佛恩面) 곶내동/능촌동/고잔동, 넙성동/신현동 일부, 광성동/덕진동, 신현동 일부, 오두동 불은면 고릉리, 넙성리, 덕성리, 신현리, 오두리 인정면(仁政面) 두두미동/백운동, 삼동암동/마장동 일부/서문동 일부, 석성동/석문동 일부/마장동 일부 두운리, 삼동암리, 삼성리 내가면(內家面) 내가면 고천리, 구하리, 오상리, 외포리, 황청리 외가면(外家面) 망월동/산곶동, 삼거동 일부 하점면 망월리, 삼거리 간점면(艮岾面) 이현동/강후동 일부, 삼거동/신성동, 창교동/강후동 일부 이강리, 신삼리, 창후리 하음면(河陰峴) 양오리동 일부/(삼해면) 당산동 일부, 부근동/삼정동 일부/(삼해면) 하도동, 봉상동/신촌동/(외가면) 삼거동 일부, 양오리동 일부/(삼해면) 당산동 일부, 양오리동 일부/장정동 일부 당산리, 부근리, 신봉리, 양오리, 장정리 하도면(下道面) 하도면 내리, 덕포리, 동덕리, 문산리, 사기리, 상방리, 여차리, 장화리, 흥왕리 상도면(上道面) 양도면 능내리, 도장리, 조산리, 하일리 위량면(位良面) 건평리, 삼흥리, 인산리 길상면(吉祥面) 길정리 길상면 길직리, 동검리, 선두리, 온수리, 장흥리, 초지리 선원면(仙源面) 선원면 금월리, 냉정리, 선행리, 신정리, 연리, 지산리, 창리 교동군 서면(西面) 수정면 난정리, 동산리, 서한리, 양갑리 북면(北面) 무학리, 지석리 화개면 삼선리, 인사리 남면(南面) 읍내리, 대룡리 동면(東面) 고구리, 봉소리, 상룡리 제도면(諸島面) 삼산면 매음리, 미법리, 서검리, 석모리, 석포리 송가면(松家面) 상리, 하리
- 1934년 수정면과 화개면을 교동면으로 통합
대한민국
[편집]인천광역시
[편집]- 1995년 경기도에서 인천광역시로 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