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남쪽바람개비 은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남쪽바람개비 은하

(M83, NGC 5236)

허블 우주 망원경이 찍은 남쪽바람개비 은하(M83).
허블 우주 망원경이 찍은 남쪽바람개비 은하(M83).
위치
별자리 바다뱀자리
적경 13h 37m 00.9s[1]
적위 -29° 51′ 57″[1]
물리적 성질
시선 속도 513 ± 2 km/s[1]
거리 1,470광년 (450만 파섹)[2]
형태 SAB(s)c[1]
규모
크기 12′.9 × 11′.5[1]
광학적 성질
겉보기등급 +8.2[1]
기타 성질
명칭 NGC 5236,[1] UGCA 366,[1] PGC48082,[1] Southern Pinwheel Galaxy,[3]
메시에 천체 목록
NGC 천체 목록

남쪽바람개비 은하 (Southern Pinwheel Galaxy) 또는 메시에 83 (Messier 83, M83), NGC 5236바다뱀자리에 있는 나선 은하이다. M83은 1752년 성직자였던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가 희망봉에서 처음 발견하였다. 이 은하는 우리은하가 속한 국부은하군 밖에 있는 은하 중에 가장 먼저 발견된 천체이면서, M31 안드로메다은하, M32 타원은하, 다음으로 3번째로 발견된 은하이기도 하다. 지름은 100,000 광년이다.

형태

[편집]

남쪽 바람개비 은하는 정상나선은하와 막대나선은하의 중간 형태로서, 나선팔이 감긴 모습이 매우 역동적이다. 또한 나선팔을 따라 붉은 점과 푸른 점들이 검은 먼지 흡수대(dark lane)의 가지에 열매처럼 서로 꼬리를 이어 맺혀있다.

성운과 은하핵

[편집]

붉은 점들은 산재된 가스의 성운으로 별 탄생이 막 일어나고 있는 지역이며, 주변의 뜨거운 별에 의해 붉게 발광하고 있다. 푸른 점들은 태어난 지 수백 ~ 수천만 년밖에 안 되는 젊은 별들로 이루어진 성단 영역이다. 은하핵은 강한 노란색의 방출선을 보이는데, 주로 늙은 항성종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늙은 항성종족은 은하핵에서 막대모양의 구조를 따라 뻗은 후 나선팔에 연결되고 있다.

NGC 5128-M83 은하군

[편집]

남쪽 바람개비 은하는 바다뱀자리와 센타우루스자리에 속한 NGC 5128-M83 은하군에 있는 은하 중 두 번째로 가까운 은하이다.[2] 센타우루스 A 은하는 남쪽바람개비 은하에 이어 가장 가까운 은하이다.

두 개 또는 한 개

[편집]

이 두 개의 은하군은 합쳐져서 하나의 은하군을 이루고 있다.[4][5] 가끔 두 개의 은하군으로 하기도 한다.[6] 그러나, 이 은하군은 넓은 공간을 따라 천구상에서 이동을 하기 때문에 정확한 은하군의 관측은 어렵다.[7]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NASA/IPAC Extragalactic Database”. 2006년 12월 8일에 확인함. 
  2. I. D. Karachentsev, M. E. Sharina, A. E. Dolphin, E. K. Grebel, D. Geisler, P. Guhathakurta, P. W. Hodge, V. E. Karachetseva, A. Sarajedini, P. Seitzer (2002). “New distances to galaxies in the Centaurus A group”. 《Astronomy and Astrophysics》 385: 21–31. doi:10.1051/0004-6361:20020042. 
  3.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2007년 5월 2일에 확인함. 
  4. R. B. Tully (1988). 《Nearby Galaxies Catalo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35299-1. 
  5. P. Fouque, E. Gourgoulhon, P. Chamaraux, G. Paturel (1992). “Groups of galaxies within 80 Mpc. II - The catalogue of groups and group membe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93: 211–233. 
  6. A. Garcia (1993). “General study of group membership. II - Determination of nearby groups”.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100: 47–90. 
  7. I. D. Karachentsev (2005). “The Local Group and Other Neighboring Galaxy Groups”. 《Astronomical Journal》 129: 178–188. doi:10.1086/426368.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