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0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제10대 대통령 선거 | |||||||||||||||||||||
| |||||||||||||||||||||
| |||||||||||||||||||||
|
대한민국의 제10대 대통령 선거는 박정희 대통령이 1984년 12월 26일까지로 되어있던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1979년 10월 26일 사망함에 따라 1979년 12월 6일 그 잔여 임기를 채울 후임자를 선거한 것을 말한다. 통일주체국민회의의 간접 선거로 치러진 이 선거 결과 유일하게 입후보한 최규하 대통령 권한대행이 압도적인 지지율로 당선되었다. 선거는 비교적 자유로운 분위기로 진행돼, 사실상의 반대표인 무효표가 사상 최대인 84표가 나오는 등 이전의 통일주체국민회의의 선거와는 사뭇 다른 모습을 보였다.
배경
[편집]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 당하자 헌법 제48조에 따라 최규하 국무총리가 대통령의 권한을 대행하게 되었다. 신민당 등 야권은 즉시 헌법을 개정하여 국민들의 직접 선거로 후임 대통령을 선출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최규하 대통령 권한대행은 현실적인 이유로 일단은 현행 대통령 간접 선거제 헌법대로 새 대통령을 선출한 뒤, 신임 대통령의 관리 하에 대통령 직접 선거제 헌법 개정에 착수하기로 결정하였다. 결국 현실적인 문제와 여론의 지지로 이전과 같이 통일주체국민회의의 간접 선거를 통한 신임 대통령 선거를 실시하게 되었다.
최규하 총리의 출마
[편집]최규하 권한대행은 11월 10일 특별담화를 발표하고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하였다. 또한 "임기를 채우지 않고 이른 시일 내 헌법을 개정"해 민주적인 새 정부를 수립하도록 하겠다고 공약했다.[1] 12월 3일, 최규하 대통령은 곽상훈 등 대의원 827명의 추천으로 대통령 후보로 등록했다.[2]
김종필 총재의 불출마
[편집]박정희 대통령 암살 전까지 여당이던 민주공화당 내부에선 김종필 총재가 후임 대통령 선거에 나가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나, "통일주체국민회의 선출이 아닌 민주화 개헌 후 국민 직선으로 대통령이 돼야 한다"는 당내 일부 의견과 군부의 견제로 결국 11월 10일 총재 상임고문단 회의를 통해 대선 후보를 내지 않는 것으로 결정됐다.[1][3]
재적 대의원
[편집]대의원 정원은 2,583석이나 5명이 사퇴, 18명이 사망하여 재적 대의원은 2,560명이었다.[4][5] 이 중 부산에서 1명, 서울, 강원, 전북, 전남, 경북, 경남에서 각 2명 등 총 11명의 대의원은 선거에 참석하지 않았다. 불참 사유로는 해외체류 2명, 와병 6명, 기타 3명이었다.[6]
지역 | 출석 | 불참 | 재적 | 공석 | 정원 |
---|---|---|---|---|---|
서울 | 388 | 2 | 390 | 1 | 391 |
부산 | 144 | 1 | 145 | 0 | 145 |
경기 | 318 | 0 | 318 | 1 | 319 |
강원 | 148 | 2 | 150 | 1 | 151 |
충북 | 130 | 0 | 130 | 1 | 131 |
충남 | 232 | 0 | 232 | 3 | 235 |
전북 | 200 | 2 | 202 | 1 | 203 |
전남 | 309 | 2 | 311 | 1 | 312 |
경북 | 369 | 2 | 371 | 8 | 379 |
경남 | 284 | 2 | 284 | 6 | 290 |
제주 | 27 | 0 | 27 | 0 | 27 |
계 | 2,549 | 11 | 2,560 | 23 | 2,583 |
선거 결과
[편집]1일부터 5일까지 후보 등록을 받은 결과 유일하게 입후보한 최규하가 2,560명의 대의원 중 과반인 2,465표를 얻어 당선되었다.
대한민국 제10대 대통령 선거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최규하 | 무소속 | 2,465표 |
|
당선 |
||||
합계 | 2,465표 | 무효표: 84표 |
이후
[편집]당선된 최규하 대통령 권한대행은 12월 6일 대통령에 선출되었으나 정식 취임식은 12월 21일 장충체육관에서 거행되었고, 그 전인 12월 12일 전두환의 신군부 세력이 쿠데타를 일으킴으로서 사실상 허수아비 대통령이 되고 말았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지면보기, 입력 2015 09 02 01:47 수정 2015 09 02 03:12 종합 12면 (2015년 9월 2일). “JP “유신 대통령 할 생각 손톱만큼도 없다” 불출마…대통령 되자 달라진 최규하 “지금은 과도정부 아니다””. 2021년 1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1일에 확인함.
- ↑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19년 4월 7일에 확인함.
- ↑ “[나의 이력서]영원한 청년 이만섭(42)10대 의원시절⑤”. 2002년 9월 14일. 2019년 4월 1일에 확인함.
- ↑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19년 4월 19일에 확인함.
- ↑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19년 4월 7일에 확인함.
- ↑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19년 4월 7일에 확인함.
- ↑ 유효표 수가 아닌 선거인 수를 기준으로 득표율을 계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