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Brandenburg-Preußen

 

1618년~1701년
국기
국기
문장
문장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의 위치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의 위치
수도베를린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독일어: Brandenburg-Preußen 브란덴부르그 프레우센[*])은 역사적으로 초기 근세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호엔촐레른가가 세운 왕국으로 1618년부터 1701년까지 존재했다.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에 기반을 둔 종가가 프로이센 공국을 지배하는 분가와 결혼하고, 이후 1618년 분가의 부계 계승이 끊기면서 종가가 프로이센도 획득했다. 클레페, 마르크, 라벤스베르크 등의 라인 강에 위치한 공국들을 1614년 통합한 것도 공국의 성장 배경이었다. 30년 전쟁 당시 국토 전체가 폐허가 되었는데, 이는 개신교 군대와 가톨릭 군대가 영토를 휩쓸고 다니면서 살해, 약탈, 방화, 강간 등이 끊이지 않았고 지도자가 3번이나 바뀌었기 때문이었다. 인구의 절반이 죽거나 난민이 되었고, 베를린을 비롯한 주요 도시들이 폐허가 되면서 회복하는데 수십 년이 걸렸다.

30년 전쟁 이후 브란덴부르크는 민덴, 할베르슈타트, 포메라니아, 마그데부르크 등을 점령했다. 제2차 북방 전쟁이 브롬베르크 조약으로 끝난 이후 프로이센 공국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복속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고, 라우엔부르크뷔토 지방을 획득했다. 1679년 브란덴부르크는 영토를 포메라니아 전체로 확장시켰다.

17세기의 후반은 프로이센이 유럽 정치에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주었다. 1653년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군이 프로이센 군의 도입에 기초하여 창설될 움직임이 보였고, 바르샤바 전투와 페르벨린 전투, 스웨덴군 추격전에서 승리를 거두어 주목받기 시작했다.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은 해군도 창설하여 카리브해와 아프리카 서해안에 식민지를 건설하는데 기여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에 대규모 개신교 난민을 수용함으로써 주목받았고, 브란덴부르크의 행정체계를 중앙화하고 봉건제후들의 간섭을 배제하면서 프로이센 성장의 기틀을 마련했다.

1701년 프리드리히 1세프로이센 왕으로 그의 직위를 높였다. 이는 신성 로마 제국 외부에 있던 프로이센 공국의 주권을 인정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고, 스페인 왕위계승전쟁대북방 전쟁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와 다른 유럽 왕실과 동맹을 맺으면서 그 직위를 인정받았다. 1701년부터 호엔촐른 가문의 영역은 프로이센 왕국 또는 프로이센이라고 일컫게 되었다. 브란덴부르크와 프로이센의 동군연합은 신성 로마 제국이 해체되는 1806년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제국에 대한 황제의 지배는 실질적인 것이 아니었다. 그러므로 1701년 이후 브란덴부르크는 사실상 프로이센 왕국의 일부로 간주되었다. 프리드리히와 그의 계승자들은 중앙집권화를 이어나가 영토 확장에 주력했고,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시대의 동군연합적 성격을 지닌 정치체계를 베를린을 중심으로 하는 주 체계로 바꾸었다.

지리 및 지형

[편집]
1886년 제작된 17세기 초반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의 지도. 주황색이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 초기 영토. 붉은색이 요한 지기스문트 때 확보한 영토. 초록색이 프리드리히 대왕 때 확보한 영토다.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의 핵심지역인 브란덴부르크는 1415년 호엔촐레른가가 변경백국을 취득할 당시 알트마르크, 노이마르크, 우커마르크, 프리그니츠, 미텔마르크 등 총 5개의 지역으로 구성되었다.[1] 1614년 크산텐 조약을 통한 율리히-클레베 상속 이후 마르크 공국, 클레베 공국, 라펜스베르크 후국이 브란덴부르크의 영토에 편입되었다.[2] 1605년 폴란드-리투아니아 국왕이었던 지그문트 3세 바사는 요아힘 프레데리크를 프로이센 공국의 섭정으로 앉혔고, 1618년 요아힘 프레데리크가 사망하면서 프로이센 공작의 작위는 아들 요한 지기스문트에게 넘어갔다. 이로서 1618년부터 프로이센 공국은 브란덴부르크와 동군연합을 이루게 되었다.[3]

니콜라우스 로이팅거는 1598년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을 묘사하면서 '숲이 우거진 평지, 대부분은 늪지대'라고 적었다.[1] 17세기 중반 영토를 확장하기 이전, 브란덴부르크는 내륙국가였기 때문에 바다에 면한 항구가 없었고, 엘베강오데르강이 각각 북해발트해로 흘러들어갔지만 둘을 잇는 수로가 없었기에 베를린이나 포츠담과 같은 핵심 도시는 강을 이용하기 어려웠다.[1] 브란덴부르크는 와인, 맥주, 염료. 무명, 모직, 비단 등 특산품을 기반으로 하는 독일 제조업의 주요 산지에서 벗어났고, 16세기 핵심 광물 자원이었던 은, 구리, 철, 아연, 주석의 보급도 원활하지 못했다.[4] 농업의 경우 불모지와 습지에서는 농사를 지을 수 없었지만,[5] 알트마르크와 우거마르크, 그리고 베를린 서부의 하펠란트 등 충분한 경작지를 가진 지역도 있었다.[1]

알브레히트의 봉지였던 프로이센 공국[a]은 북쪽으로는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남쪽으로는 폴란드 왕관령과 접했다. 프로이센 공국의 수도는 쾨니히스베르크로, 16세기 후반 리가그단스크와 더불어 발트해에서 연간 출입 선박이 100척 이상이었던 항구였고,[7] 밀, 목재, 삼, 모직 교역을 비롯하여[8] 피치, 타르, 잿가루 등을 수출해 번영을 누렸다.[9] 또한 1544년 알브레히트는 쾨니히베스베르크 성당 인근의 땅을 구입해 대학교를 세웠고,[10] 이 대학은 폴란드 국왕에 의해 크라쿠프 대학과 동등한 권위를 부여받았다. 쾨니히스베르크 외에도 메멜[11], 라비아우, 마리엔베르더 등이 프로이센 공국의 주요 도시였다.

전반적으로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가 보유한 영토는 핵심 지역 브란덴부르크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다. 율리히-클레베 세속을 통해 물려받은 영지들은 라인강 지역에 인접한 신성 로마 제국의 변방이었고, 국경을 접한 네덜란드 공화국스페인령 네덜란드와 긴밀히 연결되었다.[1] 반대로 프로이센 공국의 경우 신성 로마 제국 외부 지역이었으며 브란덴부르크의 수도 베를린과 프로이센 공국의 수도 쾨니히스베르크는 약 700km 떨어져 있었다.[1] 하지만 두 지역 모두 국제적으로 긴장감이 높은 지역과 인접했다는 점이 있었다.[1]

정치

[편집]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의 정치는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과 프로이센 공국이 각각 신성 로마 제국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봉읍이었던 것을 시초로 발달했다.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선출권을 가진 7대 선제후국 중 하나였고 이를 통해 브란덴부르크 선제후는 신성 로마 제국 내에서 엘리트 계층에 속하게 되었다.[1] 실제로 1356년 금인칙서 내용에 따라, 브란덴부르크 변경백은 신성 로마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제국의회에서 시종관으로서 참여했다.[12] 프로이센 공국의 경우 1525년 크라쿠프 조약에 따라 폴란드 왕국의 봉읍이 되었지만 1660년 올리바 조약을 통해 영토의 독립을 인정받았다. 폴란드로부터 독립하기 이전까지 프로이센 공국은 황금의 자유를 통해 폴란드 국왕의 선출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종교의 자유도 보장받았다.[13]

브란덴부르크의 행정은 1660년대부터 지방 엘리트 집단으로부터 독립성을 확보해나갔다. 당시 선제후였던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선제후는 동군연합이었던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을 하나의 정치적 연합체로 만들려고 노력했다.[14] 1650년대부터 선제후는 토지 관리 방식을 변경한 뒤 1660년대 토지관리국을 두어 새로운 관리 체계를 합리화했고,[15] 소비세를 도입한 뒤 중앙정부의 지시를 받는 세무위원회에서 징세를 감독했다.[16] 브란덴부르크 중앙정부의 행정 변화에 발맞추어, 신분제의회의 의원들 역시 자신들의 역할을 지방 정부의 잘못을 교정하고 균형을 잡아주는 것이라고 생각했다.[17] 그러나 1680년대 이후 신분제의회 총회는 점차 드물어졌고, 알트마르크와 미텔마르크는 1683년 이후로 귀족 총회가 열리지 않았다.

외교

[편집]

군사

[편집]

같이 보기

[편집]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의 역사
북방변경
965년 ~ 983년
프루센
상고 ~ 13세기
루티시안 연맹
983년 ~ 12세기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
1157년 ~ 1618년 (1806년) (HRE)
(보헤미아 1373년 ~ 1415년)
튜턴 기사단
1224년 ~ 1525년
(폴란드 봉토 1466년 ~ 1525년)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
1356년 ~ 1806년
프로이센 공국
1525년 ~ 1618년 (1701년)
(폴란드 봉토 1525년 ~ 1657년)
말보르크주 그리고 바르미아 주교령 이내 (폴란드) 왕령 프로이센
(폴란드 1454년/1466년 ~ 1772년)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1618년 ~ 1701년
프로이센 왕국
1701년 ~ 1918년
프로이센 자유주 (독일)
1918년 ~ 1947년
클라이페다 지역
(리투아니아)
1920년 ~ 1939년 / 1945년 ~ 현재
지아우도보 지역
(폴란드 1918년 ~ 현재)
바르미아, 마주리아, 포비실레 이내 수복령
(폴란드 1945년 ~ 현재)
베를린브란덴부르크
(독일)
1947년 ~ 1952년 / 1990년 ~ 현재
칼리닌그라드주
(러시아)
1945년 ~ 현재

각주

[편집]

내용주

[편집]
  1. 1525년 마르틴 루터의 주장에 따라 튜턴 기사단국에서 독립한 뒤 루터교로 개종하고 폴란드 국왕에게 복종하겠다고 약속한 알브레히트 호엔촐레른은 프로이센 공작이라는 칭호를 받게 되었고, 1525년 크라쿠프 조약을 통해 이 내용이 보장되었다.[6]

참조주

[편집]
  1. 클라크, 크리스토퍼 (2020년 7월 10일). 《강철왕국 프로이센》. 마티. 
  2. Hayden 1973
  3. Stone, Daniel (2001). 《A History of East Central Europe》.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43쪽. ISBN 9780295980935. 
  4. Scott, Tom (2002). 《Society and Economy in Germany, 1300-1600》. London. 24쪽. 
  5. Bratring, F.W.A (1804). 《Statistisch-Topographische Beschreibung der gesamten Mark Brandenburg》. Berlin. 28,30쪽. 
  6. Górski, Karol (1977). 《Zakon Krzyżacki a powstanie państwa pruskiego.》. 바르샤바. 
  7. Kirby, Northern Europe, p. 352
  8. Koch, p. 44
  9. Komorowski, Manfred (2004). 〈Eine Bibliographie Königsberger Drucke vor 1800 - Utopie oder reelle Chance?〉. Axel E. Walter. 《Königsberger Buch- und Bibliotheksgeschichte》. Cologne: Böhlau. 169–186; esp. p. 170쪽. 
    Bock, Vanessa (2004). 〈Die Anfänge des polnischen Buchdrucks in Königsberg. Mit einem Verzeichnis der polnischen Drucke von Hans Weinreich und Alexander Augezdecki〉. Axel E. Walter. 《Königsberger Buch- und Bibliotheksgeschichte》. Cologne: Böhlau. 127–155; esp. p. 127–131쪽. 
  10. Albertas Juška, Mažosios Lietuvos Bažnyčia XVI-XX amžiuje, Klaipėda: 1997, pp. 742–771, hereafter the German translation Die Kirche in Klein Litauen Archived 2013년 3월 9일 - 웨이백 머신 (section: 2. Reformatorische Anfänge; (독일어)) on: Lietuvos Evangelikų Liuteronų Bažnyčia Archived 2011년 10월 2일 - 웨이백 머신, retrieved on 28 August 2011.
  11. “Klaipėdos istorija”. 《Visuotinė lietuvių enciklopedija》 (리투아니아어). 2023년 4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26일에 확인함. 
  12. Bryce, James (1978). 《The Holy Roman Empire》 new판. London: Macmillan. 243쪽. 
  13. # Norman Davies, God's Playground. A History of Poland, Vol. 1: The Origins to 1795, Vol. 2: 1795 to the Presen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925339-0 / ISBN 0-19-925340-4
  14. Kotulla (2008), p. 265
  15. Kotulla (2008), p. 267
  16. Kotulla (2008), p. 266
  17. Hötzsch, Otto (1908). 《Stände und Verwaltung von Kleve und Mark in der Zeit von 1667 bis 1697》. 라이프치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