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심혈관계 질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심혈관질환에서 넘어옴)

심혈관계 질환
다른 이름Cardiovascular disease
섬유화(노란색)와 아밀로이드증(갈색)이 진행된 심장현미경 사진.
진료과심장학
통상적 발병 시기노년층[1]
유형관상동맥질환, 뇌졸중, 심부전, 고혈압성심질환, 류마티스성심질환, 심근증[2][3]
예방보건식, 운동, 금연, 음주 자제[2]
치료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치료[2]
사망17,900,000명 / 32% (2015년)[4]

심혈관계 질환(心血管系疾患, cardiovascular disease, CVD)은 심장 · 혈관순환계통 질환의 통칭이다. 주요 질병으로 심장병과 혈관 질환이 있다. 하위 분류로는 고혈압, 허혈성 심장 질환,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증, 죽상경화증(동맥경화증), 부정맥, 뇌혈관 질환, 뇌졸중 등이 있다.

관상 동맥 질환, 뇌졸중 및 말초 동맥 질환에는 죽상경화증이 포함된다. 이는 고혈압, 흡연, 당뇨병, 운동 부족, 비만, 고콜레스테롤혈증, 잘못된 식단, 과도한 알코올 섭취, 수면 부족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2] 류마티스성 심장병연쇄상구균 인두염을 방치할 경우 뒤따를 수 있다.

심혈관계 질환의 최대 90%는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5][6]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려면, 건강한 식습관, 운동, 금연, 알코올 섭취 제한 등을 통해 위험 요소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과 같은 위험 요소를 치료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2] 연쇄상구균 인두염 환자에게 항생제를 투여하면 류마티스성 심장병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7]

심혈관계 질환은 아프리카를 제외한 전 세계에서의 주요 사망 원인이다.[2] 1990년 1,230만 명(25.8%)에서 2015년 1,790만 명(32.1%)이 심혈관계 질환으로 사망한 것으로 집계되었다.[3]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개발도상국에서 더 흔하다. 1970년대 이후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그 비율이 감소한 반면, 개발도상국의 많은 지역에서는 증가하고 있다.

관상동맥 질환과 뇌졸중은 남성의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80%, 여성의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75%를 차지한다.[2] 대부분의 심혈관계 질환은 고령자에게 영향을 미친다.

종류

[편집]

혈관과 관련된 심혈관 질환

[편집]

심장과 관련된 심혈관 질환

[편집]
  • 심근병증 - 심장 근육의 질병
  • 고혈압성 심장 질환 - 고혈압 또는 고혈압에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심장 질환
  • 심부전 - 심장이 조직에 충분한 혈액을 공급하지 못해 조직의 대사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해 발생하는 임상 증후군
  • 폐성심 - 심장 우심실의 비대 또는 부전
  • 심장 부정맥 - 심장 리듬의 이상
  • 염증성 심장 질환
    • 심내막염 - 심장 내층 내막의 염증. 심장 판막과 관련됨.
    • 염증성 심장 비대
    • 심근염 - 심장의 근육 부분인 심근의 염증으로,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며 박테리아 감염, 특정 약물, 독소 및 자가 면역 장애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는 적다. 부분적으로는 림프구 및 호산구 유형의 백혈구가 심장에 침윤하는 것이 특징.
  • 심장판막증
  • 선천성 심장 질환 - 출생 시 존재하는 심장 구조 기형
  • 류마티스성 심장병 - A군 연쇄상구균 감염인 화농성연쇄상구균으로 인한 류마티스열

위험 요인

[편집]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요인에는 연령, 성별, 흡연, 신체활동 부족,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과도한 음주, 건강에 해로운 식습관, 비만, 유전적 소인 및 심혈관 질환 가족력, 혈압 상승(고혈압), 혈당 상승(당뇨병),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고지혈증), 진단되지 않은 셀리악병, 심리 및 사회적 요인 등 여러 가지가 있다.[2][8] 각 위험 요인의 영향력은 지역사회나 인종에 따라 다르지만, 위험 요인의 전반적인 영향력는 일관적이다. 연령, 성별 또는 가족력/유전적 소인과 같은 일부 위험 요인은 불변이지만, 많은 중요한 심혈관 위험 요소는 생활 습관 변화(금연 등), 사회적 변화, 약물 치료(예: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예방)로 조정될 수 있다.[8] 비만인 사람은 관상동맥 죽상경화증 위험이 높다.

병태생리학

[편집]

인구 기반 연구에 따르면 심혈관 질환의 주요 전조인 죽상동맥경화증은 어린 시절부터 시작된다. PDAY (Pathobiological Determinants of Atherosclerosis in Youth) 연구에서는 내막 병변이 7-9세 청소년의 대동맥과 오른쪽 관상 동맥의 절반 이상에서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9]

비만과 진성 당뇨병은 심혈관 질환과 관련이 있으며[10], 만성 신장병고콜레스테롤혈증의 병력도 마찬가지이다.[11] 심혈관 질환은 당뇨병 합병증 중 생명을 위협하는 정도가 가장 크며, 당뇨병 환자는 비당뇨병 환자보다 심혈관 관련 원인으로 사망할 가능성이 2~4배 더 높다.[12][13][14]

예방

[편집]

조정 가능한 위험 요인들만 피해도 심혈관 질환을 최대 90% 예방할 수 있다.[5][15] 현재 검증, 시행된 심혈관 질환의 예방 조치는 다음과 같다.

  • 지중해식 식단, 채식주의비건, 기타 식물성 식단과 같은 건강한 식단 유지[16][17][18][19]
  • 포화 지방 이외의 대체 섭취방안: 임상 실험에 따르면, 포화 지방을 불포화 식물성 기름으로 대체했을 때 심혈관계 질환 발생 비율이 30% 감소했다. 관찰연구에서 다중, 단일 불포화 지방의 섭취와 함께 포화 지방 섭취량을 줄이는 것이 심혈관계 질환의 비율 감소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20]
  • 과체중, 비만인 경우 체지방량 줄이기[21] 체중 감소와 식이 변화의 효과는 각각을 구별하기 어렵고 체중 감소 다이어트에 대한 근거는 제한적이다.[22] 중증 비만 환자에 대한 관찰연구에서 비만 수술 후 체중 감소는 심혈관 질환 위험의 46% 감소와 관련이 있다.[23]
  • 알코올 섭취량을 일일 권장량 이하로 제한[16] 술을 적당히 마시는 사람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25-30% 낮다.[24][25] 하지만, 유전적으로 알코올을 적게 섭취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들은 심혈관 질환의 발병률이 더 낮다[26]. 따라서 알코올 자체로서의 예방 근거는 충분하지 않다.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고[25] 알코올 섭취는 다음 날의 심혈관 사건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27]
  • HDL 콜레스테롤 이외의 콜레스테롤 줄이기,[28][29] 스타틴 치료는 심혈관 사망률을 약 31% 감소시킨다.[30]
  • 흠연 및 간접흡연 피하기[16]: 흡연을 중단하면 위험이 약 35% 감소한다.[31]
  • 일주일에 최소 150분(2시간 30분)가량 운동하기[32][33]
  • 혈압이 높으면 낮추기: 혈압이 10mmHg 감소하면 위험이 약 20% 감소한다.[34] 혈압을 낮추는 것은 정상 혈압 범위에서도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35][36][37]
  • 심리적, 사회적 스트레스 줄이기[38]: 이 조치는 무엇이 심리적, 사회적 개입을 구성하는지에 따라 복잡할 수 있다.[39]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한 심근 허약은 심장 질환이 있는 사람들의 심장 문제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40] 심한 정서적, 신체적 스트레스는 일부 사람들에게 타코츠보 증후군(Takotsubo syndrome)으로 알려진 일종의 심장 기능 장애로 이어진다.[41] 그러나 스트레스는 고혈압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역할을 한다.[42] 특정 이완 요법들의 이점은 불분명하다.[43][44]
  • 수면 부족도 고혈압 위험을 높인다. 성인은 약 7~9시간의 수면이 필요하다. 수면 무호흡증은 호흡을 잠시 멈추게 하여 심장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고, 신체에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주요 위험 중 하나이다.[45][46]

지침에서는 다양한 예방 조치를 함께 사용할 것을 권한다.[47] 심혈관 위험 요인을 줄이기 위한 조치가 혈압, 체질량 지수, 허리 둘레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근거가 있다. 하지만 이는 제한적이었으며, 심혈관 사건과 사망률에 대한 확고한 결론은 도출할 수 없었다.[48]

또한 사람들에게 심혈관 질환 위험 점수를 제공하면 일반적인 치료에 비해서 위험 요인을 약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근거가 제시되었으나,[49] 심혈관 사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불확실하였다. 치주염 환자의 치과 치료가 심혈관 질환의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지도 불분명하다.[50]

각주

[편집]
  1. Go AS, Mozaffarian D, Roger VL, Benjamin EJ, Berry JD, Borden WB, 외. (January 2013).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3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27 (1): e6–e245. doi:10.1161/cir.0b013e31828124ad. PMC 5408511. PMID 23239837. 
  2. Mendis S, Puska P, Norrving B (2011). 《Global Atlas on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in collaboration with the World Heart Federation and the World Stroke Organization. 3–18쪽. ISBN 978-92-4-156437-3. 2014년 8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3. Naghavi M, Wang H, Lozano R, Davis A, Liang X, Zhou M, 외. (GBD 2013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January 2015).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Lancet》 385 (9963): 117–71. doi:10.1016/S0140-6736(14)61682-2. PMC 4340604. PMID 25530442. 
  4. Wang H, Naghavi M, Allen C, Barber RM, Bhutta ZA, Carter A, 외. (GBD 2015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Collaborators) (October 2016).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life expectancy,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9 causes of death, 1980-2015: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5”. 《Lancet》 388 (10053): 1459–1544. doi:10.1016/S0140-6736(16)31012-1. PMC 5388903. PMID 27733281. 
  5. McGill HC, McMahan CA, Gidding SS (March 2008). “Preventing heart disease in the 21st century: implications of the Pathobiological Determinants of Atherosclerosis in Youth (PDAY) study”. 《Circulation》 117 (9): 1216–27. doi:10.1161/CIRCULATIONAHA.107.717033. PMID 18316498. 
  6. O'Donnell MJ, Chin SL, Rangarajan S, Xavier D, Liu L, Zhang H, 외. (August 2016). “Global and regional effects of potentially modifiabl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acute stroke in 32 countries (INTERSTROKE): a case-control study”. 《Lancet》 388 (10046): 761–75. doi:10.1016/S0140-6736(16)30506-2. PMID 27431356. S2CID 39752176. 
  7. Spinks, Anneliese; Glasziou, Paul P.; Del Mar, Chris B. (2021년 12월 9일). “Antibiotics for treatment of sore throat in children and adult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21 (12): CD000023. doi:10.1002/14651858.CD000023.pub5. ISSN 1469-493X. PMC 8655103. PMID 34881426. 
  8. http://hqcenter.snu.ac.kr/archives/32585
  9. Vanhecke TE, Miller WM, Franklin BA, Weber JE, McCullough PA (October 2006). “Awareness, knowledge, and perception of heart disease among adolescents”.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13 (5): 718–23. doi:10.1097/01.hjr.0000214611.91490.5e. PMID 17001210. S2CID 36312234. 
  10. Highlander P, Shaw GP (February 2010). “Current pharmacotherapeutic concepts for the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diabetics”. 《Therapeutic Advances in Cardiovascular Disease》 4 (1): 43–54. doi:10.1177/1753944709354305. PMID 19965897. S2CID 23913203. 
  11. NPS Medicinewise (2011년 3월 1일). “NPS Prescribing Practice Review 53: Managing lipids”. 2011년 3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8월 1일에 확인함. 
  12. Kvan E, Pettersen KI, Sandvik L, Reikvam A (October 2007). “High mortality in diabetic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cardiovascular co-morbidities contribute most to the high risk”.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121 (2): 184–8. doi:10.1016/j.ijcard.2006.11.003. PMID 17184858. 
  13. Norhammar A, Malmberg K, Diderholm E, Lagerqvist B, Lindahl B, Rydén L, Wallentin L (February 2004). “Diabetes mellitus: the major risk factor in unstable coronary artery disease even after consideration of the ext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benefits of revasculariz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43 (4): 585–91. doi:10.1016/j.jacc.2003.08.050. PMID 14975468. 
  14. DECODE, European Diabetes Epidemiology Group (August 1999). “Glucose tolerance and mortality: comparison of WHO and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gnostic criteria. The DECODE study group. European Diabetes Epidemiology Group. Diabetes Epidemiology: Collaborative analysis Of Diagnostic criteria in Europe”. 《Lancet》 354 (9179): 617–21. doi:10.1016/S0140-6736(98)12131-1. PMID 10466661. S2CID 54227479. 
  15. McNeal CJ, Dajani T, Wilson D, Cassidy-Bushrow AE, Dickerson JB, Ory M (January 2010). “Hypercholesterolemia in youth: opportunities and obstacles to prevent premature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Current Atherosclerosis Reports》 12 (1): 20–8. doi:10.1007/s11883-009-0072-0. PMID 20425267. S2CID 37833889. 
  16. “Heart Attack—Prevention”. NHS Direct. 2019년 11월 28일. 
  17. Quek, Jingxuan; Lim, Grace; Lim, Wen Hui; Ng, Cheng Han; So, Wei Zheng; Toh, Jonathan; Pan, Xin Hui; Chin, Yip Han; Muthiah, Mark D.; Chan, Siew Pang; Foo, Roger S. Y. (2021년 11월 5일). “The Association of Plant-Based Diet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nd Mortality: A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of Prospect Cohort Studies”. 《Frontiers in Cardiovascular Medicine》 8: 756810. doi:10.3389/fcvm.2021.756810. ISSN 2297-055X. PMC 8604150. PMID 34805312. 
  18. Gan, Zuo Hua; Cheong, Huey Chiat; Tu, Yu-Kang; Kuo, Po-Hsiu (2021년 11월 5일). “Association between Plant-Based Dietary Patterns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Nutrients》 13 (11): 3952. doi:10.3390/nu13113952. ISSN 2072-6643. PMC 8624676. PMID 34836208. 
  19. Benatar, Jocelyne R.; Stewart, Ralph A. H. (2018).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vegans; A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PLOS ONE》 13 (12): e0209086. Bibcode:2018PLoSO..1309086B. doi:10.1371/journal.pone.0209086. ISSN 1932-6203. PMC 6301673. PMID 30571724. 
  20. Frank M. Sacks, Alice H. Lichtenstein, Jason H.Y. Wu, Lawrence J. Appel, Mark A. Creager, Penny M. Kris-Etherton, Michael Miller, Eric B. Rimm, Lawrence L. Rudel, Jennifer G. Robinson, Neil J. Stone, and Linda V. Van Horn: Dietary Fats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Presidential Advisory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15 Jun 2017, https://doi.org/10.1161/CIR.0000000000000510Circulation 2017;136:e1–e23, https://www.ahajournals.org/doi/full/10.1161/CIR.0000000000000510
  21. McTigue KM, Hess R, Ziouras J (September 2006). “Obesity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besity》 14 (9): 1485–97. doi:10.1038/oby.2006.171. PMID 17030958. S2CID 45241607. 
  22. Semlitsch T, Krenn C, Jeitler K, Berghold A, Horvath K, Siebenhofer A (February 2021). “Long-term effects of weight-reducing diets in people with hypertensio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21 (2): CD008274. doi:10.1002/14651858.CD008274.pub4. PMC 8093137. PMID 33555049. 
  23. Kwok CS, Pradhan A, Khan MA, Anderson SG, Keavney BD, Myint PK, 외. (April 2014). “Bariatric surgery and its impact on cardiovascular disease and mortal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173 (1): 20–8. doi:10.1016/j.ijcard.2014.02.026. hdl:2164/3181. PMID 24636546. 
  24. Ronksley PE, Brien SE, Turner BJ, Mukamal KJ, Ghali WA (February 2011). “Association of alcohol consumption with selected cardiovascular disease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342: d671. doi:10.1136/bmj.d671. PMC 3043109. PMID 21343207. 
  25. Mostofsky E, Chahal HS, Mukamal KJ, Rimm EB, Mittleman MA (March 2016). “Alcohol and Immediate Risk of Cardiovascular Events: A Systematic Review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Circulation》 133 (10): 979–87. doi:10.1161/CIRCULATIONAHA.115.019743. PMC 4783255. PMID 26936862. 
  26. Holmes MV, Dale CE, Zuccolo L, Silverwood RJ, Guo Y, Ye Z, 외. (July 2014). “Association between alcohol and cardiovascular disease: Mendelian randomisation analysis based on individual participant data”. 《BMJ》 349: g4164. doi:10.1136/bmj.g4164. PMC 4091648. PMID 25011450. 
  27. Klatsky AL (May 2009). “Alcohol and cardiovascular diseases”. 《Expert Review of Cardiovascular Therapy》 7 (5): 499–506. doi:10.1586/erc.09.22. PMID 19419257. S2CID 23782870. 
  28. McMahan CA, Gidding SS, Malcom GT, Tracy RE, Strong JP, McGill HC (October 2006). “Pathobiological determinants of atherosclerosis in youth risk scores are associated with early and advanced atherosclerosis”. 《Pediatrics》 118 (4): 1447–55. doi:10.1542/peds.2006-0970. PMID 17015535. S2CID 37741456. 
  29. Raitakari OT, Rönnemaa T, Järvisalo MJ, Kaitosaari T, Volanen I, Kallio K, 외. (December 2005). “Endothelial function in healthy 11-year-old children after dietary intervention with onset in infancy: the Special Turku Coronary Risk Factor Intervention Project for children (STRIP)”. 《Circulation》 112 (24): 3786–94. doi:10.1161/CIRCULATIONAHA.105.583195. PMID 16330680. 
  30. Chou R, Dana T, Blazina I, Daeges M, Jeanne TL (November 2016). “Statins for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Adults: Evidence Report and Systematic Review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JAMA》 316 (19): 2008–2024. doi:10.1001/jama.2015.15629. PMID 27838722. 
  31. Critchley J, Capewell S (2004년 1월 1일). Critchley JA, 편집. “Smoking cessation for the secondary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 CD003041. doi:10.1002/14651858.CD003041.pub2. PMID 14974003.  틀:Retracted
  32. “Chapter 4: Active Adults”. 《health.gov》. 2017년 3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3.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adults”. 《NHS Choices》. 2018년 4월 26일. 2017년 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4. Ettehad D, Emdin CA, Kiran A, Anderson SG, Callender T, Emberson J, 외. (March 2016). “Blood pressure lowering for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a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Lancet》 387 (10022): 957–967. doi:10.1016/S0140-6736(15)01225-8. PMID 26724178. 
  35. “Many more people could benefit from blood pressure-lowering medication”. 《medicalxpress.com》 (영어). 2021년 6월 14일에 확인함. 
  36. “expert reaction to study looking at pharmacological blood pressure lowering for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cross different levels of blood pressure | Science Media Centre”. 2021년 6월 14일에 확인함. 
  37. Adler A, Agodoa L, Algra A, Asselbergs FW, Beckett NS, Berge E, 외. (May 2021). “Pharmacological blood pressure lowering for primary and second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cross different levels of blood pressure: an individual participant-level data meta-analysis”. 《Lancet》 (영어) 397 (10285): 1625–1636. doi:10.1016/S0140-6736(21)00590-0. PMC 8102467. PMID 33933205.  Available under CC BY 4.0.
  38. Linden W, Stossel C, Maurice J (April 1996).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a meta-analysi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56 (7): 745–52. doi:10.1001/archinte.1996.00440070065008. PMID 8615707. S2CID 45312858. 
  39. Thompson DR, Ski CF (December 2013). “Psychosocial interventions in cardiovascular disease--what are they?” (PDF). 《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20 (6): 916–7. doi:10.1177/2047487313494031. PMID 24169589. S2CID 35497445. 
  40. Wei J, Rooks C, Ramadan R, Shah AJ, Bremner JD, Quyyumi AA, 외. (July 2014). “Meta-analysis of mental stress-induced myocardial ischemia and subsequent cardiac events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114 (2): 187–92. doi:10.1016/j.amjcard.2014.04.022. PMC 4126399. PMID 24856319. 
  41. Pelliccia F, Greco C, Vitale C, Rosano G, Gaudio C, Kaski JC (August 2014). “Takotsubo syndrome (stress cardiomyopathy): an intriguing clinical condition in search of its identity”.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27 (8): 699–704. doi:10.1016/j.amjmed.2014.04.004. hdl:11573/562721. PMID 24754972. 
  42. Marshall IJ, Wolfe CD, McKevitt C (July 2012). “Lay perspectives on hypertension and drug adherence: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research”. 《BMJ》 345: e3953. doi:10.1136/bmj.e3953. PMC 3392078. PMID 22777025. 
  43. Dickinson HO, Mason JM, Nicolson DJ, Campbell F, Beyer FR, Cook JV, 외. (February 2006). “Lifestyle interventions to reduce raised blood pressure: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ournal of Hypertension》 24 (2): 215–33. doi:10.1097/01.hjh.0000199800.72563.26. PMID 16508562. S2CID 9125890. 
  44. Abbott RA, Whear R, Rodgers LR, Bethel A, Thompson Coon J, Kuyken W, 외. (May 2014). “Effectiveness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and mindfulness based cognitive therapy in vascular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76 (5): 341–51. doi:10.1016/j.jpsychores.2014.02.012. PMID 24745774. 
  45.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1, March 24). Heart Disease Prevention. MedlinePlus. https://medlineplus.gov/howtopreventheartdisease.html.
  46.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d.). Cardiovascular Disease. 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Integrative Health. https://www.nccih.nih.gov/health/cardiovascular-disease.
  47.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 2023년 5월 14일에 확인함. 
  48. Uthman OA, Hartley L, Rees K, Taylor F, Ebrahim S, Clarke A (August 2015). “Multiple risk factor interventions for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PDF).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5 (8): CD011163. doi:10.1002/14651858.CD011163.pub2. PMC 6999125. PMID 26272648. 
  49. Karmali KN, Persell SD, Perel P, Lloyd-Jones DM, Berendsen MA, Huffman MD (March 2017). “Risk scoring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3 (6): CD006887. doi:10.1002/14651858.CD006887.pub4. PMC 6464686. PMID 28290160. 
  50. Ye, Zelin; Cao, Yubin; Miao, Cheng; Liu, Wei; Dong, Li; Lv, Zongkai; Iheozor-Ejiofor, Zipporah; Li, Chunjie (2022년 10월 4일). “Periodontal therapy for primary or second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people with periodontiti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22 (10): CD009197. doi:10.1002/14651858.CD009197.pub5. ISSN 1469-493X. PMC 9531722. PMID 36194420.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