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우옌푹떤
용국공
Dương Quốc Công 勇國公 | |
---|---|
응우옌 왕조의 황제 | |
재위 | (추존) |
응우옌 주의 군주 | |
재위 | 1648년 3월 19일 ~ 1687년 4월 30일 |
전임 | 인군공(仁郡公) 응우옌푹란(阮福瀾) |
후임 | 홍국공(弘國公) 응우옌푹타이(阮福溙) |
이름 | |
휘 | 응우옌푹떤(Nguyễn Phúc Tần/阮福瀕/완복빈) |
이칭 | 응우옌푹껀(Nguyễn Phúc Cần/阮福勤/완복근) |
별호 | 용례후(Dương Lễ Hầu/勇禮侯) 용군공(Dương Quận Công/勇郡公) 현주(Chúa Hiền/主賢) |
묘호 | 의조(Nghị Tổ/毅祖) → 태종(Thái Tông/太宗) |
시호 | 대원수총국정공고덕후용철왕 (Đại Nguyên Soái Thống Quốc Chính Công Cao Đức Hậu Dũng Triết Vương /大元帥總國政功高德厚勇哲王) → 선위건무영명장정성덕신공효철왕 (Tuyên Uy Kiến Vũ Anh Minh Trang Chính Thánh Đức Thần Công Hiếu Triết Vương /宣威建武英明莊正聖德神功孝哲王) → 선위건무영명장정성덕신공효철황제 (Tuyên Uy Kiến Vũ Anh Minh Trang Chính Thánh Đức Thần Công Hiếu Triết Hoàng Đế /宣威建武英明莊正聖德神功孝哲皇帝) |
능호 | 장흥릉(Trường Hưng Lăng/長興陵) |
신상정보 | |
출생일 | 후 레 왕조 빈또(永祚) 2년 6월 19일 (1620년 7월 18일) |
사망일 | 후 레 왕조 찐호아(正和) 8년 3월 19일 (1687년 4월 30일) (66세) |
부친 | 인군공(仁郡公) 응우옌푹란(阮福瀾) |
모친 | 정숙혜비(貞淑惠妃) 도안티안(段氏安) |
배우자 | 자민장비(慈敏莊妃) 쩌우티비엔(朱氏園) 자선정비(慈僊靜妃) 똥티도이(宋氏堆) |
응우옌 푹 떤(베트남어: Nguyễn Phúc Tần / 阮福瀕 완복빈, 1620년 7월 18일(음력 6월 19일) ~ 1687년 4월 30일(음력 3월 19일))은 대월 후 레 왕조 응우옌 주의 제4대 군주(재위: 1648년 ~ 1687년)이다. 다른 이름으로 응우옌 푹 껀(베트남어: Nguyễn Phúc Cần / 阮福勤 완복근)이라고도 한다. 군주의 칭호는 현주(Chúa Hiền/賢主)이다.
생애
[편집]1640년 전후에 세자로 책봉되었으며, 군주의 즉위 전부터 찐 주와의 전쟁에 투입되었다.
푹타이 6년 2월 26일(1648년 3월 19일), 전란 중에 부군 응우옌 푹 란이 서거하여 군주의 자리에 올랐다.
즉위 전후에 장육루 전투(長育壘戰鬪)가 일어나고 있었으며, 이 전투에서 수륙양용(水陸兩用)을 펼쳐서 찐 주의 군대를 몰살시켰다. 이 전투를 시작으로 응우옌 주의 군대가 반격하기 시작하여, 북벌을 준비하게 되었다.
틴득 3년(1655년), 전투가 일어난지 7년이 되었을 때, 응우옌 주의 군대는 북벌을 본격적으로 진행하기 시작하였다. 응우옌 푹 떤은 응우옌 흐우 젓(베트남어: Nguyễn Hữu Dật / 阮有鎰 완유잇)과 응우옌 흐우 띠엔(베트남어: Nguyễn Hữu Tiến / 阮有進 완유진)을 선두로 하여 북벌을 진행하였다. 북포정주(北布政州)를 장악한 뒤, 계속 진격하여 남강(藍江)의 남쪽 7현을 복속시켰다.
이듬해(1656년), 응우옌 푹 떤은 긴 전투 중에 직접 군대를 찾아가 군대의 사기 진작을 시켰으나, 찐 주의 군주 찐짱(베트남어: Trịnh Tráng / 鄭梉 정장)은 남강을 수복 하기 위해, 손자 찐깐(베트남어: Trịnh Căn / 鄭根 정근)을 보내 군사를 거느리게 하였다. 이로써, 찐 주와 응우옌 주의 전쟁은 남강에서 승패를 가르게 되었다.
빈토 3년(1660년), 응우옌 푹 떤이 보낸 선봉대장들 사이에서 내분이 생기자 전력이 약화되기 시작하였으며, 5년간 전투를 벌였던 병사들의 사기가 저하되었다. 이틈을 노려 찐깐의 군대가 반격을 시도하여, 응우옌 주의 군대는 후퇴를 하게 되었다. 이 전투에서 응우옌 주의 군대는 남강에서 철수하였으며, 북벌이 실패하여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이듬해(1661년) 윤 10월, 반격에 성공한 찐 주의 군대는 다시 남정하여 장육루(長育壘)에서 다시 전투를 시작하였지만, 크게 성공하지는 못하고 3달 만에 다시 북쪽으로 철수하였다. 이 전투 이후로 약 10년 동안에 찐 주는 북쪽으로 응우옌 주는 남쪽으로 눈을 돌려 잠시 휴전상태에 놓이게 된다.
즈엉득 원년(1672년), 찐 주는 다시 남정을 시작하였다. 응우옌 주에서는 응우옌 푹 투언(베트남어: Nguyễn Phúc Thuần / 阮福淳 완복순)을, 찐 주에서는 다시 찐깐이 선봉으로 세워 전투를 시작하였다. 이후 응우옌 주는 찐 주에 패배의 설욕을 다시 느끼게 하였으며, 이 결과로 찐 주는 공식적인 휴전 협정을 제안한다. 응우옌 주는 그 제안을 받아 들여 정강(淨江)의 지류를 경계로 하여 휴전협정이 체결되었으며, 약 100년간 평화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휴전협정 이후, 응우옌 주는 다시 남쪽 영토확장에 집중할 수 있었다. 캄보디아와의 전쟁의 고조가 보이고 있었지만, 군사적인 충돌은 없었다.
찐호아 8년 3월 19일(1687년 4월 30일), 군주 응우옌 푹 떤은 서거하니, 향년 68세(만 66세)였다.
봉호, 시호, 능호
[편집]후 레 왕조에서 받은 초기 봉호는 부장(副將) 겸 용례후(베트남어: Dương Lễ Hầu / 勇禮侯)이며, 즉위 후에 받은 후 받은 봉호는 절제수보제영(節制水步诸营) 겸 총내외평장군국중사(總內外平章軍國重事) 겸 태보(太保) 겸 용군공(베트남어: Dương Quận Công / 勇郡公)에 진봉하였으며, 틴득(盛德) 원년(1653년) 태부(太傅) 겸 용국공(베트남어: Dương Quốc Công / 勇國公)으로 진봉하였다.
사후에 받은 시호는 대원수총국정 공고덕후용철왕(베트남어: Đại Nguyên Soái Thống Quốc Chính Công Cao Đức Hậu Dũng Triết Vương / 大元帥總國政 功高德厚勇哲王)으로 추존하였고, 까인흥(景興) 5년(1744년)에 칭왕이 된 후에 묘호를 의조(베트남어: Nghị Tổ / 毅祖), 시호를 선위건무영명장정성덕신공효철왕(베트남어: Tuyên Uy Kiến Vũ Anh Minh Trang Chính Thánh Đức Thần Công Hiếu Triết Vương / 宣威建武英明莊正聖德神功孝哲王)으로 재추존하였고, 응우옌 왕조가 건국 하고 칭제 후인 자롱(嘉隆) 5년(1806년)에 묘호를 태종(베트남어: Thái Tông / 太宗), 시호를 선위건무영명장정성덕신공효철황제(베트남어: Tuyên Uy Kiến Vũ Anh Minh Trang Chính Thánh Đức Thần Công Hiếu Triết Hoàng Đế / 宣威建武英明莊正聖德神功孝哲皇帝)로 재추존하였다.
능호는 장흥릉(베트남어: Trường Hưng Lăng / 長興陵)이다.
가족 관계
[편집]후비
[편집]봉호 | 시호 | 이름 (성씨) |
별칭 | 생몰년도 | 국구 (장인/장모) |
비고 |
---|---|---|---|---|---|---|
정부인 (正夫人) |
자민장비 (Từ Mẫn Trang Phi /慈敏莊妃) |
짜우 티 비엔 (Châu Thị Viên /朱氏園 /주씨원) |
[1] | 1625년 ~ 1684년 | [2] | |
차비 (次妃) |
자선정비 (Từ Tiên Tĩnh Phi /慈僊靜妃) |
똥 티 도이 (Tống Thị Đôi /宋氏堆 /송씨퇴) |
1626년 ~ 1666년 | [3] | [4] |
공자
[편집]-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자식 | 별칭 | 비고 |
---|---|---|---|---|---|---|---|---|
1 | 복군공 (Phúc Quận Công /福郡公) |
응우옌 푹 지엔 (Nguyễn Phúc Diễn /阮福演 /완복연) |
1640년 ~ 1684년 | 자민장비 짜우 티 비엔 |
6남 | [5] | [6] | |
2 | 홍국공 (Hoằng Quốc Công /弘國公) |
응우옌 푹 타이 (Nguyễn Phúc Thái /阮福溙 /완복태) |
1650년 ~ 1691년 | 자선정비 똥 티 도이 |
5남 4녀 | [7] | 응우옌 주 제5대 군주. | |
3 | 강군공 (Cương Quận Công /綱郡公) |
응우옌 푹 쩐 (Nguyễn Phúc Trân /阮福溱 /완복진) |
1651년 ~ 1685년 | 자선정비 똥 티 도이 |
1남 | [8] | [9] | |
4 | 협군공 (Hiệp Quận Công /協郡公) |
전절 (Toàn Tiết /全節) |
응우옌 푹 투언 (Nguyễn Phúc Thuần /阮福淳 /완복순) |
1653년 ~ 1675년 | 자민장비 짜우 티 비엔 |
4남 | [10] | [9][11] |
5 | 응우옌 푹 니엔 (Nguyễn Phúc Niên /阮福年 /완복년) |
요절함. | ||||||
6 | 응우옌 푹 니에우 (Nguyễn Phúc Nhiễu /阮福遶 /완복요) |
요절함. |
공녀
[편집]-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부마 | 별칭 | 비고 |
---|---|---|---|---|---|---|---|---|
1 | 응우옌 티 응옥따오 (Nguyễn Thị Ngọc Tào /阮氏玉曹 /완씨옥조) |
자민장비 짜우 티 비엔 |
||||||
2 | 응우옌 티 (Nguyễn Thị /阮氏 /완씨) |
기록 미상. | ||||||
3 | 응우옌 티 (Nguyễn Thị /阮氏 /완씨) |
기록 미상. |
기년
[편집]- 대남실록(大南實錄)의 기준으로 정리함.
태종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서기 | 1649년 | 1650년 | 1651년 | 1652년 | 1653년 | 1654년 | 1655년 | 1656년 | 1657년 | 1658년 |
육십간지 | 기축(己丑) | 경인(庚寅) | 신묘(辛卯) | 임진(壬辰) | 계사(癸巳) | 갑오(甲午) | 을미(乙未) | 병신(丙申) | 정유(丁酉) | 무술(戊戌) |
후 레 왕조 연호 |
카인득 (慶德)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틴득 (盛德)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빈토 (永壽) 원년 |
태종 | 11년 | 12년 | 13년 | 14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서기 | 1659년 | 1660년 | 1661년 | 1662년 | 1663년 | 1664년 | 1665년 | 1666년 | 1667년 | 1668년 |
육십간지 | 기해(己亥) | 경자(庚子) | 신축(辛丑) | 임인(壬寅) | 계묘(癸卯) | 갑진(甲辰) | 을사(乙巳) | 병오(丙午) | 정미(丁未) | 무신(戊申) |
후 레 왕조 연호 |
2년 | 3년 | 4년 | 5년 반카인 (萬慶) 원년 |
까인찌 (景治)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태종 | 21년 | 22년 | 23년 | 24년 | 25년 | 26년 | 27년 | 28년 | 29년 | 30년 |
서기 | 1669년 | 1670년 | 1671년 | 1672년 | 1673년 | 1674년 | 1675년 | 1676년 | 1677년 | 1678년 |
육십간지 | 기유(己酉) | 경술(庚戌) | 신해(辛亥) | 임자(壬子) | 계축(癸丑) | 갑인(甲寅) | 을묘(乙卯) | 병진(丙辰) | 정사(丁巳) | 무오(戊午) |
후 레 왕조 연호 |
7년 | 8년 | 9년 | 즈엉득 (陽德) 원년 |
2년 | 3년 득응우옌 (德元) 원년 |
2년 | 빈찌 (永治) 원년 |
2년 | 3년 |
태종 | 31년 | 32년 | 33년 | 34년 | 35년 | 36년 | 37년 | 38년 | 39년 | |
서기 | 1679년 | 1680년 | 1681년 | 1682년 | 1683년 | 1684년 | 1685년 | 1686년 | 1687년 | |
육십간지 | 기미(己未) | 경신(庚申) | 신유(辛酉) | 임술(壬戌) | 계해(癸亥) | 갑자(甲子) | 을축(乙丑) | 병인(丙寅) | 정묘(丁卯) | |
후 레 왕조 연호 |
4년 | 5년 찐호아 (正和)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찬국정부인(Tán Quốc Chinh Phu Nhân/贊國正夫人)
- ↑ 무왕(武王) 응우옌 푹 코앗(阮福濶)이 칭왕 후에 장비로 추존하였고, 시호를 여러번 추가하여 자민소성장렬장비(Từ Mẫn Chiêu Thánh Trang Liệt Trang Phi/慈敏昭聖莊烈莊妃)이라 하였다. 이후에 응우옌 왕조가 세워진 후에는 황후로 추존되어, 시호를 자민소성공정장신효철황후(Từ Mẫn Chiêu Thánh Cung Tĩnh Trang Thận Hiếu Triết Hoàng Hậu/慈敏昭聖恭靜莊愼孝哲皇后)로 개칭하였다.
- ↑ 군공(베트남어: Quận công / 郡公) 똥 푹 캉(베트남어: Tống Phúc Khang / 宋福康 송복강) / 부인(베트남어: phu nhân / 夫人) 팜 티(베트남어: Phạm Thị / 范氏 범씨)
- ↑ 무왕(武王) 응우옌 푹 코앗(阮福濶)이 칭왕 후에 정비로 추존하였고, 시호를 여러번 추가하여 자선혜성정순정비(Từ Tiên Huệ Thánh Trinh Thuận Tĩnh Phi/慈僊惠聖貞順靜妃)이라 하였다. 이후에 응우옌 왕조가 세워진 후에는 황후로 추존되어, 시호를 자선혜성정순정인효철황후(Từ Tiên Huệ Thánh Trinh Thuận Tĩnh Nhân Hiếu Triết Hoàng Hậu/慈僊惠聖貞順靜仁孝哲皇后)로 개칭하였다.
- ↑ 세자(世子) / 응우옌 푹 한(베트남어: Nguyễn Phúc Hán / 阮福漢 완복한)
- ↑ 응우옌 왕조 민망 황제 때 후손들이 성씨를 응우옌투언 티(베트남어: Nguyễn Thuận Thị / 阮順氏 완순씨)로 고쳐씀.
- ↑ 홍은후(Hoằng Ân Hầu/弘恩侯) / 응우옌 푹 응언(베트남어: Nguyễn Phúc Ngàn / 阮福彥 완복언)
- ↑ 응우옌 푹 후옌(베트남어: Nguyễn Phúc Huyền / 阮福玄 완복현)
- ↑ 가 나 응우옌 왕조 때 후손들이 성씨를 똔텃 티(베트남어: Tôn Thất Thị / 尊室氏 존실씨)로 고쳐씀.
- ↑ 응우옌 푹 히엡(베트남어: Nguyễn Phúc Hiệp / 阮福協 완복협)
- ↑ 정왕(定王) 응우옌 푹 투언의 휘를 피하기 위해 똔 텃 히엡(베트남어: Tôn Thất Hiệp / 尊室協 존실협)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응우옌 왕조 건국 후 봉호를 국위공(Quốc Oai Công/國威公)으로 격상시키고, 시호를 헌의(Hiến Nghị/憲毅)로 바꿈.
전 임 응우옌푹란 |
제4대 대월 후 레 왕조 응우옌 주의 군주 1648년 ~ 1687년 |
후 임 응우옌푹타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