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분학 에서 비교 판정법 (比較判定法, 영어 : comparison test )은 음이 아닌 실수 항의 급수 의 수렴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하나다. 이에 따르면, 만약 어떤 양항 급수 가 어떤 수렴하는 양항 급수보다 작은 항들로 이루어졌다면, 이 급수 역시 수렴한다.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n
0
∈
{
0
,
1
}
{\displaystyle n_{0}\in \{0,1\}}
두 실수 항 급수
∑
n
=
n
0
∞
a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a_{n}}
와
∑
n
=
n
0
∞
b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b_{n}}
또한,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고 하자.
충분히 큰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0
≤
a
n
≤
b
n
{\displaystyle 0\leq a_{n}\leq b_{n}}
(즉, 어떤
N
≥
n
0
{\displaystyle N\geq n_{0}}
및 모든
n
>
N
{\displaystyle n>N}
에 대하여,
0
≤
a
n
≤
b
n
{\displaystyle 0\leq a_{n}\leq b_{n}}
)
그렇다면, 다음 두 가지가 성립한다.
만약
∑
n
=
n
0
∞
b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b_{n}}
이 수렴 한다면,
∑
n
=
n
0
∞
a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a_{n}}
역시 수렴한다.
만약
∑
n
=
n
0
∞
a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a_{n}}
이 발산 한다면,
∑
n
=
n
0
∞
b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b_{n}}
역시 발산한다.
이를 비교 판정법 이라고 한다.
비교 판정법은 절대 수렴 의 개념을 사용하여 서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K
∈
{
R
,
C
}
{\displaystyle \mathbb {K} \in \{\mathbb {R} ,\mathbb {C} \}}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
V
,
‖
⋅
‖
)
{\displaystyle (V,\|{\cdot }\|)}
n
0
∈
{
0
,
1
}
{\displaystyle n_{0}\in \{0,1\}}
V
{\displaystyle V}
항의 급수
∑
n
=
n
0
∞
a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a_{n}}
와
∑
n
=
n
0
∞
b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b_{n}}
만약
V
=
(
K
,
|
⋅
|
)
{\displaystyle V=(\mathbb {K} ,|{\cdot }|)}
라면, 이는 두 실수 또는 복소수 항 급수다.
또한,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고 하자.
충분히 큰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
a
n
‖
≤
‖
b
n
‖
{\displaystyle \|a_{n}\|\leq \|b_{n}\|}
(즉, 어떤
N
≥
n
0
{\displaystyle N\geq n_{0}}
및 모든
n
>
N
{\displaystyle n>N}
에 대하여,
‖
a
n
‖
≤
‖
b
n
‖
{\displaystyle \|a_{n}\|\leq \|b_{n}\|}
)
만약
V
=
(
K
,
|
⋅
|
)
{\displaystyle V=(\mathbb {K} ,|{\cdot }|)}
라면, 노름은 절댓값 이며,
‖
a
n
‖
≤
‖
b
n
‖
{\displaystyle \|a_{n}\|\leq \|b_{n}\|}
은
|
a
n
|
≤
|
b
n
|
{\displaystyle |a_{n}|\leq |b_{n}|}
이 된다.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만약
∑
n
=
n
0
∞
b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b_{n}}
이 절대 수렴 한다면,
∑
n
=
n
0
∞
a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a_{n}}
역시 절대 수렴한다.
만약
∑
n
=
n
0
∞
a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a_{n}}
이 절대 수렴 하지 않는다면,
∑
n
=
n
0
∞
b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b_{n}}
역시 절대 수렴하지 않는다.
두 번째 명제에서,
∑
n
=
n
0
∞
b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b_{n}}
이 수렴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릴 수 없다. 예를 들어,
a
n
=
b
n
=
(
−
1
)
n
−
1
n
{\displaystyle a_{n}=b_{n}={\frac {(-1)^{n-1}}{n}}}
에 대응하는 급수는 조건 수렴 한다. 비교 판정법은 노름 값을 취하는 실수선 의 완비성에만 의존하므로, 바나흐 공간 이 아닌 노름 공간 에서도 성립한다. 하지만 이 경우, 절대 수렴하는 급수는 수렴할 필요가 없다.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a
∈
R
{\displaystyle a\in \mathbb {R} }
두 실수 값 함수
f
,
g
:
[
a
,
∞
)
→
R
{\displaystyle f,g\colon [a,\infty )\to \mathbb {R} }
또한, 다음 조건들이 성립한다고 하자.
임의의
b
>
a
{\displaystyle b>a}
에 대하여,
f
{\displaystyle f}
와
g
{\displaystyle g}
는
[
a
,
b
]
{\displaystyle [a,b]}
에서 리만 적분 가능 하다.
어떤
X
≥
a
{\displaystyle X\geq a}
및 임의의
x
≥
X
{\displaystyle x\geq X}
에 대하여,
0
≤
f
(
x
)
≤
g
(
x
)
{\displaystyle 0\leq f(x)\leq g(x)}
그렇다면, 다음 두 가지가 성립한다.
만약 이상 적분
∫
a
∞
g
(
x
)
d
x
{\displaystyle \int _{a}^{\infty }g(x)\,dx}
가 수렴한다면, 이상 적분
∫
a
∞
f
(
x
)
d
x
{\displaystyle \int _{a}^{\infty }f(x)\,dx}
역시 수렴한다.
만약 이상 적분
∫
a
∞
f
(
x
)
d
x
{\displaystyle \int _{a}^{\infty }f(x)\,dx}
가 발산한다면, 이상 적분
∫
a
∞
g
(
x
)
d
x
{\displaystyle \int _{a}^{\infty }g(x)\,dx}
역시 발산한다.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n
0
∈
{
0
,
1
}
{\displaystyle n_{0}\in \{0,1\}}
두 실수 항 급수
∑
n
=
n
0
∞
a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a_{n}}
와
∑
n
=
n
0
∞
b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b_{n}}
또한, 다음 조건들이 성립한다고 하자.
충분히 큰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a
n
,
b
n
≠
0
{\displaystyle a_{n},b_{n}\neq 0}
0
<
lim inf
n
→
∞
a
n
b
n
≤
lim sup
n
→
∞
a
n
b
n
<
∞
{\displaystyle 0<\liminf _{n\to \infty }{\frac {a_{n}}{b_{n}}}\leq \limsup _{n\to \infty }{\frac {a_{n}}{b_{n}}}<\infty }
그렇다면, 다음 두 조건이 서로 필요충분조건 이다.
급수
∑
n
=
n
0
∞
a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a_{n}}
이 수렴한다.
급수
∑
n
=
n
0
∞
b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b_{n}}
이 수렴한다.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n
0
∈
{
0
,
1
}
{\displaystyle n_{0}\in \{0,1\}}
두 실수 항 급수
∑
n
=
n
0
∞
a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a_{n}}
와
∑
n
=
n
0
∞
b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b_{n}}
또한, 다음 조건들이 성립한다고 하자.
충분히 큰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a
n
,
b
n
>
0
{\displaystyle a_{n},b_{n}>0}
충분히 큰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a
n
+
1
a
n
≤
b
n
+
1
b
n
{\displaystyle {\frac {a_{n+1}}{a_{n}}}\leq {\frac {b_{n+1}}{b_{n}}}}
그렇다면, 어떤
N
≥
n
0
{\displaystyle N\geq n_{0}}
및 임의의
n
≥
N
{\displaystyle n\geq N}
에 대하여,
a
n
=
a
N
⋅
a
N
+
1
a
N
⋅
a
N
+
2
a
N
+
1
⋅
⋯
⋅
a
n
a
n
−
1
≤
a
N
⋅
b
N
+
1
b
N
⋅
b
N
+
2
b
N
+
1
⋅
⋯
⋅
b
n
b
n
−
1
=
a
N
b
N
⋅
b
n
{\displaystyle {\begin{aligned}a_{n}&=a_{N}\cdot {\frac {a_{N+1}}{a_{N}}}\cdot {\frac {a_{N+2}}{a_{N+1}}}\cdot \cdots \cdot {\frac {a_{n}}{a_{n-1}}}\\&\leq a_{N}\cdot {\frac {b_{N+1}}{b_{N}}}\cdot {\frac {b_{N+2}}{b_{N+1}}}\cdot \cdots \cdot {\frac {b_{n}}{b_{n-1}}}\\&={\frac {a_{N}}{b_{N}}}\cdot b_{n}\end{aligned}}}
이다. 만약
∑
n
=
n
0
∞
b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b_{n}}
이 수렴한다면,
∑
n
=
n
0
∞
a
N
b
N
⋅
b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frac {a_{N}}{b_{N}}}\cdot b_{n}}
역시 수렴하며, 비교 판정법에 따라
∑
n
=
n
0
∞
a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a_{n}}
도 수렴한다. 그 대우 로서, 만약
∑
n
=
n
0
∞
a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a_{n}}
이 발산한다면,
∑
n
=
n
0
∞
b
n
{\displaystyle \sum _{n=n_{0}}^{\infty }b_{n}}
도 발산한다.
급수
∑
n
=
1
∞
n
n
−
2
e
n
n
!
{\displaystyle \sum _{n=1}^{\infty }{\frac {n^{n-2}}{\mathrm {e} ^{n}n!}}}
를 생각하자.
a
n
=
n
n
−
2
e
n
n
!
{\displaystyle a_{n}={\frac {n^{n-2}}{\mathrm {e} ^{n}n!}}}
라고 하였을 때,
a
n
+
1
a
n
=
(
1
+
1
/
n
)
n
−
2
e
<
(
1
+
1
/
n
)
n
−
2
(
1
+
1
/
n
)
n
=
(
n
+
1
)
−
2
n
−
2
{\displaystyle {\frac {a_{n+1}}{a_{n}}}={\frac {(1+1/n)^{n-2}}{\mathrm {e} }}<{\frac {(1+1/n)^{n-2}}{(1+1/n)^{n}}}={\frac {(n+1)^{-2}}{n^{-2}}}}
이다. 급수
∑
n
=
1
∞
1
n
2
{\displaystyle \sum _{n=1}^{\infty }{\frac {1}{n^{2}}}}
는 수렴하므로, #기타 에 의하여 원래 급수는 수렴한다.
Ayres, Frank Jr.; Mendelson, Elliott (1999). 《Schaum's Outline of Calculus》 (영어) 4판. New York: McGraw-Hill. ISBN 0-07-041973-6 .
Buck, R. Creighton (1965). 《Advanced Calculus》 (영어) 2판. New York: McGraw-Hill.
Knopp, Konrad (1956). 《Infinite Sequences and Series》 (영어). New York: Dover Publications. § 3.1. ISBN 0-486-60153-6 .
Munem, M. A.; Foulis, D. J. (1984). 《Calculus with Analytic Geometry》 (영어) 2판. Worth Publishers. ISBN 0-87901-236-6 .
Silverman, Herb (1975). 《Complex Variables》 (영어). Houghton Mifflin Company. ISBN 0-395-18582-3 .
Whittaker, E. T.; Watson, G. N. (1963). 《A Course in Modern Analysis 》 (영어) 4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 2.34. ISBN 0-521-5880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