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분학 에서 테일러 정리 (-定理, 영어 : Taylor's theorem )는 함수를 한 점 주변에서 다항식 으로 근사하는 정리이다.
만약
f
:
(
a
−
r
,
a
+
r
)
→
R
{\displaystyle f\colon (a-r,a+r)\to \mathbb {R} }
가
n
{\displaystyle n}
계 도함수를 가진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f
(
x
)
=
f
(
a
)
+
f
′
(
a
)
(
x
−
a
)
+
f
″
(
a
)
2
!
(
x
−
a
)
2
+
⋯
+
f
(
n
)
(
a
)
n
!
(
x
−
a
)
n
+
o
(
x
−
a
)
n
(
x
→
a
)
{\displaystyle f(x)=f(a)+f'(a)(x-a)+{\frac {f''(a)}{2!}}(x-a)^{2}+\cdots +{\frac {f^{(n)}(a)}{n!}}(x-a)^{n}+o(x-a)^{n}\qquad (x\to a)}
여기서
o
(
x
−
a
)
n
{\displaystyle o(x-a)^{n}}
는
(
x
−
a
)
n
{\displaystyle (x-a)^{n}}
과 어떤 0으로 수렴하는 함수의 곱을 나타낸다. 이는 함수와 어떤 다항식의 차가
(
x
−
a
)
n
{\displaystyle (x-a)^{n}}
보다 빠르게 0으로 수렴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다항식을
n
{\displaystyle n}
차 테일러 다항식 (-次-多項式, 영어 :
n
{\displaystyle n}
-th order Taylor polynomial )이라고 하고, 함수와 테일러 다항식의 차를 나머지항 (-項, 영어 : remainder term )이라고 한다. 위와 같이 나타낸 나머지항
o
(
x
−
a
)
n
{\displaystyle o(x-a)^{n}}
을 페아노 나머지항 (-項, 영어 : Peano remainder term )이라고 한다. 사실, 주어진 함수와의 차가 페아노 나머지항인
n
{\displaystyle n}
차 이하의 다항식은 테일러 다항식으로 유일하다.
만약
f
:
[
a
′
,
b
′
]
→
R
{\displaystyle f\colon [a',b']\to \mathbb {R} }
가
n
{\displaystyle n}
번 연속 미분 가능 함수이며,
(
a
′
,
b
′
)
{\displaystyle (a',b')}
에서
(
n
+
1
)
{\displaystyle (n+1)}
계 도함수를 가진다면, 임의의
a
,
x
∈
[
a
′
,
b
′
]
{\displaystyle a,x\in [a',b']}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15
f
(
x
)
=
f
(
a
)
+
f
′
(
a
)
(
x
−
a
)
+
f
″
(
a
)
2
!
(
x
−
a
)
2
+
⋯
+
f
(
n
)
(
a
)
n
!
(
x
−
a
)
n
+
f
(
n
+
1
)
(
ξ
)
(
n
+
1
)
!
(
x
−
a
)
n
+
1
{\displaystyle f(x)=f(a)+f'(a)(x-a)+{\frac {f''(a)}{2!}}(x-a)^{2}+\cdots +{\frac {f^{(n)}(a)}{n!}}(x-a)^{n}+{\frac {f^{(n+1)}(\xi )}{(n+1)!}}(x-a)^{n+1}}
여기서
ξ
∈
{
a
+
θ
(
x
−
a
)
:
0
<
θ
<
1
}
{\displaystyle \xi \in \{a+\theta (x-a)\colon 0<\theta <1\}}
이다. 이와 같은 나머지항을 라그랑주 나머지항 (-項, 영어 : Lagrange remainder term )이라고 한다. 이는 평균값 정리 의 일반화이다.
만약
I
{\displaystyle I}
가 구간이며,
f
:
I
→
R
{\displaystyle f\colon I\to \mathbb {R} }
가
(
n
+
1
)
{\displaystyle (n+1)}
번 연속 미분 가능 함수라면, 임의의
a
,
x
∈
I
{\displaystyle a,x\in I}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2] :83, Theorem 16
f
(
x
)
=
f
(
a
)
+
f
′
(
a
)
(
x
−
a
)
+
f
″
(
a
)
2
!
(
x
−
a
)
2
+
⋯
+
f
(
n
)
(
a
)
n
!
(
x
−
a
)
n
+
1
n
!
∫
a
x
f
(
n
+
1
)
(
t
)
(
x
−
t
)
n
d
t
{\displaystyle f(x)=f(a)+f'(a)(x-a)+{\frac {f''(a)}{2!}}(x-a)^{2}+\cdots +{\frac {f^{(n)}(a)}{n!}}(x-a)^{n}+{\frac {1}{n!}}\int _{a}^{x}f^{(n+1)}(t)(x-t)^{n}\mathrm {d} t}
이와 같은 나머지항을 적분 나머지항 (積分-項, 영어 : integral remainder form )이라고 한다.
만약
I
{\displaystyle I}
가 구간이며,
f
:
I
→
R
{\displaystyle f\colon I\to \mathbb {R} }
가
(
n
+
1
)
{\displaystyle (n+1)}
번 연속 미분 가능 함수라면, 임의의
a
,
x
∈
I
{\displaystyle a,x\in I}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f
(
x
)
=
f
(
a
)
+
f
′
(
a
)
(
x
−
a
)
+
f
″
(
a
)
2
!
(
x
−
a
)
2
+
⋯
+
f
(
n
)
(
a
)
n
!
(
x
−
a
)
n
+
f
(
n
+
1
)
(
ξ
)
n
!
(
x
−
ξ
)
n
(
x
−
a
)
{\displaystyle f(x)=f(a)+f'(a)(x-a)+{\frac {f''(a)}{2!}}(x-a)^{2}+\cdots +{\frac {f^{(n)}(a)}{n!}}(x-a)^{n}+{\frac {f^{(n+1)}(\xi )}{n!}}(x-\xi )^{n}(x-a)}
여기서
ξ
∈
{
a
+
θ
(
x
−
a
)
:
0
<
θ
<
1
}
{\displaystyle \xi \in \{a+\theta (x-a)\colon 0<\theta <1\}}
이다. 이와 같은 나머지항을 코시 나머지항 (-項, 영어 : Cauchy remainder term )이라고 한다.
만약
f
:
B
R
d
(
a
,
r
)
→
R
{\displaystyle f\colon \operatorname {B} _{\mathbb {R} ^{d}}(\mathbf {a} ,r)\to \mathbb {R} }
의 모든
n
{\displaystyle n}
계 편도함수 가 연속 함수라면, 다음이 성립한다.
f
(
x
)
=
∑
k
=
0
n
1
k
!
∑
j
1
=
1
d
⋯
∑
j
k
=
1
d
∂
k
f
(
a
)
∂
x
j
1
⋯
∂
x
j
k
(
x
j
1
−
a
j
1
)
⋯
(
x
j
k
−
a
j
k
)
+
o
(
‖
x
−
a
‖
n
)
(
x
→
a
)
{\displaystyle f(\mathbf {x} )=\sum _{k=0}^{n}{\frac {1}{k!}}\sum _{j_{1}=1}^{d}\cdots \sum _{j_{k}=1}^{d}{\frac {\partial ^{k}f(\mathbf {a} )}{\partial x_{j_{1}}\cdots \partial x_{j_{k}}}}(x_{j_{1}}-a_{j_{1}})\cdots (x_{j_{k}}-a_{j_{k}})+o(\Vert \mathbf {x} -\mathbf {a} \Vert ^{n})\qquad (\mathbf {x} \to \mathbf {a} )}
만약
D
⊆
R
d
{\displaystyle D\subseteq \mathbb {R} ^{d}}
가 연결 열린집합 이며,
f
:
D
→
R
{\displaystyle f\colon D\to \mathbb {R} }
의 모든
(
n
+
1
)
{\displaystyle (n+1)}
계 편도함수 가 연속 함수이며, 또한 임의의
t
∈
[
0
,
1
]
{\displaystyle t\in [0,1]}
에 대하여
a
+
t
(
x
−
a
)
∈
D
{\displaystyle \mathbf {a} +t(\mathbf {x} -\mathbf {a} )\in D}
라면, 다음이 성립한다.
f
(
x
)
=
∑
k
=
0
n
1
k
!
∑
j
1
=
1
d
⋯
∑
j
k
=
1
d
∂
k
f
(
a
)
∂
x
j
1
⋯
∂
x
j
k
(
x
j
1
−
a
j
1
)
⋯
(
x
j
k
−
a
j
k
)
+
1
(
n
+
1
)
!
∑
j
1
=
1
d
⋯
∑
j
n
+
1
=
1
d
∂
n
+
1
f
(
ξ
)
∂
x
j
1
⋯
∂
x
j
n
+
1
(
x
j
1
−
a
j
1
)
⋯
(
x
j
n
+
1
−
a
j
n
+
1
)
{\displaystyle f(\mathbf {x} )=\sum _{k=0}^{n}{\frac {1}{k!}}\sum _{j_{1}=1}^{d}\cdots \sum _{j_{k}=1}^{d}{\frac {\partial ^{k}f(\mathbf {a} )}{\partial x_{j_{1}}\cdots \partial x_{j_{k}}}}(x_{j_{1}}-a_{j_{1}})\cdots (x_{j_{k}}-a_{j_{k}})+{\frac {1}{(n+1)!}}\sum _{j_{1}=1}^{d}\cdots \sum _{j_{n+1}=1}^{d}{\frac {\partial ^{n+1}f({\boldsymbol {\xi }})}{\partial x_{j_{1}}\cdots \partial x_{j_{n+1}}}}(x_{j_{1}}-a_{j_{1}})\cdots (x_{j_{n+1}}-a_{j_{n+1}})}
여기서
ξ
∈
{
a
+
θ
(
x
−
a
)
:
0
<
θ
<
1
}
{\displaystyle {\boldsymbol {\xi }}\in \{\mathbf {a} +\theta (\mathbf {x} -\mathbf {a} )\colon 0<\theta <1\}}
이다.
만약
D
⊆
R
d
{\displaystyle D\subseteq \mathbb {R} ^{d}}
가 연결 열린집합 이며,
f
:
D
→
R
{\displaystyle f\colon D\to \mathbb {R} }
의 모든
(
n
+
1
)
{\displaystyle (n+1)}
계 편도함수 가 연속 함수이며, 또한 임의의
t
∈
[
0
,
1
]
{\displaystyle t\in [0,1]}
에 대하여
a
+
t
(
x
−
a
)
∈
D
{\displaystyle \mathbf {a} +t(\mathbf {x} -\mathbf {a} )\in D}
라면, 다음이 성립한다.[ 3] :13-14
f
(
x
)
=
∑
k
=
0
n
1
k
!
∑
j
1
=
1
d
⋯
∑
j
k
=
1
d
∂
k
f
(
a
)
∂
x
j
1
⋯
∂
x
j
k
(
x
j
1
−
a
j
1
)
⋯
(
x
j
k
−
a
j
k
)
+
1
n
!
∫
0
1
∑
j
1
=
1
d
⋯
∑
j
n
+
1
=
1
d
∂
n
+
1
f
(
a
+
t
(
x
−
a
)
)
∂
x
j
1
⋯
∂
x
j
n
+
1
(
x
j
1
−
a
j
1
)
⋯
(
x
j
n
+
1
−
a
j
n
+
1
)
(
1
−
t
)
n
d
t
{\displaystyle f(\mathbf {x} )=\sum _{k=0}^{n}{\frac {1}{k!}}\sum _{j_{1}=1}^{d}\cdots \sum _{j_{k}=1}^{d}{\frac {\partial ^{k}f(\mathbf {a} )}{\partial x_{j_{1}}\cdots \partial x_{j_{k}}}}(x_{j_{1}}-a_{j_{1}})\cdots (x_{j_{k}}-a_{j_{k}})+{\frac {1}{n!}}\int _{0}^{1}\sum _{j_{1}=1}^{d}\cdots \sum _{j_{n+1}=1}^{d}{\frac {\partial ^{n+1}f(\mathbf {a} +t(\mathbf {x} -\mathbf {a} ))}{\partial x_{j_{1}}\cdots \partial x_{j_{n+1}}}}(x_{j_{1}}-a_{j_{1}})\cdots (x_{j_{n+1}}-a_{j_{n+1}})(1-t)^{n}\mathrm {d} t}
함수
f
{\displaystyle f}
의 테일러 다항식을
T
n
,
f
,
a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T} _{n,f,a}(x)}
로 표기하자. 페아노 나머지항의 테일러 정리는 다음을 의미한다.
lim
x
→
a
f
(
x
)
−
T
n
,
f
,
a
(
x
)
(
x
−
a
)
n
=
0
{\displaystyle \lim _{x\to a}{\frac {f(x)-\operatorname {T} _{n,f,a}(x)}{(x-a)^{n}}}=0}
모든
k
∈
{
0
,
…
,
n
}
{\displaystyle k\in \{0,\dots ,n\}}
에 대하여
f
(
k
)
(
a
)
=
T
n
,
f
,
a
(
k
)
(
a
)
{\displaystyle f^{(k)}(a)=\operatorname {T} _{n,f,a}^{(k)}(a)}
이므로, 로피탈 법칙 을 사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lim
x
→
a
f
(
x
)
−
T
n
,
f
,
a
(
x
)
(
x
−
a
)
n
=
lim
x
→
a
f
(
n
−
1
)
(
x
)
−
T
n
,
f
,
a
(
n
−
1
)
(
x
)
n
!
(
x
−
a
)
=
lim
x
→
a
1
n
!
(
f
(
n
−
1
)
(
x
)
−
f
(
n
−
1
)
(
a
)
x
−
a
−
f
(
n
)
(
a
)
)
=
0
{\displaystyle {\begin{aligned}\lim _{x\to a}{\frac {f(x)-\operatorname {T} _{n,f,a}(x)}{(x-a)^{n}}}&=\lim _{x\to a}{\frac {f^{(n-1)}(x)-\operatorname {T} _{n,f,a}^{(n-1)}(x)}{n!(x-a)}}\\&=\lim _{x\to a}{\frac {1}{n!}}\left({\frac {f^{(n-1)}(x)-f^{(n-1)}(a)}{x-a}}-f^{(n)}(a)\right)\\&=0\end{aligned}}}
첫 등호는 로피탈 법칙을
(
n
−
1
)
{\displaystyle (n-1)}
번 반복한 결과이며, 마지막 등호는
f
(
n
)
(
a
)
{\displaystyle f^{(n)}(a)}
의 정의에 의한다.
다음이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f
(
x
)
=
a
0
+
a
1
(
x
−
a
)
+
a
2
(
x
−
a
)
2
+
⋯
+
a
n
(
x
−
a
)
n
+
o
(
x
−
a
)
n
(
x
→
a
)
{\displaystyle f(x)=a_{0}+a_{1}(x-a)+a_{2}(x-a)^{2}+\cdots +a_{n}(x-a)^{n}+o(x-a)^{n}\qquad (x\to a)}
여기서
a
0
,
…
,
a
n
∈
R
{\displaystyle a_{0},\dots ,a_{n}\in \mathbb {R} }
는 상수이다. 이 식에
x
→
a
{\displaystyle x\to a}
를 취하면
a
0
=
f
(
a
)
{\displaystyle a_{0}=f(a)}
를 얻는다. 이를 대입한 뒤 식을 다음과 같이 변형하자.
f
(
x
)
−
f
(
a
)
x
−
a
=
a
1
+
a
2
(
x
−
a
)
2
+
⋯
+
a
n
(
x
−
a
)
n
−
1
+
o
(
x
−
a
)
n
−
1
(
x
→
a
)
{\displaystyle {\frac {f(x)-f(a)}{x-a}}=a_{1}+a_{2}(x-a)^{2}+\cdots +a_{n}(x-a)^{n-1}+o(x-a)^{n-1}\qquad (x\to a)}
여기에
x
→
a
{\displaystyle x\to a}
를 취하면
a
1
=
f
′
(
a
)
{\displaystyle a_{1}=f'(a)}
를 얻는다. 마찬가지로 이를 대입한 뒤 식을 다음과 같이 변형하자.
f
(
x
)
−
f
(
a
)
−
f
′
(
a
)
(
x
−
a
)
(
x
−
a
)
2
=
a
2
+
a
3
(
x
−
a
)
+
⋯
+
a
n
(
x
−
a
)
n
−
2
+
o
(
x
−
a
)
n
−
2
(
x
→
a
)
{\displaystyle {\frac {f(x)-f(a)-f'(a)(x-a)}{(x-a)^{2}}}=a_{2}+a_{3}(x-a)+\cdots +a_{n}(x-a)^{n-2}+o(x-a)^{n-2}\qquad (x\to a)}
여기에
x
→
a
{\displaystyle x\to a}
를 취하면
a
2
=
f
″
(
a
)
/
2
{\displaystyle a_{2}=f''(a)/2}
를 얻는다. 이와 같이 반복하면 모든
k
∈
{
0
,
…
,
n
}
{\displaystyle k\in \{0,\dots ,n\}}
에 대하여
a
k
=
f
(
k
)
(
a
)
/
k
!
{\displaystyle a_{k}=f^{(k)}(a)/k!}
임을 알 수 있다. 모든 테일러 정리는 페아노 나머지항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모든 테일러 정리의 테일러 다항식은 유일하다.
편의상
x
≠
a
{\displaystyle x\neq a}
라고 가정하자. 다음과 같은 두 함수
F
,
G
:
[
a
,
x
]
∪
[
x
,
a
]
→
R
{\displaystyle F,G\colon [a,x]\cup [x,a]\to \mathbb {R} }
를 정의하자.
F
(
t
)
=
f
(
x
)
−
(
f
(
t
)
+
f
′
(
t
)
(
x
−
t
)
+
f
″
(
t
)
2
!
(
x
−
t
)
2
+
⋯
+
f
(
n
)
(
t
)
n
!
(
x
−
t
)
n
)
{\displaystyle F(t)=f(x)-\left(f(t)+f'(t)(x-t)+{\frac {f''(t)}{2!}}(x-t)^{2}+\cdots +{\frac {f^{(n)}(t)}{n!}}(x-t)^{n}\right)}
G
(
t
)
=
(
x
−
t
)
n
+
1
{\displaystyle G(t)=(x-t)^{n+1}}
그러면
F
,
G
{\displaystyle F,G}
는 연속 함수이며, 임의의
t
∈
(
a
,
x
)
∪
(
x
,
a
)
{\displaystyle t\in (a,x)\cup (x,a)}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F
′
(
t
)
=
−
f
(
n
+
1
)
(
t
)
n
!
(
x
−
t
)
n
{\displaystyle F'(t)=-{\frac {f^{(n+1)}(t)}{n!}}(x-t)^{n}}
G
′
(
t
)
=
−
(
n
+
1
)
(
x
−
t
)
n
{\displaystyle G'(t)=-(n+1)(x-t)^{n}}
또한
F
(
x
)
=
G
(
x
)
=
0
{\displaystyle F(x)=G(x)=0}
이므로, 코시 평균값 정리 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F
(
a
)
G
(
a
)
=
F
(
a
)
−
F
(
x
)
G
(
a
)
−
G
(
x
)
=
F
′
(
ξ
)
G
′
(
ξ
)
=
f
(
n
+
1
)
(
ξ
)
(
n
+
1
)
!
{\displaystyle {\frac {F(a)}{G(a)}}={\frac {F(a)-F(x)}{G(a)-G(x)}}={\frac {F'(\xi )}{G'(\xi )}}={\frac {f^{(n+1)}(\xi )}{(n+1)!}}}
여기서
ξ
∈
(
a
,
x
)
∪
(
x
,
a
)
{\displaystyle \xi \in (a,x)\cup (x,a)}
이다. 따라서 라그랑주 나머지항의 테일러 정리가 성립한다.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 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f
(
x
)
=
f
(
a
)
+
∫
a
x
f
′
(
t
)
d
t
{\displaystyle f(x)=f(a)+\int _{a}^{x}f'(t)\mathrm {d} t}
부분 적분 을 반복하면 다음을 얻는다.
f
(
x
)
=
f
(
a
)
−
∫
a
x
f
′
(
t
)
d
(
x
−
t
)
=
f
(
a
)
+
f
′
(
a
)
(
x
−
a
)
+
∫
a
x
(
x
−
t
)
f
″
(
t
)
d
t
=
f
(
a
)
+
f
′
(
a
)
(
x
−
a
)
−
1
2
∫
a
x
f
″
(
t
)
d
(
x
−
t
)
2
=
f
(
a
)
+
f
′
(
a
)
(
x
−
a
)
+
f
″
(
a
)
2
(
x
−
a
)
2
+
1
2
∫
a
x
(
x
−
t
)
2
f
‴
(
t
)
d
t
⋮
=
f
(
a
)
+
f
′
(
a
)
(
x
−
a
)
+
f
″
(
a
)
2
!
(
x
−
a
)
2
+
⋯
+
f
(
n
)
(
a
)
n
!
(
x
−
a
)
n
+
1
n
!
∫
a
x
(
x
−
t
)
n
f
(
n
+
1
)
(
t
)
d
t
{\displaystyle {\begin{aligned}f(x)&=f(a)-\int _{a}^{x}f'(t)\mathrm {d} (x-t)\\&=f(a)+f'(a)(x-a)+\int _{a}^{x}(x-t)f''(t)\mathrm {d} t\\&=f(a)+f'(a)(x-a)-{\frac {1}{2}}\int _{a}^{x}f''(t)\mathrm {d} (x-t)^{2}\\&=f(a)+f'(a)(x-a)+{\frac {f''(a)}{2}}(x-a)^{2}+{\frac {1}{2}}\int _{a}^{x}(x-t)^{2}f'''(t)\mathrm {d} t\\&\vdots \\&=f(a)+f'(a)(x-a)+{\frac {f''(a)}{2!}}(x-a)^{2}+\cdots +{\frac {f^{(n)}(a)}{n!}}(x-a)^{n}+{\frac {1}{n!}}\int _{a}^{x}(x-t)^{n}f^{(n+1)}(t)\mathrm {d} t\end{aligned}}}
따라서 적분 나머지항의 테일러 정리가 성립한다.[ 4] :224–225 적분 나머지항에 제1 적분 평균값 정리 를 적용하면 라그랑주 나머지항을 유도할 수 있다.
적분 나머지항에 제1 적분 평균값 정리 를 적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1
n
!
∫
a
x
f
(
n
+
1
)
(
t
)
(
x
−
t
)
n
d
t
=
f
(
n
+
1
)
(
ξ
)
n
!
(
x
−
ξ
)
n
∫
a
x
d
t
=
f
(
n
+
1
)
(
ξ
)
n
!
(
x
−
ξ
)
n
(
x
−
a
)
{\displaystyle {\begin{aligned}{\frac {1}{n!}}\int _{a}^{x}f^{(n+1)}(t)(x-t)^{n}\mathrm {d} t&={\frac {f^{(n+1)}(\xi )}{n!}}(x-\xi )^{n}\int _{a}^{x}\mathrm {d} t\\&={\frac {f^{(n+1)}(\xi )}{n!}}(x-\xi )^{n}(x-a)\end{aligned}}}
여기서
ξ
∈
{
a
+
θ
(
x
−
a
)
:
0
<
θ
<
1
}
{\displaystyle \xi \in \{a+\theta (x-a)\colon 0<\theta <1\}}
이다. 따라서 코시 나머지항의 테일러 정리가 성립한다.
라그랑주 나머지항의 경우를 증명하자. 그 밖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증명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함수
g
:
[
0
,
1
]
→
R
{\displaystyle g\colon [0,1]\to \mathbb {R} }
을 정의하자.
g
(
t
)
=
f
(
a
+
t
(
x
−
a
)
)
{\displaystyle g(t)=f(\mathbf {a} +t(\mathbf {x} -\mathbf {a} ))}
그러면
g
{\displaystyle g}
는
(
n
+
1
)
{\displaystyle (n+1)}
번 연속 미분 가능 함수이므로, 일변수 함수의 경우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g
(
1
)
=
∑
k
=
0
n
g
(
k
)
(
0
)
k
!
+
g
(
n
+
1
)
(
θ
)
(
n
+
1
)
!
{\displaystyle g(1)=\sum _{k=0}^{n}{\frac {g^{(k)}(0)}{k!}}+{\frac {g^{(n+1)}(\theta )}{(n+1)!}}}
여기서
θ
∈
(
0
,
1
)
{\displaystyle \theta \in (0,1)}
이다. 또한, 연쇄 법칙 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g
(
k
)
(
t
)
=
(
∑
j
=
1
d
(
x
j
−
a
j
)
∂
∂
x
j
)
k
f
(
a
+
t
(
x
−
a
)
)
=
∑
j
1
=
1
d
⋯
∑
j
k
=
1
d
∂
k
f
(
a
+
t
(
x
−
a
)
)
∂
x
j
1
⋯
∂
x
j
k
(
x
j
1
−
a
j
1
)
⋯
(
x
j
k
−
a
j
k
)
{\displaystyle {\begin{aligned}g^{(k)}(t)&=\left(\sum _{j=1}^{d}(x_{j}-a_{j}){\frac {\partial }{\partial x_{j}}}\right)^{k}f(\mathbf {a} +t(\mathbf {x} -\mathbf {a} ))\\&=\sum _{j_{1}=1}^{d}\cdots \sum _{j_{k}=1}^{d}{\frac {\partial ^{k}f(\mathbf {a} +t(\mathbf {x} -\mathbf {a} ))}{\partial x_{j_{1}}\cdots \partial x_{j_{k}}}}(x_{j_{1}}-a_{j_{1}})\cdots (x_{j_{k}}-a_{j_{k}})\end{aligned}}}
이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다변수 함수의 경우를 얻는다.
f
(
x
)
=
∑
k
=
0
n
1
k
!
∑
j
1
=
1
d
⋯
∑
j
k
=
1
d
∂
k
f
(
a
)
∂
x
j
1
⋯
∂
x
j
k
(
x
j
1
−
a
j
1
)
⋯
(
x
j
k
−
a
j
k
)
+
1
(
n
+
1
)
!
∑
j
1
=
1
d
⋯
∑
j
n
+
1
=
1
d
∂
n
+
1
f
(
a
+
θ
(
x
−
a
)
)
∂
x
j
1
⋯
∂
x
j
n
+
1
(
x
j
1
−
a
j
1
)
⋯
(
x
j
n
+
1
−
a
j
n
+
1
)
{\displaystyle f(\mathbf {x} )=\sum _{k=0}^{n}{\frac {1}{k!}}\sum _{j_{1}=1}^{d}\cdots \sum _{j_{k}=1}^{d}{\frac {\partial ^{k}f(\mathbf {a} )}{\partial x_{j_{1}}\cdots \partial x_{j_{k}}}}(x_{j_{1}}-a_{j_{1}})\cdots (x_{j_{k}}-a_{j_{k}})+{\frac {1}{(n+1)!}}\sum _{j_{1}=1}^{d}\cdots \sum _{j_{n+1}=1}^{d}{\frac {\partial ^{n+1}f(\mathbf {a} +\theta (\mathbf {x} -\mathbf {a} ))}{\partial x_{j_{1}}\cdots \partial x_{j_{n+1}}}}(x_{j_{1}}-a_{j_{1}})\cdots (x_{j_{n+1}}-a_{j_{n+1}})}